우리나라 가로수 현황
2015년 말 기준으로 전국 16개 시도의 전체 가로수는 151종에 6,784천그루이고, 2004년 이후 연평균 26.4만그루씩 식재되고 있다. 2004 ~ 2012년 기간에 년평균 22만 그루가 조성되었는 데, 2013년 이후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5년에는 42.4만 그루가 식재되어 90%가 증가하였다. 총 가로수길 길이는 40,367km로 년 평균 1,154km를 신규조성하고 있다. 지금까지 누적 조성한 가로수간 평균 간격은 약 6m이지만, 2004년 7.1m 이래 지속적으로 간격이 좁혀지고 있다. 이는 도시림 조성을 위하여 겹식재가 증가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2015년 말 기준으로 심어져 있는 가로수의 종류를 보면 벗나무류가 1,464 천그루(21.5%)로 가장 많고, 은행나무 1,005천그루(14.8%), 이팝나무 444천그루 (6.5%), 느티나무 417천그루(6.1%), 무궁화 356천그루(5.3%), 배롱나무 339천그루 (5.0%), 양버즘나무 285천그루(4.2%), 단풍나무 311천그루 (4.6%), 메타세콰이어160천그루 (2.4%), 곰솔 120천그루(1.8%), 백합나무 34천그루(0.5%) 등의 순으로 조성되었다. 이 밖에도 홍가시나무, 동백, 소나무, 산수유, 가시나무 등이 가로수로 식재되었다. 벗나무는 봄철 벗나무 꽃길을 조성하여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자 하는 지방자치단체의 관심이 증폭되어 식재지역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명품 가로수길
주요 가로수 수종 이외에도 지역별로 지방의 특색을 살리는 가로수가 심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충청북도 영동군의 감나무 가로수길, 충주시 충원대로의 사과나무 가로수길, 전라남도 담양의 대나무 가로수길, 서귀포시 수모루와 솜반천 사이의 대신로와 중문과 신서귀포 사이의 지방도 1132호선에 조성된 와싱톤야자 가로수길 등이 있다. 명품가로수길은 2011년부터 산림청의 ‘도시숲경관 사업계획’에 반영하기 시작하였는데, 산림청의 ‘도시숲경관 사업계획’ 자료를 보면 2010년 사업계획에는 없던 명품가로수길 조성 사업이 2011년 사업계획에서는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때부터 지역의 역사×문화뿐만 아니라 향토 수종 및 주민요구를 반영하여 가로수 길을 조성하여 지역 랜드마크 및 관광자 원으로 활용하는 추세가 이어있다.
명품가로수 길을 조성하기 위한 예산은 2011년에 약 40억에서 2012년 약 130억 규모로 확대되었고, 2013년 사업규모가 주춤했으나 이후에 예산이 증가하여 2017년에는 약 184억이 투입되어 172km의 명품가로수 길을 조성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전국적으로 ‘아름다운 가로수길’이라 하여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고 찬사를 받는 사례도 점점 늘어가고 있다. 전라남도 담양군의 국도 24호선에 조성된 메타세콰이어 가로수길은 1972년 총 10km에 걸쳐 1500여 그루를 심어서 조성되어 장관을 이룬다. 현재 수령 40년 수고 25m의 나무들이 숲 터널을 이루어 웅장하고 아름다운 경관으로 담양을 대표하는 대나무와 함께 상징적인 관광코스로 각광을 받고 있다. 2002년과 2009년 도로 확장 공사로 인하여 벌목의 위기에 처하기도 했으나 30개 시민단체와 지역주민들이 메타세콰이어 보존운동을 벌인 덕분에 사라지지 않고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상남도 하동군의 왕벗나무 가로수길은 1930년 화개면 화개장터와 쌍계사 벗꽃거리 사이의 지방도 1023로선에 25.6km에 걸쳐서 조성된 길이다. 수고 12m, 흉고직경 55cm의 나무들이 식재되어 있으며, 최근 아름다운 숲, 보존해야 할 거리 숲으로 지정되었고 범하마을 앞에 기념비를 세웠다.
충청남도 아산시 현충사 진입로에 1.6km에 걸쳐 있는 은행나무 가로수 길은1973년 350여 그루로 조성되었고, 현재 은행나무의 상태는 수고 10m, 흉고직경 60cm, 수령 약 50년의 큰 나무들이 되었다. 현충사 연계된 관광코스 개발로 년간 100만여 명의 관광객이 찾고 있다.
