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개자 agents | CCD (n=30) | Non-CCD (n=21) | Total (n=51) | 양성 예측치 (%) |
IAPV | 25 (83.3%) | 1 (4.8%) | 26 (51.0%) | 96.1 |
KBV | 30 (100%) | 16 (76.2%) | 46 (90.2%) | 65.2 |
N. apis | 27 (90%) | 10 (47.6%) | 37 (72.5%) | 73.0 |
N. ceranae | 30 (100%) | 17 (80.9%) | 47 (92.1%) | 63.8 |
All four agents | 23 (76.7%) | 0 (0%) | 23 (45.0%) | 100 |
표 I : CCD 및 비CCD 조작에서의 병리학적 후보자에 대해 시험된 벌의 분석.
연구원들은 CCD를 앓은 30개의 서식지와 31개의 건강한 서식지를 매우 철저히 조사하였고,
벌의 알려진 병원체를 모두 선별했습니다.
표에 나열된 4개의 병원체는 CCD로 인해 죽은 76.7%에서 100%(KBV)에 이르는 수치로 밝혀졌습니다.
IAPV는 CCD와 가장 강력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CCD를 앓고 있는 벌통의 83.3%와,
CCD가 아닌 벌통의 4.8%에서만 발생했습니다.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Sacbrood는 1917년 미국에서 G.F.White에 의해 수행된 작업에서
처음으로 바이러스로 의심되는 질병입니다.
White는 질병이 있는 유충의 추출물을 건강한 유충에 접종할 수 있었는데,
그 질병이 바이러스성을 띠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이것은 나중에 1964년 Leslie Bailey에 의해 확인되었습니다. 질병에 걸린 새끼는
제대로 번데기가 되지 못하고 새롭고 오래된 피부층 사이에 축적되는 얇은 수액 주머니에 싸여 있습니다.
그 애벌레는 노란 색으로 변해 육아실 안에서 곧 죽어갔습니다.
Sacbrood는 일반적으로 일벌에 의해 탐지되며,
그 다음은 꿀벌이 질병이 있는 유충을 제거하여 질병의 확산을 막습니다.
1988년에 호주의 한 연구는 이 바이러스에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건강한 일벌 번데기 43%에서 SBV를 발견했는데
이는 건강한 집단이 치명적이지 않은 낮은 수준의 질병을 옮길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Bailey는 SBV가 서식지에서 흔히 발견되지만, 많은 수의 병든 유충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Bailey, 1967) xxii. Varroa는 아직 이 바이러스의 운반자로 보입니다.
완만성꿀벌마비 바이러스
1974년 L. Bailey에 의해 처음 분리된 SBPV(slow bee paralysis virus)는 초기 감염 후
약 12일 후에 꿀벌 사망을 초래합니다. 사망하기 직전에 SBPV는 벌의 앞다리를 마비시킵니다.
SBPV는 바로아가 발병하기 전에 드문 것으로 여겨졌으나 이제는 더 많이 발견되고
바로아와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영국에서의 연구에 의하면 바로아가 SBPV를 운반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바로아 침입 수준이 가장 높았던 시기에 발병되었습니다(Carreck et al., 2005) xxiii.
꿀벌 사망에 기여하는 다른 잠재적 요인
CCD는 가장 새로운 것이지만 서식지가 멸망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아닙니다.
꿀벌이 죽는 가장 흔한 방법 중 하나는 바로아의 대량 감염으로,
Nosema ceranae와 DWV 감염과 함께 발생합니다.
이것은 제가 말씀드린 양봉가들에게 일어났으며 저는 병원균의 조합으로 서식지를 잃었습니다.
올 봄 캘리포니아에서 발생한 기록적인 손실은 주로 CCD에 의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대부분의 벌통은 심각한 바로아 감염, 추운 날씨, 유럽의 부저병의 부활,
그리고 가난한 먹이와 같은 수많은 요인이 주요한 원인으로 사망했습니다. xxiv
2009년에 발간된 N. Carreck, B. Ball 및 S. Martin의 우수한 영국 연구 논문은 벌통 사망과
varroa 및 DWV의 높은 감염률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xxv
살충제가 꿀벌 사망률에서 차지하는 역할을 둘러싼 많은 논쟁과 과학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네오니코티노이드(neonicotinoids)로 알려진 살충제의 한 종류는
꿀벌 사망률의 주요 요인으로 많은 사람들이 믿는 것처럼 언론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저는 미디어에서 많은 관심을 받은 유명한 하버드 대학의 생물학자인 Chensheng Lu가 실시한
네오니코티노이드를 암시하는 한 연구에 집중하고자합니다. xxvi
통제된 환경에서 꿀벌은 다양한 양의 네오니코티노이드가 포함된 고 과당 옥수수 시럽을 먹입니다.
이 연구는 neonicotinoids와 CCD에 대한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러나 많은 과학자들은 이 연구가 심하게 결함을 가지고 있으며 네오니코티노이드를 사용하는
농업 지역에서 꿀벌을 먹이로 발견할 수 있는 양에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예를 들어, 이 연구는 네오니코티노이드 농약(imidacloprid)의 '현장 현실적' 복용량으로 알려진 것을
사용한다고 주장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경우 살충제인 현장 실제 용량은 농약(imidacloprid)이
작물에 적용된 지역에서 꿀벌이 먹는 것과 동일한 용량이 될 것입니다.
이것은 높은 등급의 네오니코티노이드가 꿀벌이 방향을 잃어 벌통으로 돌아가지 않게 하고,
CCD로 볼 때 비어있는 벌통이 네오니코티노이드가 꿀벌이 벌통으로 돌아오는 능력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된다는 추측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동료 평가 과정에서 몇몇 과학자들은 이 초기 저용량이
이미 현장에서 발생한 것보다 몇 배 더 높았다고 느꼈습니다.
연구자들은 벌들에게 먹이는 농약(imidacloprid)의 수준을 과학자들이
실제 현장에서 먹이도록 정한 수준보다 100-400 배나 증가시키려고 계속했습니다.
당연히, 이 높은 복용량의 imidacloprid는 벌에서 사망을 유발했습니다.
이 연구는 imidacloprid와 CCD 사이에 강력한 연관성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물론 이것은 터무니없는 주장입니다.
예를 들어 내가 사람에게 하루 권장 물 섭취량의 100배를 섭취하는 과학적 연구(예 : 하루에 500잔,
18시간 동안 분당 약 1잔과 같음)를 수행한 경우, 나는 심각한 의학적 문제를 거의 일으킬 것입니다.
그리고 아마 그 연구의 피험자들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며,
물은 인간에게 유독하다고 말할 수 있는 비합리적 방법이 될 것입니다.
이것은 잘못 수행된 과학 연구가 제기하는 위험이며, 이 연구는 나쁜 과학을 수행하는 과학자의 사례입니다.
랜디 올리버(Randy Oliver)는 많은 연구 결과와 과학 커뮤니티i에서 이에 대한 반응에 대한
뛰어난 기사를 썼습니다. xxvi
영국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neonicotinoids)의 현실적인 복용량과 실험실 연구의 과다 복용 사례를
명확히 제시하는 또 다른 연구가 영국 정부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읽을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xxviii
이 연구는 네오니코티노이드가 꿀벌의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의
증가를 지적합니다. 다양한 곤충을 죽이기 위해 사용되는 네오니코티노이드가
과다하게 꿀벌을 죽이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닙니다.
네오니코티노이드는 캐나다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매우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CCD가 보고된 사례는 거의 없습니다. xxix
네오니코티노이드에 대한 비난은 이제 프랑스의 2년 동안의 사용에 대한 유예를 선언하고
진정한 영향을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는 날이 되었습니다.
꿀벌의 쇠퇴에 대한 네오니코티노이드의 비난에는 매혹적인 단순성이 있습니다.
우리는 꿀벌이 직면한 모든 문제를 단순히 사용을 중단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불행히도, 이 문제는 이것보다 훨씬 어렵고,
아래에서 논의될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결코 간단하고 고통스럽지 않습니다.
우리가 꿀벌들에게 너무나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꿀벌들뿐만 아니라
우리 자신에게도 안전한 미래를 보장하기 위해 우리 앞에 큰 어려움이 놓여 있습니다.
또한 나는 네오니코티노이드나 다른 살충제나 제초제 사용에 대해 어떤 방법으로든 지지하거나
지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적하고 싶습니다. 나는 지지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화학물질을 식물에 사용하고 곤충 감염과 싸우는 것은 생물역동 관행에 전적으로 위배되며
항상 피해야 합니다.
네오니코티노이드가 잘못 사용되어 많은 수의 수분 매개체(꿀벌 포함)가 사망한 경우가 있지만,
이러한 사건들은 격리되어 있으며, 이러한 화학물질의 안전한 사용이 무엇인지를 반영하지 않습니다. xxx
이렇게 말해 왔기 때문에, 나는 이 정서적으로 충전된 문제를 탐색하는 것을 돕기 위해
가장 최신의 동료 검토 과학에 의존하는 명확한 판단으로
꿀벌의 소멸을 둘러싼 문제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믿습니다.
과학자들이 발견한 것은 CCD에 굴복한 벌통에는 많은 화학 물질이 있고
주로 벌집 안에 오랜 시간에 걸쳐 쌓인 많은 화학물질이 있다는 것이에요.
이 화학 물질들은 지용성 물질이고 그들이 벌집의 밀랍 안에 들어가면, 그들은 떠나지 않습니다.
