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ust over a year ago, for the third time in my life, I ceased to exist.
불과 1년 전, 저는 제 인생에서 세 번째로 존재를 멈췄(생존이 중지되었)습니다.
I was having a small operation, and my brain was filling with anesthetic.
저는 작은 수술을 받았는데 나의 뇌가 마취제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I remember a sense of detachment and falling apart and a coldness.
나는 고립되고 무너져 내리는 느낌과 차가움이 기억납니다.
And then I was back, drowsy and disoriented, but definitely there.
그리고 다시 돌아와서 졸리고 정신이 혼미해졌지만 확실히 그곳에 있었습니다.
Now, when you wake from a deep sleep, you might feel confused about the time or anxious about oversleeping, but there's always a basic sense of time having passed, of a continuity between then and now.
지금 깊은 잠에서 깨어났을 때 시간이 헷갈리거나 늦잠을 잤다는 불안감을 느낄 수도 있지만, 시간이 지났다는 기본적인 느낌과 그때와 지금 사이의 연속성은 항상 존재합니다.
Coming round from anesthesia is very different. I could have been under for five minutes, five hours, five years or even 50 years.
마취에서 깨어나는 것은 매우 다릅니다. 저는 5분, 5시간, 5년, 심지어 50년 동안 마취 상태에 있을 수도 있었습니다.
I simply wasn't there. It was total oblivion. Anesthesia -- it's a modern kind of magic.
저는 단순히 거기에 있지 않은 것입니다. 완전히 무의식 상태였죠. 마취는 일종의 현대적인 마술과도 같아요.
It turns people into objects, and then, we hope, back again into people. And in this process is one of the greatest remaining mysteries in science and philosophy.
마취는 사람을 사물로 만들었다가 다시 사람으로 되돌리기도 하죠. 그리고 이 과정은 과학과 철학에서 가장 위대한 미스터리로 남아 있습니다.
How does consciousness happen?
의식은 어떻게 일어날까요?
Somehow, within each of our brains, the combined activity of many billions of neurons, each one a tiny biological machine, is generating a conscious experience.
어쨌든 우리의 뇌에서는 작은 생물학적 기계인 수십억 개의 신경의 활동이 결합되어 의식적인 경험을 만들어냅니다.
And not just any conscious experience -- your conscious experience right here and right now. How does this happen?
그리고 어떤 의식적인 경험뿐만 아니라 --바로 지금 여기에서 여러분의 의식적인 경험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까요?
Answering this question is so important because consciousness for each of us is all there is.
이 질문에 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우리 각자의 의식이 존재의 전부이기 때문입니다.
Without it there's no world, there's no self, there's nothing at all.
의식 없이는 세상도, 자아도,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And when we suffer, we suffer consciously whether it's through mental illness or pain.
그리고 우리가 고통을 겪을 때 정신 질환이든 고통이든 우리는 의식적으로 고통을 겪습니다.
And if we can experience joy and suffering, what about other animals?
우리가 기쁨과 고통을 경험할 수 있다면 다른 동물은 어떨까요?
Might they be conscious, too? Do they also have a sense of self?
그들도 의식이 있을까요? 그들에게도 자아가 있을까요?
And as computers get faster and smarter, maybe there will come a point, maybe not too far away, when my iPhone develops a sense of its own existence.
컴퓨터가 점점 더 빨라지고 똑똑해짐에 따라 멀지 않은 미래에 제 아이폰이 스스로 존재감을 느끼게 될 날이 올지도 모르죠.
I actually think the prospects for a conscious AI are pretty remote.
사실 의식이 있는 인공지능의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고 생각합니다.
And I think this because my research is telling me that consciousness has less to do with pure intelligence and more to do with our nature as living and breathing organisms.
제 연구에 따르면 의식은 순수한 지능보다는 살아 숨 쉬는 유기체로서의 인간의 본성과 더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Consciousness and intelligence are very different things. You don't have to be smart to suffer, but you probably do have to be alive.