이외에 국립수목원과 산림청에서 엄선한 전국의 명품 가로수 길 60개는 <표 1>과 같다. 표 1>명품 가로수길 60선
시도
|
명품 가로수길 60선
|
노선길이
|
상세위치
|
서울특별시
|
§ 용산구 이태원로 양버즘나무 가로수길
§ 영등포구 여의도 왕벚나무 가로수길
§ 강남구 양재천길 메타세콰이아 가로수길
§ 송파구 위례성길 은행나무 가로수길
|
1km
3.1km
2.95㎞
2.7km
|
여의서로(구윤종로)
영동2교 ~ 영동 6교
|
부산
|
§ 연제구 황령산 왕벚나무 가로수길
§ 연제구 월드컵로 느티나무 가로수길
|
1km
1.5㎞
|
황령산순환도로.수영구 경게~물만골
거성교차로 ~ 진구경계
|
대구광역시
|
§ 중구 동덕로 양버즘나무×대왕참나무 가로수길
§ 동구 팔공산순환로 단풍나무×왕벚나무 가로수길
§ 수성구 동대구로 은행나무×개잎갈나무 가로수길
|
1.07㎞
11.4km
6km
|
동인네거리 ~ 삼덕네거리
범어동
|
인천광역시
|
§ 연수구 연수길 왕벚나무 가로수길
§ 남동구 정각로 은행나무 가로수길
§ 남동구 문화로 느티나무 가로수길
§ 남동구 호구포로 왕벚나무 가로수길
§ 남동구 인천대공원 느티나무 가로수길
§ 옹진군 장봉로 왕벚나무 가로수길
|
2.1km
0.55km
1.2km
3.1km
1.5㎞
3.8km
|
동부공원사업소
|
광주광역시
|
§ 동구 금남로 은행나무 가로수길
§ 서구 무진대로 느티나무 가로수길
§ 서구 상무지구 느티나무 가로수길
§ 서구 대남대로 느티나무 가로수길
§ 남구 제석로 왕벚나무 가로수길
§ 북구 민주로 이팝나무 가로수길
§ 광산구 공항로 메타세콰이아 가로수길
|
0.7km
2.8km
1.5km
3.97km
1.88km
2.5㎞
0.67km
|
상무중앙로
백운교차로 ~ 남광교, 백운교차로 ~ 구경계
국립5·18민주묘지 진입로
|
대전광역시
|
§ 동구 회인선 왕벚나무 가로수길
§ 유성구 온천로 이팝나무 가로수길
|
26.6km
2.4㎞
|
지방도 571호선
온천로
|
울산광역시
|
§ 남구 문수로 느티나무 가로수길
§ 북구 아산로 곰솔 가로수길
§ 산업로 대왕참나무 가로수길
§ 북부순환로 느티나무와 은행나무 가로수길
|
4.98㎞
4.49km
21.4km
10.2km
|
공업탑R~무거삼거리
명촌교북교차러 ~ 성내삼거리
남구 두왕사거리 ~ 경주시계
신복로타리 ~ 상방사거리
|
경기도
|
§ 과천시 관문로 은행나무와 단풍나무 가로수길
§ 남양주시·포천시 광릉수목원로 전나무 가로수길
|
1.8km
4.4㎞
|
중앙동
남양주시 진접읍 ~ 포천시 소흘읍
|
강원도
|
§ 춘천시 소양로·중앙로 양버즘나무 가로수길
§ 강릉시 경강로 금강소나무 가로수길
§ 강릉시 경포로 왕벚나무 가로수길
|
0.6km
1㎞
3.6km
|
강릉교도소~홍제고가도
운정동 경포도립공원 진입로
|
충청북도
|
§ 청주시 무심천 왕벚나무 가로수길
§ 충주시 충원대로 사과나무 가로수길
§ 청원군 청남대 튜울립나무 가로수길
§ 영동군 상촌면 감나무 가로수길
|
17.9km
2.1km
2㎞
5.5km
|
무심동로, 무심서로
충주역 ~ 건국대 충주캠퍼스
문의면 신대리 청남대 진입로
국도 49호선
|
충청남도
|
§ 천안시 천안삼거리 능수버들 가로수길
§ 보령시 대천동 감나무 가로수길
§ 아산시 현충사 은행나무 가로수길
§ 논산시 관촉로 왕벚나무 가로수길
|
1km
5.2km
1.6km
2.6km
|
목천읍 응원리 ~ 삼룡동
염치읍 송곡리, 백암리 현충사 진입로
|
전라북도
|
§ 정읍시 어린이교통공원 왕벚나무 가로수길
§ 무주군 라제통문 중국단풍 가로수길
|
5.3km
2㎞
|
정읍시 상동 735번지 우회도로
설천면 두길리~구천동간
|
전라남도
|
§ 담양군 담양읍 메타세콰이아 가로수길
§ 보성군 미력면·복내면 메타세콰이아 가로수길
§ 보성군 대원사 왕벚나무 가로수길
|
10km
12km
6km
|
국도24호선 담양읍 지침리 ~ 금성면 덕성리
보성군 미력면 ~ 복내면
문덕면 죽산리 대원사 진입로 군도 204호선