발견된 주요 화학 물질들은 바로아 응애와 싸우는 응애구제약인 Apistan과 Check-Mite,
과일나무에 곰팡이가 감염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살균제로 사용되는 것들입니다. xxxi
이와는 대조적으로, 네오니코티노이드는 수용성이며, 벌집 속에서 오랜 시간 동안 쌓이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저는 전자 방사에 대해 매우 간략하게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2011년 다니엘 파브레가 발표한 한 연구에 따르면 휴대전화기가 벌통 안에 설치되었을 때,
전화에서 나오는 전자기파는 일벌들에게 갇혔다는(piping) 행동을 일으키며,
벌들이 분봉할 준비가 되었다는 징후를 보였습니다. xxxii
이 연구 이면의 개념은 전 세계에 존재하는 계속 증가하는 전자기 방사선이 꿀벌의 방향을 잡고
벌통으로 돌아오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입니다. 연구에서, 벌들이 극도로 가까운
곳에 있는 전화기에 의해 방해를 받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그들은 벌통을 떠나지 않았습니다.
논리적으로 매우 단순한 1가지 연습은 전자기 방사선이 CCD를 일으키지 않거나
꿀벌 사망률에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아주 명확하게 입증할 수 있습니다.
전자기 방사선이 CCD와 집단 폐사 원인이라면, 그러면 CCD와 서식지 사망률이 가장 높은 곳은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도시로서, 전자기 방사선이 가장 높은 곳입니다.
(대부분의 기지국과 휴대 전화 및 전자 기기 등)
이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사실 꿀벌 서식지의 도시 생존율은
전자기 방사선이 더 낮은 시골 지역의 양식장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xxxiii
이것은 꿀벌을 위한 밀원식물의 다양성이 더 많고
살충제 사용량이 더 적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도시의 양봉가들은, 그들이 대개 지니고 있는 더 적은 수의 벌통에
더 많은 관심과 관심을 기울일 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는 뭐라고 말했는가?
저는 이 글의 첫 10페이지에서 꿀벌의 감소와 관련해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연구와 논의에 대한 명확한 그림을 보여주려고 노력해 왔습니다.
저는 또한 언론에 만연해 있는 매우 깊고 종종 비과학적인 견해들을 줄일 목적으로
이 주제에 대해 가능한 가장 포괄적이고 최고의 동료들에게 검토된 연구를 제공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루돌프 슈타이너가 양봉에 관한 1923년 강연에서 유명한 말로 언급한 내용과 관련하여
토론의 장을 마련하기 때문에 이 토대가 중요합니다.
이 강연을 자세히 살펴보기기 전에 Stein이 누구였는지에 대해 간단히 말하고 싶습니다.
인지학(anthroposophy)이나 생물역동 운동에 익숙하지 않고 이 글을 읽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Steiner를 철학자나 신비주의자로 언급하는 인지학자들을 교정하기 위해서 입니다.
그는 둘 다 아니었고, 우리가 이런 관점에서 스타이너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의 생각이 일종의 철학적 연습에서 나왔다거나, 뭔가 모호하게 정의된 신비한 경험의 결과라고,
인지학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잘못된 인상을 줄 수도 있습니다.
루돌프 슈타이너는 개척자였습니다. Initiate.
개척자들은 인류의 지도자이며, 인류의 적절한 진화로 인도할 계기를 제공하는 임무를 부여받습니다.
루돌프 슈타이너 (Rudolf Steiner)는 인류에게 중요한 시기인데,
마이클의 새 시대가 최근에 시작되었을 때, 수천 년 동안 닫혀 있던 영적 세계의 문이
다시 천천히 다시 열려졌음을 의미하며, 계속해서 다음 천년기를 그렇게 할 것입니다. xxxv
Steiner는 높은 수준의 투시력 덕분에 영적 세계를 깊이 들여다 볼 수 있었고,
거기서 다양한 종류의 영적 존재의 활동을 목격했습니다.
루돌프 슈타이너가 꿀벌의 세계의 진정한 현실을 전달한 것은 높은 수준의 통찰력과
영적인 세계에 대한 접근 덕분이었습니다. 인지학자들이 알고 있듯이, 각 동물의 종은 영적인
세계에 존재하는 종의 특성이 그 종의 각 동물에서 그들의 표현을 발견하는 집단적 자아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든 개들은 그 종의 집단 자존심 때문에 친숙한 방식으로 행동합니다.
코끼리, 상어, 거미 등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스타이너가 꿀벌에 대해 말했을 때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진화의 초기 단계에서, 그들은 동물과 인간이 완료한 것과
동일한 진화적 연쇄적인 사건과 연결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벌통의 상태는 매우 높습니다.
인류는 다음 주요 진화 단계인 지구의 진화가 끝났을 때 올 금성의 진화 단계가 끝날 때까지
그러한 의식의 지혜를 얻지 못할 것입니다 (p.170). xxxvi
다른 동물 종들과 마찬가지로, 꿀벌의 전체 종의 행동을 지배하는 단 하나의 집단의 자아는 없습니다.
대신, 각각의 벌통은 그들만의 개별적인 의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Steiner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벌통의 집단의 정신은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그것은 우주적으로 귀중하다고 할 정도로 높은 발전입니다….
그것은 대부분의 동물들이 따라온 정상적인 진화과정과는 떨어져있습니다. (p.176)" xxxvii
여기서 우리는 꿀벌과 꿀벌 집단의 본질에 대한 분명한 견해를 봅니다.
꿀벌 집단은 각각 높은 수준의 의식과 지능을 가지고 행동하며,
각 집단 뒤에는 의식적으로 행동하는 영적 존재의 작용이 있어 지상의 벌통의 활동을 수행합니다.
이 사실은 엄청나게 중요하며, Steiner가 여왕의 번식 행위에 대해 언급한 것을 보여줍니다.
여왕의 번식 관행에 관한 논의는, 인지학자는 아니었지만 강의에 참석한, 뮐러라는 양봉가와 함께
이루어졌습니다. 뮐러는 인지학적 청중에게 스타이너가 한 강의 몇 주 전에(1923년 11월 10일)
양봉에 관한 강의를 했고, 이 강의에서 인공적으로 여왕을 번식시키는 것에 대해 말했습니다.
강연이 끝난 직후에, 청중이 여전히 참석한 가운데,
Steiner와 Muller사이에 다음과 같은 대화가 이루어졌습니다.
Steiner박사: 저는 벌들의 지속적인 다산의 원인에 대해 몇 가지 언급하고 싶네요.
[여왕벌은 한번 짝짓기만 하면, 그런 다음 하루에 수천 마리에 달하는 비옥한 알을
나머지 생애에 낳을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이미 멀러 씨의 말에서
여왕벌의 인공 번식에 관련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을 것입니다.
멀러 씨에게 이 방법이 미래에 대해 많은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물어보는 것은
흥미로운 일일 지도 모릅니다.
Mr.Muller : 네, 저는 이 방법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한 집단을 자체의 방법에 맡기고, 주의 깊게 돌보지 않는다면, 그 집단 전체가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 나쁜 점들은 점점 더 많이 생길 것이고, 이전에 좋았던 것은 사라질 것입니다.
Steiner박사: 언제부터 벌들을 인공적으로 산란시켰나요?
Mr.Muller : 약 12년에서 15년 동안.
Steiner박사 : ... 다음 번엔 꿀벌 번식 문제를 좀 더 철저히 조사 할 것이고,
오늘날 무언가가 기반으로 하는 매우 유리한 측정법이 무엇인지 증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인위적으로 생산된 꿀벌만 사용되었다면 지금부터 모든 꿀벌의 번식이 중단됩니다.
우리는 매우 훌륭하게 호의적인 것이 어떻게 이 과정에서 긍정적이었던 것이
점차적으로 파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변화 될 수 있는지를 보고 싶습니다. (177-8 쪽) xxxviii.
스타이너에 의한 추가적인 논평,
1923년 12월 5일의 이번 시간은 더 강조하고 그의 의미를 분명히 한다.
이 강의를 시작하기 몇 주 동안에 뮐러와 다른 사람들 사이에 토론이 이루어졌고,
Steiner이 강연을 시작하기 전에, 그는 청중들 사이의 토론에 대한 요약을 받았다.
이 요약의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뮐러는 꿀벌 번식지가 80년에서 100년 사이에 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그는 Steiner 박사가 50년에서 1백년 안에 인공번식이 적용된 벌 집단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을 쉽게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Steiner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습니다.:
이것은 현재로서는 양봉의 조건에서 벌을 지키는 방법으로
인공적인 것이 좋은지, 나쁜지에 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앞으로 50,60, 또는 100년 후에는 어떤 모습일지 생각해야합니다!
누군가가 오늘날의 이것이 50,60, 또는 100년 후에 어떻게 달라질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하는 것은 꽤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연의 방법과 인공적인 방법으로 하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합니다.
나는 뮐러가 말한 것에 대해 항의하고 싶지 않습니다. 그것은 상당히 정확합니다.
오늘날 이런 것들을 아직 확인할 수 없으므로, 기다려야 합니다.
100년 동안 우리는 이 문제를 함께 논의할 것입니다, 뮐러, 당신의 의견이 어떻게 되는지 봅시다.
