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과 종교 개혁의 발전
♦주제 성경절 – 3히스기야가 그 조상 다윗의 모든 행위와 같이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히 행하여 4여러 산당을 제하며 주상을 깨뜨리며 아세라 목상을 찍으며 모세가 만들었던 놋뱀을 이스라엘 자손이 이때까지 향하여 분향하므로 그것을 부수고 느후스단이라 일컬었더라(열하18:3,4)
♦들어가는 말
16세기 루터를 필두로 반 카톨릭적 종교 개혁이 봇물처럼 터져 나왔다. 천하를 지배하던 교황과 천주교회의 비 성서적, 반 기독교적 행태에 눈을 뜨기 시작한 것이고 동시에 하나님의 손길은 또 다른 초대 교회로의 성서적 회복을 준비하고 계셨다.
♦본 문
1] 칼빈과 개혁(장로) 교회(프랑스의 종교 개혁)
-루터와 때를 같이하여 프랑스에서도 개혁신앙이 퍼지고 있었다
(칼빈 : 파리 대학의 레퍼브르 교수, 1536)
-칼빈의 일어남. 루터의 영향을 받음, 당시 20세, 핍박을 피하여 스위스로 피난하여
제네바를 중심으로 종교개혁.
[칼빈의 주장]
1. 성서(권위)에 기초를 둔 신앙
2. 창조와 구속의 하나님의 절대적 주권, 하나님께만 영광.
3. 카톨릭적 이교적이고 우상숭배적 예배 배격, 개신교 예배의 기틀 마련.
4. 루터의 은총만의 강조보다는 의(義), 성화의 표준으로 율법의 기능 강조.
5. 교회 행정에서 감독 제도와 회중 제도의 중간인 장로제도 채택.
6. 루터, 쯔윙글리보다 더 성만찬의 영적의미를 깊게 함.
7. 교육 강조, 직업을 소명으로 가르침- 민주주의 및 자본주의에 지대한 영향.
*.칼빈의 개혁 신앙은 루터의 사상을 계승한 것이지만, 훨씬 더 조직적이고 체계적이다.
{그의 면저 <기독교 요강>에 자세한 그의 개혁 신앙이 담겨있다}
*칼빈의 교회는 영국에서는 장로교회, 대륙(프랑스)에서는 개혁교회로 불림.
-칼빈의 교회는 영국에 깊이 뿌리를 내려 메리여왕이 영국과 스코틀랜드를 카톨릭화 하려 시도할 때 개혁자 낙스에게 큰 힘이 되었다.
2] 종교 개혁의 사생아 - 헨리 8세와 영국 교회(영국의 종교 개혁)
1)16세기의 유럽의 종교 개혁의 방향
독 일 - 루터파
스위스 - 재세례파(메노나이트, 후터파, 아미쉬)
칼 빈 - 개혁(장로)교회
- 그러나 영국은 카톨릭의 영향으로 개혁이 지지부진.
2) 옥스퍼드 출신의 학자 [틴데일] - 핍박을 피하여 유럽에 은둔하며 영어성경을 번역하여
국내 밀반입 - 개혁의 불을 당김. (그 죄로 붙잡혀, 1536, 42세로 벨지움에서 화형)
3) 헨리 8세
-초기에는 루터의 사상이 영국에서 확산되지 못하게 노력, 교황으로부터 “믿음의 옹호자” 란 칭송을
들음.
-그러나 왕후 캐더린(스페인 왕녀, 형의 미망인)과의 이혼을 교황이 허가 않자 영국
교회를 로마 카톨릭으로부터 돌립시키는 수장령을 내림(1534) = 영국 카톨릭인
성공회의 모체가 되는 영국교회(또는 국교회로 불림) 탄생.
-영국교회의 대주교 크랜머(루터파 개혁자)는 헨리 8세와 그의 아들 에드워드 4세를 도와 칼빈의
개혁신앙을 흡수 국교회를 크게 개혁해 나감.
-그런데, 헨리 8세의 이혼한 스페인 왕녀 캐더린의 딸 메리(카톨릭 신봉자)가 왕위에 오르자 개혁이
역전됨. 메리는 다시 카톨릭을 제건하려 영국교회(국교회=성공회)를 무자비하게 핍박하여 “피의 메
리”라는 칭호를 얻음.
[피의 메리의 핍박]
-개혁 신앙 학자, 성직자 300백명 화형
-800백명은 대륙으로 피난
-1200 명의 성직자는 직분을 빼앗김.
-경건한 학자, 감독이던 리들리, 라티머 는 미사를 반대한 죄로 화형(1555,10,16)
-화형을 두려워했던 크랜머도 이듬에 신앙을 지키며 화형.
그는 화형을 당하며 “범죄한 오른 손을 먼저 불태움”
♦결 론
개혁은 끊임없이 전진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단의 저항과 반대도 극심해지고 있었다. 하나님은 새로운 미래의 하나님의 교회를 잉태한 개혁자들에게 힘을 불어넣으셨다. 그러므로 개혁자들의 전진은 멈추어지지 않고 느리지만 계속 앞으로 나아갔다.
♦토론할 주제
1) 재림 교회가 끊임없이 개혁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2) 마지막 시대 재림 교회의 개혁과제에 있어서 가장 방해 요소는 무엇인가?
3) 우리 교회의 가장 시급한 개혁 과제는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