|
경상북도
|
§ 구미시 도리사 느티나무 가로수길
§ 구미시 박정희로 느티나무와 왕벚나무 가로수길
§ 구미시 인동가산로 대왕참나무 가로수길
§ 영천시 오리장림 가로수길 (굴참나무 등 12종)
§ 영덕군 우곡길 메타세콰이아 가로수길
§ 울진군 평해읍 배롱나무(백일홍) 가로수길
|
2㎞
3.15km
3.1km
0.8km
0.19km
9km
|
해평면 송곡리 도리사로
송정동
인동동
화북면 자천리 천문로 1421-1
영덕읍 우곡리 우곡길
국도 7호선, 88호선 등
|
경상남도
|
§ 창원시 창원대로 메타세콰이아와 왕벚나무 가로수길
§ 창원시 장복산길 왕벚나무 가로수길
§ 창원시 여좌천로 왕벚나무 가로수길
§ 거제시 아주동 대우조선 메타세콰이아와 왕벚나무 가로수길
§ 밀양시 삼문동 밀양강 소나무 가로수길
§ 하동군 십리벚꽃길 왕벚나무 가로수길
|
1.38㎞
3km
1.5km
1km
1.2km
25.6km
|
창원대로
진해
국도 14호선
국도 24호선, 25호선
화개면 화개장터~쌍계사 벚꽃거리
|
제주특별자치도
|
§ 제주시 신대로 담팔수 가로수길
§ 서귀포시 녹산로 왕벚나무 가로수길
§ 서귀포시 대신로 워싱톤야자×후박나무 가로수길
§ 서귀포시 1132호선 먼나무와 워싱톤야자 가로수길
|
2.6㎞
11.2km
3.3km
7.7km
|
신제주회전교차로 ~ KCTV 제주 방송국 입구
성산읍 가시리
수모르 ~ 솜반천
지방도 1132호선 (중문~신서귀포)
|
아파트단지(창원시 상남동 토월성원아파트) 내에 심어진 벚나무를 보다 보면 가지치기한 부분이 썩어 들어가서 나무줄기의 반정도가 죽어 있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썩은 줄기에는 개미들이 집을 지어 살면서 썩은 속을 계속 파내고 있고, 비가 올 때면 빗물이 스며들어가 부식을 재촉하는 악순환이 되는 것 같다. 그런 나무는 여름에도 나뭇잎이 무성하지 못하고 가을이면 유난히 빨리 낙엽을 떨어뜨리는 것 같다. 관리비용을 아낀다고 전문가의 손을 빌리지 않고 아파트 나무의 특성을 모르는 관리사무소 직원이 직접 전정을 한 것은 아닌지 한탄스럽기도 하다. 아파트도 24년이 되어 낡았다는 생각이 드는 데, 단지 내에 심어진 벚나무들도 나이든 티를 너무 내니 아파트 가치가 더 내려가는 것 아닌지 마음 한구석에 조바심도 난다. 저 나무가 기력이 다해서 고사하면 새로운 나무를 다시 심을 아파트관리비 충당금은 충분할까? 아파트단지 내에 벗나무 중에는 가지치기한 절단면이 회복이 안되고 대부분 썩어 있다. 벚나무는 절단한 면의 맹아발아가 낮고 자가 회복력이 낮아서 페인트를 칠하는 등 표면처리를 하지 않으면 썩기 쉽다는 것을 몰랐을까?
<표 2>는 수종 별 특징과 주요 충해 및 전정관리 방법을 요약하였다,.
수종
|
성상
|
수형
|
뿌리형상
|
수고
|
음양성
|
내공해성
|
내염성
|
내한성
|
답압
저항성
|
내풍성
|
토양수분
|
전정
|
벗나무
|
낙엽활엽교목
|
우산형
|
중간형
|
10~
20
|
양
|
약
|
|
강
|
약
|
|
|
전정하지 않음(절단부가 쉽게 부후됨)
|
은행나무
|
낙엽활엽교목
|
원추형
|
심근성
|
60
|
양
|
강
|
|
강
|
중
|
|
|
동절기전정(혹한기 제외), 매년 또는 격년
|
이팝나무
|
낙엽활엽교목
|
|
천근성
|
25
|
양
|
강
|
강
|
강
|
|
|
|
|
느티나무
|
낙엽활엽교목
|
평정형
|
천근성
|
26
|
중
|
중
|
약
|
강
|
중
|
강
|
|
동절기전정(혹한기 제외), 3~4년 주기
|
배롱나무
|
낙엽활엽소교목
|
평정형
|
중간형
|
5~
6
|
양
|
|
|
약
|
|
|
|
|
버즘나무
|
낙엽활엽교목
|
난형
|
중간형
|
30
|
양
|
강
|
|
강
|
강
|
|
습지,건지
|
동절기와 하절기 전정(혹한기 제외), 매년
|
단풍나무
|
낙엽활엽교목
|
평정형
|
천근성
|
15
|
중
|
강
|
|
강
|
약
|
|
|
전정하지 않음.