그것은 현재로서는 판단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인공적으로 여왕을 만들어 주는 관행은 1800년대 중반 길버트 M. 둘리틀에 의해 개선되었으며
1889년에 출판된 그의 책 "과학적인 여왕 기르기"와 함께 세기가 바뀔 무렵에 널리 실행되었습니다. xxxix
‘Scientific Queen Rearing’
두리틀 방법으로 알려진 이 방법에서는, 수평 6각형의 일벌 방에 여왕이 알을 낳아 4일된 애벌레를
여왕방의 형태와 크기를 모방해 자연스럽게 만든 수직의 여왕 컵으로 옮깁니다.(이충)
가끔 작은 로열 젤리가 애벌레와 함께 컵 안에 놓여집니다.
그리고 나서 이 알들은 여왕이 제거된 벌들의 작은 서식지에 놓여집니다.
일벌들은 곧 여왕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감지하고[여왕은 강한 페로몬을 냅니다.],
벌통 안에 존재하는 여왕 세포로 나타나는 수직 유충들 돌보기를 즉시 시작합니다.
이런 식으로 양봉가는 짧은 시간 내에 수십 또는 수백 마리의 여왕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유충의 4일 개발을 포함한 모든 절차는 여왕벌의 부화기 17일 만에 완료됩니다.)
이 방법은 양봉가에게 엄청난 이점을 가지며, 현대 양봉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양봉가들은 서식지가 자신의 왕비를 만들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습니다.
왕따를 통해 분열할 준비를 하고 있을 때나, 여왕이 늙었고 초월을 통해 실패할 때.
새 이식한 여왕은 2~3 파운드[1~1.5kg]의 작업용 벌이 있는 새로운 벌통에 각각 새 여왕벌을 배치하여
많은 새로운 서식지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극적인 변화는 여왕 이식의 출현으로 발생했습니다.
양봉은 역사적으로 부분적인 농업관행이었습니다.
농작물 수분을 위해 농부는 꿀벌이 필요했으며 몇몇 꿀벌 서식지가 농장의 복잡한 부분이었습니다.
이식의 출현과 함께 이동양봉의 관습도 발전되었습니다.
양봉업은 그 자체로 직업이 되었고 수백 개의 서식지가 운영되는 사업이 발전했습니다.
이 서식지는 농장으로 이송되어 농작물을 수분시킨 다음 제거될 수 있습니다.
양봉가는 이 서비스에 비용을 청구했고 벌꿀도 보관했습니다.
농부는 작물을 키우기에 더 많은 땅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과일과 야채로 이루어진
좁은 수분 기간이 이른 봄에 끝났을 때 벌들에게 밀원으로 남겨두는 야생 공간을 걱정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이런 관행은 이제 엄청난 규모에 달했는데, 아마도 전형적인 예로 아마도 전 세계 아몬드의 80%가
재배되고 있는 캘리포니아의 중심 계곡에서 60만 에이커의 아몬드 생산 지역을 들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커다란 아몬드 과수원이 눈에 보이는 한 멀리 뻗어 있고
아몬드 외에는 식물이 거의 자라지 못하게 해요. [60만 에이커=242,811 ha=734,504,441 평]
꿀벌들은 이 거대한 단일재배가 형성된 지역을 수분시키기 위해 약 4,000킬로미터 떨어진
뉴욕 주 먼 곳에서부터 운반됩니다. 이 트럭 한 대분의 벌들은 곡물들
-사과, 체리, 해바라기, 오이, 감귤류-을 수분시키기 위해 미국 전역을 다닙니다. xl
CCD가 처음 발생한 2006년 이후, 캘리포니아 꿀벌의 1벌통 당 수분 비용이 60달러 미만에서,
2013년 봄에는 200달러 이상으로 뛰어 올랐습니다. xli
역설적이게도, 월동 집단의 실패률이 높을수록 더 많은 이식Grafting이 발생합니다,
이식 또한 진화했으며 여왕의 알은 현미경으로 무균 실험실에서 '수확'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여왕들은 보통 실험실 환경에서 처음으로 채취되는데, 저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에 의해
잔인한 관행으로 여겨집니다. 저는 행해진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유튜브 링크를 포함했습니다. xlii
우리는 벌의 사망률이 증가하는 수준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질병과 기생충에 대해 논의해 왔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어떻게 스타이너가 꿀벌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예측한 것인가?
이식과 벌의 사망률 증가의 연결을 이해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벌통 자체가 의식적이고 영적인 존재와 연결되어 있고, 꿀벌 집단이 지구상의 반영인 것입니다.
여왕이 알을 낳는 것을 포함하여 여왕이 되는 알을 낳는 것이 이해되어야한다는 것은
의식적인 활동에 있습니다. 여왕이 여왕으로서 알을 낳을 때,
그것은 의식적으로 여왕이 되는 것을 의미하고,
일벌 알은 여왕의 활동을 통해, 벌통의 존재에 의해 일벌로 놓여집니다.
이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근로자들이 복제된 난자를 여왕 세포로 이식하면, 이 난자들은 여왕 세포가 되지만,
의도적으로 작업자로 배치된 것입니다. 1
[1 이것은 연구가 수행된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여왕이 알을 여왕의 세포에 낳는 정확한 시간을 아는 것은
큰 관심을 가지며 이것이 일어날 때의 우주적 연결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Steiner는 벌통과 여왕과 관련하여 태양과 금성의 영향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이 사건을 기록하기 위해 벌통에
있는 어둠에 장착된 몇 가지 유형의 카메라가 몇 년 동안 여러 번 열매 맺는 생체 역학적 연구 분야일 것입니다.]
그들은 이렇게 해서 약점을 자손에게 전하는, 열등하고 약한 여왕이 됩니다.
자연적으로 벌이 일벌의 알을 여왕으로 변환시키는 일이 종종 발생하지만
슈타이너는 이를 비정상이라고aberration 말하며 약하고 병든 서식지를 반영합니다.
Steiner의 여섯 째 강의에서는 뮐러와 다음과 같은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Steiner박사: "음식을 먹는 것의 효과는 정말로 매우 강력하고, 어떤 외딴[고립] 지역에서는,
일꾼을 알을 낳지 않는 몇 개의 벌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지만,
진짜 여왕은 아닙니다.
Mr.Muller: 그것이 바로 우리가 가짜pseudo 여왕이라고 부르는데, 그것은 벌통에 질병이 있기 때문이에요.
Steiner박사: 벌통에서는 벌들이 알에게 먹이는 특별한 방법을 사용해서 알을 낳을 수 있도록 하는
이런 경향이 있어요. 이것은 일종의 질병이에요. 벌통은 하나의 실체입니다.
이 경우에, 벌통이 아픕니다... 만약 당신이 일꾼을 여왕으로 만든다면,
이 여왕은, 실제로는, 지나치게 건강한 일꾼이지만, 전체 벌통은 병들었다고 여겨져야 합니다.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비상 여왕이라고 부르는 것이고, 보통 그 서식지가 예기치 않게
여왕이 없을 때 일어납니다. 저는 Steiner의 지적에 따라, 이것이 양봉이 직면하고 있는
모든 문제들을 이해해야 할 기초라고 믿습니다. Steiner은 다음 세대들에게
지구의 모든 석탄을 가져와서 아무 생각 없이 사용하는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은 비유를 합니다.
“그럼 스스로에게 말해야 해요, 좋아요, 우리 후손들에게서 석탄을 빼앗아 올 거예요.
하지만 그들은 또 다른 에너지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기에 석탄이 필요하지 않을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당신은 물론,
벌의 인공 번식에 따른 불이익에 대해서도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21페이지)” xlii
스타이너는 여왕을 이식함으로써 미래에 벌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가 고갈될 것이라는 비유를 합니다.
스타이너는 어떤 유형의 에너지를 언급하나요?
스타이너의 업적과 인지학적 개념에 익숙한 사람들은 스타이너가 생명
혹은 에테르의 힘이라고 부르는 것만 언급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에테르 외장 또는 몸체를 가져야하며,
그것으로 둘러싸서 자연 물질로 분해되어 결국 무기물로 분해되는 것을 방지해야합니다
어떤 생명체의 생명력이나 에테르 힘이 사라지면 생명이 멈추고 태양이 발산하고 생명 자체인
에테르 힘을 지탱하고 유지하는 대신에 지구에서 방출되는 반대의 힘은 이전에 생체를 되찾습니다.
생명이 없는 물질로. 예를 들어, 인간의 에테르 몸이 약해지면, 필연적으로 병과 질병이 생깁니다. xliv
이 사실은 이러한 관점에서 설명되지는 않았지만, 오늘날 사회에서 일반적인 지식입니다.
우리가 지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우리는 질병과 질병에 훨씬 더 취약하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이것은 많은 과학적 자료에 의해 뒷받침 되어 왔습니다. xlv
또한 인간은 운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운명은 우리가 질병과 건강에 걸림돌이 되는 운명입니다.
특히 인간과 전염병의 업보에 대한 슈타이너의 견해는 방문할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제 5강의인 카르마의 출현에서는 인간 자아와 관련하여 말라리아와 콜레라에 대해 논의합니다. xlvi
이 강의에서 그는 약한 자아인 경우에, 콜레라를 치유하면서 강해지는 방법과,
너무 강한 자아인 경우에 말라리아에 걸려서 어떻게 자아 균형을 맞추는지 설명합니다.
제가 여기서 말씀 드리고 싶은 것은 진화 이론에 따르는 것과 같이 질병(말라리아의 경우는
기생충, 그리고 콜레라의 경우에는 박테리아)이 맹목적이지 않고 우연의 결과라는 것입니다.