의식과 지능은 매우 다른 개념입니다. 고통받기 위해 똑똑할 필요는 없지만, 살아 있어야 할 필요는 있습니다.
In the story I'm going to tell you, our conscious experiences of the world around us, and of ourselves within it, are kinds of controlled hallucinations that happen with, through and because of our living bodies.
제가 여러분께 들려드릴 이야기에서, 우리 주변 세계와 그 안에서 우리 자신에 대한 의식적인 경험은 우리의 살아있는 신체와 함께, 신체를 통해, 그리고 우리의 살아있는 신체 때문에 일어나는 일종의 통제된 환각입니다.
Now, you might have heard that we know nothing about how the brain and body give rise to consciousness.
뇌와 신체가 어떻게 의식을 일으키는지에 대해 우리가 아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Some people even say it's beyond the reach of science altogether.
But in fact, the last 25 years have seen an explosion of scientific work in this area.
어떤 사람들은 아예 과학의 손이 닿지 않는 영역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사실 지난 25년 동안 이 분야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If you come to my lab at the University of Sussex, you'll find scientists from all different disciplines and sometimes even philosophers.
서섹스 대학교에 있는 제 연구실에 오면 다양한 분야의 과학자들과 때로는 철학자까지 만날 수 있습니다.
All of us together trying to understand how consciousness happens and what happens when it goes wrong.
우리 모두는 의식이 어떻게 발생하고 의식이 잘못되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이해하려고 함께 노력하고 있습니다.
And the strategy is very simple. I'd like you to think about consciousness in the way that we've come to think about life.
그리고 그 전략은 매우 간단합니다. 우리가 삶에 대해 생각하게 된 방식으로 의식에 대해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
At one time, people thought the property of being alive could not be explained by physics and chemistry -- that life had to be more than just mechanism.
한때 사람들은 생명이라는 속성을 물리학과 화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생명은 단순한 메커니즘 그 이상이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But people no longer think that.
하지만 사람들은 더 이상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As biologists got on with the job of explaining the properties of living systems in terms of physics and chemistry -- things like metabolism, reproduction, homeostasis -- the basic mystery of what life is started to fade away, and people didn't propose any more magical solutions, like a force of life or an élan vital.
생물학자들이 신진대사, 생식, 항상성 등 생명체의 속성을 물리학과 화학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작업에 착수하면서 생명에 대한 기본적인 미스터리가 사라지기 시작했고, 사람들은 더 이상 생명의 힘이나 에란 바이탈 같은 마법의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So as with life, so with consciousness.
생명과 마찬가지로 의식도 마찬가지입니다.
Once we start explaining its properties in terms of things happening inside brains and bodies, the apparently insoluble mystery of what consciousness is should start to fade away.
뇌와 신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의 관점에서 그 속성을 설명하기 시작하면, 의식이 무엇인지에 대한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는 사라지기 시작할 것입니다.
At least that's the plan.
So let's get started. What are the properties of consciousness?
적어도 그게 계획입니다.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의식의 속성은 무엇일까요?
What should a science of consciousness try to explain? Well, for today I'd just like to think of consciousness in two different ways.
의식의 과학은 무엇을 설명하려고 할까요? 오늘은 의식을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There are experiences of the world around us, full of sights, sounds and smells, there's multisensory, panoramic, 3D, fully immersive inner movie. And then there's conscious self.
시각, 청각, 후각으로 가득한 우리 주변의 세계에 대한 경험이 있고, 다감각, 파노라마, 3D, 완전 몰입형 내면의 영화가 있습니다. 그리고 의식적인 자아가 있습니다.
The specific experience of being you or being me.
내가 너이거나 내가 되는 구체적인 경험입니다.
The lead character in this inner movie, and probably the aspect of consciousness we all cling to most tightly.