|
메타세콰이어
|
낙엽침엽교목
|
원추형
|
심근성
|
30
|
양
|
강
|
약
|
강
|
|
|
습지
|
|
곰솔(해송)
|
상록침엽교목
|
원추형
|
심근성
|
|
중
|
중
|
|
|
약
|
|
습지
|
전정하지 않음(맹아 나오지 않음)
|
회화나무
|
낙엽활엽교목
|
원형
|
중간형
|
10~
30
|
중
|
강
|
|
강
|
|
|
|
동절기전정(혹한기 제외), 매년 또는 격년
|
칠엽수
|
낙엽활엽교목
|
원추형
|
심근성
|
20~
30
|
중
|
약
|
|
|
|
|
|
전정하지 않음(수형 잃기 쉬움).
|
벽오동
|
낙엽활엽교목
|
난형
|
중간형
|
|
양
|
강
|
|
|
|
|
|
하절기전정(혹한기 제외), 3~4년 주기
|
느룹나무
|
낙엽활엽교목
|
|
천근성
|
30
|
양
|
약
|
약
|
강
|
강
|
|
|
동절기전정(혹한기 제외), 3~4년 주기
|
녹나무
|
상록활엽교목
|
원형
|
중간형
|
20
|
음
|
|
|
|
|
|
|
동절기전정(혹한기 제외), 3~4년 주기
|
튜울립나무
|
낙엽활엽교목
|
|
심근성
|
20~
35
|
양
|
중
|
약
|
|
약
|
|
|
동절기전정(혹한기 제외), 매년 또는 격년
|
후박나무
|
|
|
중간형
|
|
음
|
|
|
|
|
|
|
전정하지 않음(수형 잃기 쉬움)
|
비자나무
|
|
|
심근성
|
|
음
|
|
|
|
|
|
|
|
가시나무
|
|
원형
|
중간형
|
|
중
|
|
|
|
|
|
|
동절기전정(혹한기 제외), 매년 또는 격년
|
담팥수
|
|
|
중간형
|
|
음
|
|
|
|
|
|
|
|
버드나무
|
|
수양형
|
천근성
|
|
양
|
|
|
|
|
약
|
습지
|
동절기(혹한기 제외)와 하절기 전정, 매년
|
아까시나무
|
|
|
중간형
|
|
양
|
|
|
|
강
|
약
|
건지
|
동절기전정(혹한기 제외), 매년
|
동백나무
|
상록활엽소교목
|
|
천근성
|
7
|
음
|
|
|
|
|
|
|
|
자작나무
|
|
|
천근성
|
|
양
|
|
|
|
중
|
|
건지
|
전정하지 않음(절단부 수액유출 심함)
|
팽나무
|
|
|
천근성
|
|
양
|
|
|
|
|
|
|
|
먼나무
|
|
|
천근성
|
|
중
|
|
|
|
|
|
|
|
피나무
|
낙엽활엽교목
|
아름다움
|
천근성
|
20
|
양
|
강
|
강
|
강
|
|
|
|
|
참나무
|
|
원형
|
|
|
|
|
|
|
약
|
강
|
|
|
자귀나무
|
낙엽활엽소교목
|
평정형
|
심근성
|
3~
8
|
양
|
약
|
|
약
|
|
|
습지,
건지
|
|
가로수의 수종을 선택할 때에는 나무의 특징을 잘 헤아려야 한다. 경기도 고양시에서 2017년 폭우와 강풍에 20여 그루의 가로수가 쓰러졌고 시민이 다치는 사례가 신문에 보도되었다. 잎은 무성하게 자라 있었지만 밑동이 부식되어 있어서 강풍에 견디지 못한 것이었다. 일산 신도시의 대부분 가로수가 20년을 넘어서 점점 커지고 있으나 사방 1M 크기의 흙 구멍을 제외하고는 콘크리트로 막고 있어서 땅속으로 내리지 못한 뿌리가 위로 올라오면 보도블록을 들추면 올라온 뿌리를 잘라내었고, 이때 상처받은 뿌리가 부식되어 약해져 있었던 것이다. 쓰러진 가로수 14개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느티나무가 6개, 회화나무가 4개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즉, 쓰러진 나무의 대부분은 천근성/중간형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