병illness과 질병도 벌 서식지와 마찬가지로 세계에서 목적을 달성하는 의식의 한 형태입니다.
적어도 개인적인 차원에서 카르마를 가진다고 할 수 없는 동물의 경우, 질병은 자연 선택의 개념으로
생각한 것처럼 약하고 건강에 해롭지 않은 상태에서 죽음을 가져 오도록 행동하며,
다시 무의식적이었다가 오히려 완전한 의식을 지닌 영적 세계로 인도된 것처럼
종을 강하고 건강한 균형으로 유지합니다. <우화등선? 어렵네요.>
이것을 염두에 두면, 꿀벌의 질병과 죽음의 증가는 여왕을 이식하는 광범위한 관행의 형태로
인간의 개입을 통해 야기된 종의 약화된 에테르에 대한 반응으로 보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에이즈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은 면역 체계가 손상되어 약해진 환자를 공격하는
모든 전염병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xlvii
하지만 누군가가 에이즈를 앓고 있다면, 우리는 질병과 감염의 숙주가 되는 근본적인 원인이
결국 에이즈 바이러스 자체의 결과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만약 에이즈 환자가 폐렴으로 죽는다면, 우리는 폐렴이 그 환자의 죽음의 궁극적인 원인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근본 원인은 바로 AIDS바이러스입니다.
같은 방식으로 우리는 꿀벌의 질병과 사망의 근본 원인이 꿀벌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성 숙주 및
다른 병원체에 있지 않다는 점을 말해야 만합니다. 그러나 이 근본 원인은 여왕 이식술에서 찾아야 하고,
질병과 사망률의 극적인 증가는 이러한 근본 원인의 반영 일뿐입니다.
꿀벌의 곤경에 대한 인지학적 관점을 그들에게 제공하기를 원하는 인지학자나 생물역동 의사가
꿀벌의 조건을 규정하는 것은 가장 큰 실수입니다.
스타이너의 말은 분명하고, 이 글이 증명하려고 시도한 것처럼, 꿀벌의 죽는 수의 극적인 증가는,
근본적으로, 여왕의 이식에 의해 일어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꿀벌 감소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정확하게 보존되지 않았지만, 적어도 북미와 유럽에서는 2006년 이전에
발생한 평균 손실이 10-15%였으며, 2006년 이후로 2013년이 30%로 수치가 가장 많이 증가했습니다. xlviii
위에서 보여진 것처럼, 이러한 손실을 수반하여 현재 꿀벌을 감염시키는 병원균의 수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들 중 가장 심각한 것은 새로 태어난 벌들이며, 벌이 다음과 같이 지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카시미르 벌 바이러스(KBV)는 1980년대에 북 아메리카에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바로아는 날개불구 바이러스(DWV)가 나타난 직후인 1990년대에 처음으로 문제가 되었습니다.
Nosema ceranae는 2004년에 널리 퍼졌습니다.
이스라엘 급성마비 바이러스(IAPV)가 2004년에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2010년에 보고된 가장 최신의 바이러스이며, IIV(Invertebrate iridescent 바이러스)로 알려진
바이러스는, Nosema ceranae에 감염되었을 때 역시 나타나서 서식지 죽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xlix
우리는 지금 계속 지고 있으며, 이 추세가 계속된다면 정말로 재앙 수준에 이를 것입니다.
아마도 가장 놀라운 점은, 제가 판단하기로는 현재 여왕벌의 번식 행위를 꿀벌의 약점의 원인으로
보고 있는 과학적인 연구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 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가 없다면,
우리는 훨씬 더 많은 꿀벌들이 가까운 미래에 서양에서 사라질 것에 대비해야 할 것이고,
저는 현재 10년이 지나기 전이라고 믿습니다.
흥미롭게도, 일부 영역에서 높이 월동하여 서식지 손실에 영향을 받은 면역 혼란이
CCD의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한 연구에서 우루과이에서 40,000개가 넘는 양봉 벌통을 조사한 결과,
Varroa 진드기, Nosema ceranae, DWW 및 기타 병원체가 검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역사적인 기준을 초과하는 심각한 손실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보고했습니다.
저는 이 지역에는 오래된 양봉 방법의 흔적이 존재하며,
벌들이 분봉과 비상왕대을 통해 자신의 여왕을 만들 수 있는 흔적이 여전히 남아 있다고 추정합니다.
꿀벌의 미래와 인지학 [人知學, anthroposophy]의 과제
위와 같은 상황에서 꿀벌 서식지의 훨씬 더 크고 재앙적인 손실이 불가피하며, 꿀벌 사망률이 증가하고
꿀벌을 감염시키는 새로운 병원균들에 의해 치명적인 손실이 가까운 미래에 발생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이것은 상업적 농업에서 꿀벌에 의해 수분되는 많은 식료품의 가격이
서양에서 훨씬 더 비싸질 것이라는 것을 의미할 것입니다.
특히 수분없이 전혀 생산할 수 없는 과일, 멜론, 스쿼시 및 호박 작물이 가장 위험합니다.
이 점을 명심하고, 인지학자, 특히 생물역동 양봉가는
이 매우 중요한 개발 위기에서 그들의 중요한 역할을 이해해야합니다.
오늘날 사회에는 도덕의 결핍과 세상의 진정한 정신적 본성에 대한 이해를 반영하는
많은 다른 문제들이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 기업의 탐욕, 바다의 독, 생물 종의 멸종,
그리고 세계의 빈곤과 굶주림은 모두 우리가 살고 있는 격동의 시기의 흔적입니다.
우리는 또한 꿀벌의 곤경을 현재의 인간이 서 있는 불쌍한 상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이 모든 사건들 속에서 영적 세계의 존재들은 인류를 엄격히 바라보고,
시대의 문제들을 해결해야만 하는 방식으로 세상을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꿀벌의 경우, 영적 세계는 인지학자에게 정면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루돌프 슈타이너를 통해 말한 영적 세계는, 위기의 시점에 도달하기 전인 거의 100년 동안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우리에게 제공했습니다. 1919년 제 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
루돌프 슈타이너는 참되고 영적인 사회적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진정한 기회를 예견했습니다.
강연회인 ‘Social Future’에서 Steiner는 서구 문화의 발전과 활성화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유럽의 잿더미 속에서 새로운 사회 질서를 형성할 수 있는 기본 틀을 제시했습니다.
이 기회는 사라졌으며, 이를 통해 인류의 적절한 진화에 필수적인 세계에 대한
인지학적 이해를 가져올 수 있는 기회도 잃어버렸습니다.
이러한 기회는 이제 인지학적 움직임 앞에 다시 놓였는데, 이 움직임에서 꿀벌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인지학적인 이해를 통해서만 진정한 빛을 볼 수 있습니다.
실용적인 해결책
꿀벌이 다시 건강해지려면 가장 중요한 조치는 꿀벌이 자신의 여왕을 만들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일어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꿀벌이 자연적으로 분봉을 하도록 허용하는 것입니다.
생물역동 양봉가는 무엇보다도 꿀벌이 여왕 세포를 만들도록 허용해야하며,
여왕벌 세포를 생산한 벌통에서 적어도 하나의 떼가 생길 수 있도록 허용해야합니다.
그 후에 많은 여왕 세포가 남아있다면, 특히 그들이 하나 이상의 틀에 있다면,
제가 '자연 분열' 이라고 부르는 것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자연 분열에서,
여왕 세포를 가진 1틀은 5틀 핵군(nuc)의 벌통에 놓여지고 적어도 1틀의 뚜껑 달린 꿀을 가집니다.
그런 다음 나머지 핵군(nuc)은 빈 틀로 채워져 꺼낼 수 있습니다.
또한 제가 읽었지만 한 번도 시도하지 않았던, 가능성이 남아있는 여왕 세포를 가져오는 것인데,
여왕 세포가 하나 이상 있는 틀에서 조심스레 자르고, 여왕 세포가 없는 기존의 프레임에
천천히 밀어 넣는 것인데, 그 것들을 적어도 꿀 1틀이 있는 핵군 통에 두는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새로운 여러 서식지를 분봉하는 한 서식지로부터 만들 수 있습니다.
이것은 물론 이상적인 것이 아닙니다. 이상적인 방법은 벌이 마음대로 무리지을 수 있게 하는 것이고,
비록 늙은 여왕이 분봉한 뒤에 새로운 처녀 여왕이 분봉하는 것을 의미할지라고 말입니다.
(저희는 많은 양의 꿀을 만들기가 아니라 건강한 꿀벌 만들기).
그러나 종종 첫 번째만 분봉하는데, 처음 등장한 새로운 처녀 여왕에 의해
부화되지 않은 다른 여왕 세포는 살해된 것입니다.
벌들이 분봉하는 것이 양봉에 못마땅하다고 널리 퍼지고 있는데,
이것이 꿀 수확량을 줄이고, 벌통에 새로운 여왕벌을 만들면 서식지에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이
도입될 수 있다고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의견들은 생물역동 양봉가들에 의해 다루어져야 합니다.
저는 생물역동 양봉이, 필요로 하는 양봉가들과 농부들에게 팔 수 있는,
건강한 집단의 벌들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도 중요하다고 믿습니다.
이것은 의약품이 Weleda(스위스 천연 유기농 제품)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방법과 비슷하게,
상업적인 생물역동 양봉이 일어나는 것을 요구합니다.