이 내면 영화의 주인공이자 아마도 우리 모두가 가장 강하게 집착하는 의식의 한 측면일 것입니다.
Let's start with experiences of the world around us, and with the important idea of the brain as a prediction engine.
우리 주변 세계에 대한 경험과 예측 엔진으로서의 뇌에 대한 중요한 생각부터 시작하겠습니다.
Imagine being a brain. You're locked inside a bony skull, trying to figure what's out there in the world.
뇌가 되었다고 상상해 보세요. 당신은 뼈만 남은 두개골 안에 갇혀 세상에 무엇이 있는지 알아내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There's no lights inside the skull. There's no sound either.
두개골 안에는 빛이 없습니다. 소리도 없습니다.
All you've got to go on is streams of electrical impulses which are only indirectly related to things in the world, whatever they may be.
당신에게는 그것이 무엇이든 그저 세상의 모든 사물과 간접적으로 연관된 전기 자극의 흐름만 있을 뿐입니다.
So perception -- figuring out what's there -- has to be a process of informed guesswork in which the brain combines these sensory signals with its prior expectations or beliefs about the way the world is to form its best guess of what caused those signals.
따라서 지각, -- 즉 무엇이 있는지 알아내는 -- 것은 뇌가 이러한 감각 신호를 세상의 방식에 대한 사전 기대 또는 믿음과 결합하여 이러한 신호의 원인에 대한 최선의 추측을 형성하는 정보에 입각한 추측 과정이어야 합니다.
The brain doesn't hear sound or see light. What we perceive is its best guess of what's out there in the world.
뇌는 소리를 듣거나 빛을 보지 못합니다. 우리가 지각하는 것은 세상에 존재하는 것에 대한 최선의 추측입니다.
Let me give you a couple of examples of all this.
이 모든 것에 대한 몇 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You might have seen this illusion before, but I'd like you to think about it in a new way.
이런 착시를 당신이 본 적이 있을 수도 있지만,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If you look at those two patches, A and B, they should look to you to be very different shades of gray, right?
A와 B라는 두 개의 패치를 보면 서로 다른 회색 음영으로 보일 것 같죠?
But they are in fact exactly the same shade. And I can illustrate this.
하지만 사실은 완전히 같은 색조입니다. 제가 설명해드릴 수 있습니다.
If I put up a second version of the image here and join the two patches with a gray-colored bar, you can see there's no difference.
내가 여기에 두 번째 버전의 이미지를 올리고 두 패치를 회색 막대로 연결하면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It's exactly the same shade of gray. And if you still don't believe me, I'll bring the bar across and join them up.
정확히 같은 회색입니다. 아직도 못 믿으시겠다면 제가 바를 가져와서 합쳐보겠습니다.
It's a single colored block of gray, there's no difference at all. This isn't any kind of magic trick.
하나의 회색 블록으로 전혀 차이가 없습니다. 이건 마술이 아니에요.
It's the same shade of gray, but take it away again, and it looks different.
같은 회색이지만 다시 떼어내면 다른 색으로 보이죠.
So what's happening here is that the brain is using its prior expectations built deeply into the circuits of the visual cortex that a cast shadow dims the appearance of a surface, so that we see B as lighter than it really is.
여기서 일어나는 일은 뇌가 시각 피질의 회로에 깊숙이 내장된 그림자가 표면의 모양을 어둡게 만든다는 이전의 기대치를 사용하여 B를 실제보다 더 밝게 보는 것입니다.
Here's one more example, which shows just how quickly the brain can use new predictions to change what we consciously experience. Have a listen to this.
여기 또 하나의 예가 있는데 이것은 뇌가 새로운 예측을 통해 우리가 의식적으로 경험하는 것을 얼마나 빨리 바꿀 수 있는지 보여주는 입니다. 한 번 들어보세요.
Sounded strange, right? Have a listen again and see if you can get anything.