만약 스타이너의 징후가 정확하다면, 미래에 꿀벌 판매를 위한 대규모 시장이 분명히 존재할 것이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꿀벌의 약화된 에테르들은, 가능하면 전 세계의 많은 지역에 이식되어
약화된 여왕 서식지를, 자연 여왕으로 교체함으로서 점차적으로 강한 서식지를 만들어갈 것입니다.
또한 이러한 더 건강한 꿀벌에 대한 관심은 꿀벌과 양봉에 대한 참되고 영적인 이해를 위한
기초를 다질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이러한 형태의 기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판매할 서식지 지역의 양봉 표준화가 필요합니다.
표준 랑그스트로스 벌통(핵군과 실물치수 벌통) 및 호프만 틀은 상업적 사업에 사용됩니다.
저는 더 자연스런 벌통(짚, 통나무벌통, 1방 벌통, 톱 바 벌통 등)을 버리는 것을 지지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종류의 벌통은 '엄마' 벌통으로 사용해 표준 벌통에 넣을 수 있는 떼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종류의 사업에 대한 아이디어는 건강한 벌을 생산하기 위한 것입니다.
꿀을 생산하는 개념은 2차적인 것이며, 단지 명백하게 초과하는 경우에만 가능할 것입니다.
가장 귀중한 여왕을 주목하는 것 또한 중요하며, 따라서 가장 가치있는 서식지,
가장 강력하고 건강한 가축은 긴 세대의 자연 여왕들을 배출함으로서 성취될 것입니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자연적인 여왕 세포로부터 태어난 여왕들이 보호되어야 합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봅시다. : 이식된 여왕과 함께 벌들이 분봉합니다.
이식된 여왕(늙은 여왕)은 떼와 함께 떠났고, 새로 부화한 1세대 자연의 처녀 여왕이 벌통에 남아 있습니다.
이 여왕은 원래 이식된 여왕보다 더 좋은 자질을 지닌 더 강력한 여왕입니다.
2년 후, 이 벌통은 다시 분봉합니다.
이제, 1세대 여왕(지금은 오래된 여왕)이 분봉으로 떠났고 새로운 2세대 처녀 여왕이 벌통에 남아 있습니다.
이 2세대 여왕은 1세대 여왕에 비해 더 높은 가치와 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식되어
약한 여왕에게서 1세대 더 멀어졌습니다. 이 과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진행되어야 합니다.
서식지는 더 많은 수의 육아상자나 계상을 추가하지 않고, 일정하게 고정된 공간에 두어
자주 분봉할 수 있습니다. 1방 벌통, 짚 벌통, 자연 통나무 벌통 및 톱 바 벌통 모두 표준 랑그스트로스
벌통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 이러한 종류의 자연 벌을 기르기 위한 좋은 후보자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목표는 아마도 수십 세대가 넘는 긴 계보에 걸쳐 강하고 자연스런 집단을 형성하여,
오늘날의 꿀벌보다 훨씬 강력한 방법으로 질병과 해충을 견디어내[퇴치하]는 것입니다.
저는 해충은 약화된 생물들을 공격하고, 꿀벌이 강화되면 해충 침입의 정도
또한 자연적으로 줄어든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꿀벌의 에테르 건강을 두 가지로 묘사합니다.
첫째, 전체 종의 일반적인 에테르 건강이 있습니다.
여기서 모든 꿀벌은 실질적인 큰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광범위하게 시행된 이식은 종 전체가 영향을 받을 것이므로 이식되지 않은 꿀벌의 개체군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 반대는 또한 사실이며, 여기에서 논의하는 벌에 대한 대규모
자연 번식 양봉장을 만드는 것과 같은 유익한 관행들은 전체 종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의 꿀벌의 에테르 건강에 대한 두 번째 그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타나는 개별 서식지의 건강입니다.
이전에 말했듯이 슈타이너는 각각의 꿀벌 서식지가 그와 관련된 정신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구체적으로 말했고, 그것은 개별 서식지를 위한 일종의 집단 영혼으로 서 있다고 명시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오랜 기간에 걸쳐, 여러 세대에 걸친 자연스런 여왕의 탄생을 통해
이러한 서식지의 건강이 만들어진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 개별 서식지들은 이러한 서식지가 더 많이 존재하면 할수록 더 강해지는 힘이 주어지므로,
종의 전체에 힘을 실어주는 것이 눈에 띌 것입니다.
꿀벌의 건강을 높이기 위해서는 먹이를 찾는 서식지의 토지의 건강과 다양성을 고려해야합니다.
꿀벌의 강의 6[2]에서 Rudolf Steiner는 꿀벌들이 진정으로 사랑하는 꽃들로부터 크고 다양한
밀원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2 여기의 참고 문헌은 www.rsarchive.org에서 구할 수 있는 6번째 강의에서 나옵니다.
그러나 제가 갖고 있는 단행본 5번째 강의에 있습니다.(Anthroposophic press, 1998).]
벌들이 수년 동안 나무에서 그들의 꿀인 거의 모두 화밀을 모으도록 강요받는 것은 사실입니다.[감로까지]
그러한 수년 동안, 벌들의 혈액 구조는 극도의 위험에 처해집니다.
그들은 다른 해보다 질병을 더 쉽게 병에 걸립니다.
그러한 상황에서는, 미래의 양봉가들이 아주 작은 온실을 만드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그리 클 필요는 없습니다. 거기서 양봉가들은 연중 특정 시간에 벌이 사랑하고,
벌이 분명히 필요로 하는 그러한 식물을 계속 보유하며 인공적으로 기릅니다.
이런 식으로 양봉가는, 예를 들어 5월에, 벌을 보낼 수 있는 작은 화단을 만들 수 있습니다.
벌들은, 그들이 필요로 하는 특정 식물들이 자연에서 매우 열악하거나,
심지어 5월의 시기 동안 존재하지 않을 때, 본능적으로 그들을 찾아낼 것입니다. li
벌들에게 그들이 사랑하는 식물의 화밀을 제공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그것이 벌들이 그들에게 가장 좋은 일을 하도록 하는 겁니다.
여기서 우리는 꿀벌이 선호하는 식물 대신 작물처럼 우리에게 가치가 있을지 모르는 식물을
심는 유혹을 반드시 이겨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메밀과 같이 화밀, 꿀, 곡물을 생산하는 일년생 식물을 심는 것이 유익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보리지 (borage)와 같은 식물에 나란히 두었을 때, 메밀보다 멀리 떨어져있는
보리지를 선호하는 꿀벌은 메밀을 무시합니다.(이것은 캐나다 서부의 제 지역에서의 경험입니다.)
이에 덧붙여 북미와 유럽의 많은 지역에서 화밀 부족이 종종 발생하는 계절,
특히 가을에 식물의 개화기를 아주 다양하게 심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입니다.
또한 중요한 것은 생물역동 증폭제*preps로 생명을 주는 힘을 땅에 주는 것입니다.
500 및 501은 각각 최소 1년에 1번 이상 적용해야 하며, 더 많이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Demeter 표준 참조). lii [증폭제*- Preparation, 500=암소뿔+소똥, 501=수정(실리카)가루+소뿔]
생물역동 방법을 사용하여 준비된 퇴비는 꽃이 피는 목초지에 적용되어야 하고,
건강한 식물을 제공하여 벌들을 위해 건강하고, 생명이 가득 찬 화밀을 생산하게 합니다.
꿀벌들이 다시 건강해지고 번창할 수 있는 최상의 환경을 만드는데 고려해야할
또 다른 중요한 문제는 바로아 응애를 다룰 때 고려해야할 사항입니다.
오늘날, 제가 대충loosely ‘자연 양봉’이라고 부르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이 운동은 바로아 응애나 다른 꿀벌의 병원균을 죽이기 위해 첨가되는 모든 화학약품 처리를
부자연스럽지만 상대적으로 생산적인 것으로 간주합니다.
저는 양봉이 미래에 우리가 노력해야 할 이상적인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이 접근 방식에 반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생물역동 접근방식으로 볼 때,
현재의 양봉에 대한 이 접근방식과 관련된 중요한 결점을 지적하고 싶습니다.
바로아를 통제하기 위한 이 자연적인 접근법의 한 가지 측면은
서식지의 번식 주기에 장애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Varroa 알은 육아 방에서 배양되므로, 꿀벌 알이 서식지에 없는 기간인 경우,
바로아는 자신의 새로운 알을 낳을 곳이 없어서, 응애의 기하급수적인 팽창을 느리게 합니다.
이 순환을 중단시키는 한 가지 방법은 봄철 중간에서 늦은 봄에 서식지를 나누는 것입니다.
새로 형성된 서식지는 여왕이 없는 채로 남아 있으며, 위에서 설명한 대로,
일벌들은 곧 그들의 여왕이 없는 것을 느끼고 비상 여왕을 만듭니다.
새로운 여왕이 등장하는데 걸리는 시간에는 서식지에 새로운 알이 없을 것이고,
따라서 바로아가 알을 낳을 장소가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이식에 대한 논의에서 앞서 설명했듯이, 좀 더 약한 비상 여왕을 만들어내며,
서식지의 전반적인 힘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이런 이유로, 저는 이 기술은 피해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 다른 자연스러운 기술은 빈 수벌 틀을 서식지에 두어 여왕이 무정란을 낳아 수벌이 되게 하는 겁니다.
수벌은 일벌보다 더 긴 부화기를 가지고 있으며 (일벌은 21일, 수벌은 24일), 이런 이유로 varroa는
벌이 나오기 전에 바로아 알이 성숙할 확률이 더 높을 것이라고 여겨서 수벌 방을 선호합니다.
Varroa는 이 불가사의한 현상에 놓인 다른 알들 사이에서 차이점을 구별할 수 있는,
수벌 육아방에 있는 다른 페로몬, 또는 아마 페로몬의 부족을 감지할 수 있을 것으로 믿어집니다.
어쨌든 이러한 과정이 일어나고, varroa는 수벌 방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varroa를 제어하기 위해, 수벌 틀은 수벌이 나오기 전에 얼려서 부화 수벌과 바로아는 모두 죽습니다.
저는 이것을 하지 않아서 이것의 효능을 논평할 수는 없지만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바로아를 자연스럽게 조절하는 마지막 방법은 벌들이 치료도 받지 않고,
가장 강한 벌들과, 어쩌면 가장 위생적인 벌들과 함께 생존해 나가도록 하는 것입니다.
자연 도태의 과정을 통해,
이 벌들이 바로아에서 생존할 수 있는 최고의 능력을 가진 새끼를 낳을 것으로 보입니다.
위에서 설명한 방법인 수벌 방을 나누어 생성하는 것은 벌들이 어떠한 화학적 치료도 받지 않고
바로아를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함께 이루어집니다.
생물역동으로 보았을 때, 바로아 치료를 받지 않고 월동하는 것과 관련된 몇 가지 근본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바로아가 창궐한 해에는 서식지 사망이 대규모로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현재는 매년 나타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생물역동 양봉가가 자연적으로 길러진 여왕으로 긴 혈통을 만들려고 하는 과정을 시작한다면,
이 과정에서 바로아 때문에 잃은 것을 회복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예를 들어, 생물역동 양봉가가 제 3세대 여왕과 그에 해당하는 서식지를 성공적으로 만들었다면,
이 서식지를 바로아 때문에 잃고, 제 3세대 서식민지로 돌아오는데 적어도 3년은 걸릴 것입니다.
중요한 6년의 후퇴입니다.
만약에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번식하고 분봉하도록 놔둔다면, Steiner가 옳다면,
벌은 더 강해질 것이므로, 이 힘의 증가는 점차적으로 이루어질 것이고,
아마도 정말로 강한 서식지가 생기기까지는 수십 년이 걸릴 것입니다.
결국, 벌이 지금의 시점에 오기까지는 인공이식 과정으로 수십 년간의 허약한 관리가 있었습니다.
바로아 내성 꿀벌을 만드는 이 화학 물질이 없는 자연 선택 과정에서,
제가 예견하는 두 번째 문제는, 벌을 약하게 하는 근본 원인은 번식에 있지,
번식 결과로 현재 벌에 감염되는 병원균이 아니라는 겁니다.
다시 폐렴으로 고통 받는 에이즈 환자의 비유로 돌아가 봅니다.
에이즈 환자에게 어떤 치료나 약물 없이 폐렴과 싸우게 하고, 미래의 폐렴 감염에서도 생존한 환자에게서
어떤 형태로든 폐렴을 저항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어리석은 일일 것입니다.
이것은 물론 폐렴 감염이 에이즈 바이러스에 의해 면역 체계가 약화된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우리가 벌들에게 바로아에 대항하여 스스로를 지키라고 남겨둘 때
우리가 벌에게 요구하는 것이 아닙니까?
Varroa는 꿀벌이 약해지는 근본적인 원인, 즉 여왕 이식의 결과인 것으로 여겨져야만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연 도태를 통해서 위생적이고 바로아 내성의 혈통을 만들려는 시도는 결국 실패로
끝날 것입니다. 어쩌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긴 세대의 여왕이 대량으로 만들어졌을 때, 강력한 서식지와
함께 이런 여왕이 만들어진다면, 아마도 벌들이 스스로를 방어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때까지는, 바로아와 종종 바로아 응애와 함께 오는 바이러스 감염의 치명적인 조합과
꿀벌이 싸우는 것을 돕기 위한 조치들을 취해야 합니다.
이것을 촉진하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합니까?
바로아를 치료하는 자연적이고 화학적인 방법을 말할 때,
제가 좋아하는 구분은 자연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화합물과 사람이 만든 화합물 사이입니다.
사람이 만든 varroa 치료는 일반적으로 자연적인 항생제입니다.
북아메리카에서 바로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가장 흔한 항생제는
Apistan (Fluvalinate)과 Checkmite (Coumaphos)입니다.
이러한 화학 물질의 사용과 관련된 두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바로아 응애의 이러한 화학 물질에 대한 저항성을 발달시켰습니다.
더 많은 치료로 응애가 살아남을수록, 더 많은 항생제가 필요하게 됩니다. liii
생존한 그 varroa 응애는 varroa 내성의 자손을 만듭니다.
이것은 결국 더 강한 바로아 응애를 초래하는 악순환을 일으키는데, 이는 분명히 피해야 만합니다.
사람이 만든 항생제를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두 번째 문제는,
그들이 지용성이며 위에서 간략하게 언급한 대로 벌통의 벌집 속에 쌓인다는 것입니다.
CCD로 멸종된 벌통에서 발견되는 공통점 중 하나는
벌집 속에 이 두 가지 항생제가 모두 다량 수준으로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liv
비록 이 항생제들이 바로아를 죽이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꿀벌을 약화시키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러한 인공 화학 물질에 대한 이 엄청난 단점들을 모두 근거로 해서,
이들은 생명역동 양봉가가 사용하면 안 됩니다.
두 번째, 그리고 바로아를 치료하기 위해서 자연적인 방법으로 제가 생각하는 것은
개미산이나 옥살산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 모두 유기산으로 자연에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집니다.
옥살산은 토끼풀, 대황, 시금치 등을 포함한 모든 식물에서 다양한 수준으로 발견됩니다. lv
개미산은 또한 서양쐐기풀을 비롯한 수많은 식물에서 발생하며, 개미가 대량으로 만듭니다.
개미산은 또한 모든 쏘는 벌과 말벌의 독과 꿀 속에도 들어 있습니다.
또한 식품 및 사료 업계에서 방부제로 사용됩니다. lvi
이러한 두 유기 화합물은 모두 수용성이므로 꿀벌의 벌집이나 지방 조직에 쌓이지 않습니다.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는 이 두 가지 유기 화합물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
"자연계 어디에서나, 인체의 어디에서나 포름산(개미가 농축된 형태로 공급하므로 독일어로
'개미산' 또는 '포름개미산'이라고 합니다.)을 발견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당신은 자연의 모든 곳과 인체에서 Kleesaure, 또는 옥살산을 발견할 것입니다." lvii
슈타이너는 옥살산이 곤충들에 의해 개미산으로 어떻게 변형되는지를 기술하고, 곤충들이
지구를 비행할 때 소량으로 스며 나오면서 지구 대기를 통해 희석되어 퍼지게 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슈타이너는 벌들의 강의 8에서 자연과 인간에 대한 개미산과 옥살산의 목적에 대해 상세하게 말합니다.
지구와 인간 모두 지속적으로 옥살산을 개미산으로 변환시키고 있습니다.
만약 몸에 단지 너무 적은 양의 개미산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은 썩을 것이고
더 이상 영혼을 지지할 수 없을 것입니다. 몸은 노화되고 영혼은 떠나야만 합니다. ...
자연에서도 개미산은 옥살산으로부터 계속해서 나옵니다.
그래서 지구는 계속해서 산소와 질소뿐만 아니라 개미산으로 둘러싸여 있을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지구의 경우에, 개미산은 또한 지구의 영혼과 지구의 정신을 위한
기초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lviii
이 정보를 바탕으로, 바로아 치료를 위해 생명역동 양봉에서 왜 옥살산이 허용되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lix
여기에 저는 개미산이 이 목록에 추가되어야한다고 제안할 것입니다. 개미산과 옥살산은
모두 벌통에 있는 모든 바로아를 약 90-95% 죽여서 병을 치료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옥살산의 문제점은 그것이 또한 새끼도 죽일 수 있으므로 벌통에 새끼가 없는 보통 11월이 되기까지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는 추운 날씨에 벌통을 여는 것을 의미하며, 벌통이 바로아로 인해 약해져서 겨울에 들어가는 것을
의미하며, 날씨가 추워지고 모든 먹이 찾기가 끝날 때까지 구호하지 못합니다.
이런 이유로, 저는 개미산이 더 좋은 선택이라고 믿습니다.
바로아 감염이 높은 수치에 도달하기 시작하고, 개미산이 새끼를 죽이지 않을 때인 8월 초중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개미산은 또한 기문응애tracheal mite를 죽이는데 옥살산은 그렇지 않습니다.
벌통은 날씨가 따뜻할 때 열릴 수 있고, 진짜 겨울이 시작되기 전에
바로아와 그에 수반되는 바이러스를 제거함으로써 추위에 대처하는데 도움이 되는 힘을 얻습니다.
전통적으로 개미산은 개미산에 흡수 패드를 담근 다음 일주일 동안 벌통에 놓고, 세 번 반복하여
사용하지만 일부 방법은 다를 수 있습니다. 저는 어떤 제품에 대해서도 대변인이 아니지만,
저는 개미산을 아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언급해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제품은 Mite Away Quick Strips라고 불리며 올해는 캐나다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단지 1주일의 사용만 필요로 하는 개미산 패드이며 사용 2주 후에 꿀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이 제품은 90% 이상의 모든 응애를 죽입니다. lx
저는 8월 중순에 이 제품을 시험해 보았고 매우 낮은 벌 사망률과 많은(300+) 응애를 죽였습니다.
숙련된 양봉가들은 개미산과 옥살산을 수십 년 동안 사용해오고 있으며,
아직까지도 바로아에는 저항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천연 산들 중 하나를 처리함으로써
벌들은 바로아 수치가 높은 지역에서 겨울 동안 생존할 확률이 훨씬 높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생물역동 양봉가가 여왕의 긴 혈통을 만들려고 할 때,
이 전제에 기초하여 양봉장을 만들려고 할 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을 끝내기 전에 생물역동 양봉가들에게 한 가지 더 추천하고 싶습니다. :
북부 기후의 모든 꿀벌을 위해 단열된 벌통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양봉의 ABC와 XYZ’는 단열재가 없는 벌통에서 벌들이 월동하는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을 합니다.
[The ABC and XYZ of Bee Culture]:
북위 40도 북쪽에서
1겹 벽으로 둘러싸인 벌통으로 실외에서 벌들을 월동시키는 것은 현명하지 못합니다.
서식지가 월동하는 동안, 노출의 충격이 너무 커서 아마도 꿀을 모으는 데는 별로 좋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벌통을 강풍으로부터 보호하는 것과,
벌통을 둘러싼 벽들은 2중으로 하여 따뜻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수 2중 벽의 벌통이 제조되며, 사이 공간은 왕겨, 대패밥, 나뭇잎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채워집니다.
반드시 뚜껑 또는 지붕도 또한 2중으로 만들어서 집단의 열이 너무 쉽게 방출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필요한 동물의 열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장소를 차지하게 됩니다.
그렇게 해서,
더 따뜻하고 더 잘 보호받는 집단일수록 먹어야하는 꿀이 더 적다는 것을 기억해야만 합니다. lxi
여기서 우리는 단열된 벌통을 사용해서 벌들을 따뜻하게 유지하도록 만드는 매우 논리적인 경우를 봅니다.
벌들은 '날개를 떠는shivering'으로 알려진 과정으로 따뜻하게 유지하는데,
이 과정에서 벌들은 열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비행 근육들flight muscles을 진동시킵니다.
이 과정은 에너지(꿀)가 필요하므로 벌통이 효율적일수록 집단이 소비해야하는 꿀이 더 적어집니다.
이것은 또한 벌들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줍니다.
왜냐하면 똥을 쌀 수 없는 벌들은 설사(이질)와 노제마 병에 더 걸리기 쉽기 때문입니다.
[과도한 노동은 똥을 만들지도 못할 정도? - 2주간의 극강훈련에 단1번의 배변 경험.
낮은 온도를 오래 유지하면 면역력이 약해져서 바이러스를 막아내는 힘이 떨어짐?]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해 벌들이 먹어야할 음식이 적을수록, 배설물이 덜 축적되고
더 건강해질 것입니다. 100년 전에 ‘양봉의 ABC와 XYZ’에 쓰여진 상식 하나가
지금은 많은 양봉가들 사이에서 사라진 것으로 보입니다. ‘The ABC and XYZ of Bee Culture’
표준 Langstroth 벌통은 두께가 보통 3/4인치(19mm)인 1겹single layer의 합판으로 만들어집니다.
이것은 또한 톱 바 및 다른 유형의 벌통들도 그런 것 같습니다.
이 단일 층은 북부 기후에서의 벌, 특히 많이 약화된 상태인 오늘날의 꿀벌에게
충분한 보호 및 단열을 제공하지 않을 것입니다.
저는 단열 발포foam 보드와 나무 부스러기를 둘 다 사용했습니다.
표준 Langstroth 벌통을 사용하여 단열 벌통을 만든 다음,
여기에 0.5인치(13mm) 폼 보드를 접착해 입히고 다음에,
이 위에 또 다른 합판 층을 추가하는 것은 매우 간단합니다.
폼 보드에는 습기가 축적되지 않습니다.
폼 보드의 단점은 자연스럽지 않다는 것입니다.
이번 겨울에, 저는 외부는 합판 벽으로 벌통을 만들고,
그 다음에 표준 호프만 틀Hoffman frame에 맞는 짚 판straw lining으로 내부를 만들 예정입니다.
이와 같이 벌통을 만들 때 더 큰 바닥판도 만들어야합니다.
저는 또한 상부의 육아실 위쪽에 망 바닥이 있는 7.5cm 높이(3인치)의 나무 상자를 놓습니다.
이것은 벌통에서 나오는 과도한 수분을 흡수하는 대패밥으로 채워집니다.
겨울 내내 점검할 수 있으며, 대패밥은 축축해지면 쉽게 교체할 수 있습니다.
저는 또한 어린 양털과 나뭇잎이 이런 목적으로 사용되었다고 들어본 적이 있습니다.
‘양봉의 ABC와 XYZ’에는 2겹 벽으로 된 벌통의 아주 좋은 그림들과
겨울 동안 폭풍우로부터 서식지를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더 큰 구조의 그림들이 있습니다.
'벌동'과 '월동' 부분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이 책은 www.archive.org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결론:
꿀벌이 직면하고 있는 위기와, 그리고 이 사랑의 창조물에 너무 의존하는 인간을.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측면은 꿀벌의 참된 정신적 본성을 이해하는데 있습니다.
저는 이 글에서 여왕의 이식이 꿀벌이 직면한 위기의 근원에 있다고 말했지만,
이것은 정신적 이해의 결핍을 물리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이해되어야 합니다.
진정한 지식은 영적인 세계에서 직접 루돌프 슈타이너를 통해 인지학자들에게 주어졌습니다.
저는 꿀벌을 구원하는 것이 인지학의 과업이라고 믿고 있는데,
이는 우리들만이 이 가장 귀중한 신의 피조물에 대해 진정으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1924년 8월 3일 카름스 3권에 나오는 루돌프 슈타이너의 말로 이 글을 마무리 합니다.
나는 인지학적 운동 안에서 강렬한 자세로 서있는 사람들이 세기 말에 돌아올 것이며,
다른 사람들은 그들과 단합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왜냐하면 지구와 파괴된 지구문명의 구원이 이 방법으로 결국 해결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인지학적 운동의 사명이며, 한편으로는 가슴에 크게 힘을 주고,
다른 한편으로는 심장을 뛰게 하며, 열정으로 그것을 향상시킵니다.
이 임무는 우리가 이해하고 보아야만 합니다.
모든 의견이나 질문은 제 이메일 주소로 보내주세요.: jbbach1@yahoo.ca
고마워요,
John Bach
i http://www.fas.org/sgp/crs/misc/RL33938.pdf
ii http://www.frequency.com/video/dan-rather-reports-buzzkill/87705620/-/YouTube
iii http://us1.campaign-archive1.com/?u=5fd2b1aa990e63193af2a573d&id=b80378a660&e=09c7162298
iv http://news.psu.edu/story/141186/2007/02/19/research/probing-question-whats-killing-honeybees
v http://wn.rsarchive.org/Lectures/GA351/English/SGP1975/NinBee_index.html
vi This book is in the public domain and is available online at the following address:
http://archive.org/details/abcxyzofbeecultu00root
vii http://archive.org/details/abcxyzofbeecultu00root (p150)
viii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diseases_of_the_honey_bee
ix ibid
x http://archive.org/details/abcxyzofbeecultu00root (p.134)
xi http://entnemdept.ufl.edu/creatures/misc/bees/tracheal_mite.htm
xii http://en.wikipedia.org/wiki/Varroa_destructor
xiii ibid
xiv http://en.wikipedia.org/wiki/Nosema_apis
xv http://scientificbeekeeping.com/nosema-ceranae-not-your-fathers-nosema/
xvi http://ec.europa.eu/research/agriculture/pdf/virology_and_the_honey_bee.pdf
xvii Bailey, L., Gibbs, A.J. & woods, R.D. (1963) Two viruses from adult honet bees (Apis mellifera Linnaeus). Virology of General Virology 21, 251-260.
xviii http://en.wikipedia.org/wiki/Deformed_wing_virus
xix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472076/
xx Bailey, L., Carpenter, J. M. & Woods, R. D. (1979). Egypt bee virus and Australian isolates of Kashmir bee virus. J Gen Virol 43, 641–647.
xxi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2007/09/070906140803.htm
xxii Bailey, L. (1967). The incidence of virus diseases in the honey bee. n. appl. Biol., 60: 43-48.
xxiii CARRECK, N L; BALL, B V; WILSON, J K; ALLEN, M F (2005) The epidemiology of slow paralysis virus in honey bee colonies infested by Varroa destructor in the UK. In Proceedings of XXXIXth International Apicultural Congress, Dublin, Ireland, 21st-26th August 2005. 32-3.
xxiv
http://www.google.ca/url?sa=t&rct=j&q=&esrc=s&source=web&cd=1&ved=0CDEQFjAA&url=http%3A%2F%2Fgallery.mailchimp.com%2F5fd2b1aa990e63193af2a573d%2Ffiles%2FWhat_Happened_to_the_Bees_This_Spring2013_opt.pdf&ei=d90WUuO1POifiQLM54DQAw&usg=AFQjCNH_-AObFmPR-rFwYMz2TtYff7PtkQ&sig2=LKf-2el5dw4_go99OWUpWQ&bvm=bv.51156542,d.cGE [
What happened to the bees this spring?]
xxv Journal of Apicultural Research 49(1): 93-94 (2010) (see bee virus, varroa and moitliry.pdf)
xxvi
http://www.google.ca/url?sa=t&rct=j&q=&esrc=s&source=web&cd=1&ved=0CDcQFjAA&url=http%3A%2F%2Fwww.hsph.harvard.edu%2Fchensheng-lu%2Ffiles%2F2012%2F10%2Fin-situ-replication-of-honey-bee-colony-collapse-disorder.pdf&ei=N5MVUobBGcH6iwLTnoDACQ&usg=AFQjCNFtqj6kfx8SI_1Elu7P8U0aFoJIzg&sig2=pEF7kd9sN4KT5i_e1zp0EA&bvm=bv.51156542,d.cGE
[http://www.bulletinofinsectology.org/pdfarticles/vol65-2012-099-106lu.pdf ?]
http://www.google.ca/url?sa=t&rct=j&q=&esrc=s&source=web&cd=1&ved=0CDcQFjAA&url=http%3A%2F%2Fwww.hsph.harvard.edu%2Fchensheng-lu%2Ffiles%2F2012%2F10%2Fin-situ-replication-of-honey-bee-colony-collapse-disorder.pdf&ei=N5MVUobBGcH6iwLTnoDACQ&usg=AFQjCNFtqj6kfx8SI_1Elu7P8U0aFoJIzg&sig2=pEF7kd9sN4KT5i_e1zp0EA&bvm=bv.51156542,d.cGE
xxvii http://scientificbeekeeping.com/the-harvard-study-on-neonicotinoids-and-ccd/
xxviii pb13937-neonicotinoid-bees-20130326.pdf [https://www.gov.uk/government/uploads/system/uploads/attachment_data/file/221052/pb13937-neonicotinoid-bees-20130326.pdf ?]
xxix http://www.forbes.com/sites/jonentine/2013/04/11/science-collapse-disorder-the-real-story-behind-neonics-and-mass-bee-deaths/
[https://www.forbes.com/sites/jonentine/2013/04/11/science-collapse-disorder-the-real-story-behind-neonics-and-mass-bee-deaths/#6fdc15b54adf ?]
xxx http://scientificbeekeeping.com/sick-bees-part-18f-colony-collapse-revisited-pesticides/
xxxi http://scientificbeekeeping.com/the-future-pesticides-and-fungicides/
xxxii http://www.scribd.com/doc/56187984/Daniel-Favre-Mobile-Phone-Induced-Honey-Bee-Worker-Piping
xxxiii http://fullspectrumbiology.blogspot.ca/2013/06/will-urbanenvironment-stop-honey-bee.html
xxxiv http://wn.rsarchive.org/Lectures/GA351/English/SGP1975/NinBee_index.html
xxxv For those interested in reading further about the work of Rudolf Steiner a free and very comprehensive library of his works is available at www.rsarchive.org . Steiner gave extremely important lectures on education, medicine, Christianity, science, art and agriculture.
xxxvi Steiner, R. (1998). Bees, Lectures by Rudolf Steiner. (Appendix) Anthroposophic Press.
xxxvii ibid
xxxviii ibid
xxxix This book can be downloaded for free from:
file:///Users/johnandjenbach/Desktop/Scientific%20queen-rearing%20by%20Gilbert%20M.%20Doolittle.htm
xl bee-conomics-1.pdf
xli http://projectapism.org/content/view/93/49/
xlii http://www.youtube.com/watch?v=3vPV_WeQxV8
xliii Steiner, R. (1998). Bees, Lectures by Rudolf Steiner. Antrhoposophic Press.
xliv To go more into a more detailed explanation of illness and karma as given by Steiner is not possible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essay, but a great deal of material on this very complex and important part of Anthroposophy is available at: http://www.rsarchive.org/Medicine/
xlv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361287/
xlvi http://wn.rsarchive.org/Lectures/ManfKarma/19100520p01.html
xlvii http://www.ucsfhealth.org/conditions/aids/signs_and_symptoms.html
xlviii http://science.time.com/2013/05/07/beepocalypse-redux-honey-bees-are-still-dying-and-we-still-dont-know-why/xlix http://scientificbeekeeping.com/bromenshenk/
------------------------------------------------------------------
li http://wn.rsarchive.org/Lectures/GA351/English/SGP1975/19231210p01.html
lii DI bee stds Demeter Biodynamic 12-e.pdf
liii newvarroa.pdf
liv http://www.beeccdcap.uga.edu/documents/CAPArticle2.html
lv http://en.wikipedia.org/wiki/Oxalic_acid
lvi http://en.wikipedia.org/wiki/Formic_acid
lvii Steiner, R. (1998). Bees, Lectures by Rudolf Steiner. Antrhoposophic Press. (Lec. 8, p.148) lviii ibid (p. 154-5).
lix DI bee stds Demeter Biodynamic 12-e.pdf
lxi abcxyzofbeecultu00root.pdf (see p.481)
https://www.bachbiodynamics.com/uploads/1/6/3/6/16367710/biodynamic_beekeeping_essay.pdf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가 제시한 꿀벌 감소 지표에 대한 생물역동의 이해.hwp
첫댓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글이 길어 한 번에 다 읽지는 못하고 저장해놓고 읽어야겠습니다
몸 건강 하십시요
벌을 건강하게 키우기 위해 벌통자료를 찾던 중에 발견한 것인데
원작자도 벌을 사랑하는 마음에 엄청 공부한 것 같아요.
벌을 허약하게 만들어 멸종까지 가능하다는 예측을 100년 가까이 전에 했다는 것도 놀랍고
그 예측에서 말한 1세기가 지나니 징후들이 급격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도...
인지학을 토대로 한 생물역동 Boidynamic 농법이
프랑스의 고급 포도주용 포도농원에는 일반화가 됐다고 하네요.
행복하세요.
위 글의 원작자가 유튜브에 올린 단열벌통 만드는 동영상 3편이 있으니 관심있으시면 보세요.
Insulated Bee Hive Making
영어자막끼지 받아놓았는데 자막 번역은 너무 시간이 많이 걸려서 엄두가 안나요.
꿀벌질병종류와 증상 치료를 담은 사진달린책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보지를 못해서 ...
제가 아는 범위를 넘어서 답을 못드려 죄송하네요. 다른 분들의 도움이 있기를...
좋은자료 너무감사합니다 공부좀 하려고 스크랩좀 했읍니다 늘 소중한자료 올려주셔서 잘보고있읍니다
자연 왕대만으로 종봉의 혈통을 이어서 본연의 강하고 활발한 본성을 깨우고
증폭제를 사용해서 땅의 건강을 살려서 벌의 건강에 도움을 주고
화학약품 써서 내성 키운 병해충의 변종 만들지 말고 개미산, 옥살산 사용하고
단열 보강해서 벌 건강에 도움주라는 내용입니다.
핵심은 벌을 약하개 만드는 근본 원인은 사육방법에 있지, 결과인 병해충에 있는게 아니라는 거지요.
감사합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귀한자료 잘보고 갑니다. (일부메모ㅋ) 개미산 사용을 주로하고 있는데 스킬이 필요해서.해마다 실험과 실수를 반복합니다. 그래도 조금씩 개미산사용법을 터득해서 나아지고있으니 애쓴 보람이 있죠. 공감가는 글이고 깊게 새겨 실천해야할것들은 뚝심갖고 해나가야한다고 여깁니다. 의미있는글 공유해주셔서 고맙습니다. 굿데이~
경험까지 털어놓으시고...
자연왕대로 본래의 본성을 찾도록 분봉시켜서 자신만의 혈통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
그런데 이것이 개량종 사과나무를 심어서, 그 씨를 받아서 다시 심는 것을 반복해서,
원종(토종)인 능금나무나 환엽해당을 만들어가는 과정과 비슷하네요. 토종닭 복원과도 비슷하고...
감사합니디.
정말로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더욱 열심히 곤부해야겠네요 자료가 방대해서 스크래해갑니다 항상건강하시고 해복하세요
양이 방대하고, 익숙하지 않은 인지학, 생물역동Biodynamic, 거기에 증폭제까지 있어서 이걸 올려야하나 고민도 했어요.
원저자의 벌을 사랑하는 마음이 크고, 예측과 징후들이 맞고, 논리적으로도 결과가 아닌 원인을 찾는 것도 맞고,
체계적인 생각을 중시하는 프랑스에서 일류 포도나무 재배에 일반화 되었고, 전 세계 50여개국에서 시행한다고 해서
올리게 됐습니다. 올리고 보니 절실히 필요하셨던 분들이 계서서 다행이라 생각해요.
먼저 올린 '파종달력 맞춰 천체...', 'Wintering bees..'도 이 글과 관련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참으로 무게 있는 귀한 자료 감사합니다.
삼삼님의 불로그에는 더욱 귀한 자료가 많아 흥분하고 있습니다.
불로그 관리를 안한 지가 좀 됩니다.
불로그에서 어떤 것이 마음을 끌었는지 궁금하네요.
감사합니다.
네, 모두 좋았습니다.
미래에 대한 비전에 공감하는 바가 큽니다.
아주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8.04.21 04:29
고맙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명역동 농업을 시도하고 있고 양봉에도 적용하려고 합니다. 종종 글을 올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