이상하게 들리지 않나요? 다시 한 번 들어보고 뭔가 알아낼 수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Still strange. Now listen to this. 여전히 이상합니다. 이제 이걸 들어보세요.
(Recording) Anil Seth: I think Brexit is a really terrible idea.
So you heard some words there, right? Now listen to the first sound again. I'm just going to replay it.
(녹음) 아닐 세스: 브렉시트는 정말 끔찍한 아이디어라고 생각합니다.
거기서 몇 가지 단어를 들으셨죠? 이제 첫 번째 소리를 다시 들어보세요. 다시 재생해 보겠습니다.
OK, so what's going on here? The remarkable thing is the sensory information coming into the brain hasn't changed at all.
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요? 놀라운 점은 뇌로 들어오는 감각 정보는 전혀 변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All that's changed is your brain's best guess of the causes of that sensory information.
바뀐 것은 그 감각 정보의 원인에 대한 뇌의 최선의 추측뿐입니다.
And that changes what you consciously hear. All this puts the brain basis of perception in a bit of a different light.
그리고 그것은 당신이 의식적으로 듣는 것을 변화시킵니다. 이 모든 것이 지각의 뇌 기반을 약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게 합니다.
Instead of perception depending largely on signals coming into the brain from the outside world, it depends as much, if not more, on perceptual predictions flow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지각은 외부 세계에서 뇌로 들어오는 신호에 크게 의존하는 대신, 그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지각적 예측에 많이, 아니 그 이상 의존합니다.
We don't just passively perceive the world, we actively generate it. The world we experience comes as much, if not more, from the inside out as from the outside in.
우리는 세상을 수동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생성합니다.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는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것만큼이나, 아니 그 이상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들어옵니다.
Let me give you one more example of perception as this active, constructive process.
능동적이고 건설적인 과정으로서의 지각의 예를 하나 더 들어보겠습니다.
Here we've combined immersive virtual reality with image processing to simulate the effects of overly strong perceptual predictions on experience.
여기에서는 몰입형 가상 현실과 이미지 처리를 결합하여 지나치게 강한 지각적 예측이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했습니다.
In this panoramic video, we've transformed the world -- which is in this case Sussex campus -- into a psychedelic playground.
이 파노라마 영상에서는 서섹스 캠퍼스라는 세계를 환각적인 놀이터로 변모시켰습니다.
We've processed the footage using an algorithm based on Google's Deep Dream to simulate the effects of overly strong perceptual predictions.
지나치게 강한 지각적 예측의 효과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Google의 딥 드림 기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영상을 처리했습니다.
In this case, to see dogs. And you can see this is a very strange thing.
이 경우에는 개를 보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매우 이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When perceptual predictions are too strong, as they are here, the result looks very much like the kinds of hallucinations people might report in altered states, or perhaps even in psychosis.
여기처럼 지각적 예측이 너무 강할 경우, 그 결과는 사람들이 정신 이상 상태 또는 정신병에서 보고할 수 있는 환각의 종류와 매우 유사하게 보입니다.
Now, think about this for a minute.
이제 잠시 생각해 보세요.
If hallucination is a kind of uncontrolled perception, then perception right here and right now is also a kind of hallucination, but a controlled hallucination in which the brain's predictions are being reined in by sensory information from the world.
환각이 통제되지 않은 지각의 일종이라면, 지금 여기에서의 지각도 일종의 환각이지만 뇌의 예측이 세상의 감각 정보에 의해 통제되는 통제된 환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In fact, we're all hallucinating all the time, including right now. It's just that when we agree about our hallucinations, we call that reality.
사실 우리는 지금 이 순간을 포함하여 항상 환각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다만 우리가 환각에 대해 동의할 때 그것을 현실이라고 부르는 것일 뿐입니다.
Now I'm going to tell you that your experience of being a self, the specific experience of being you, is also a controlled hallucination generated by the brain.
이제 저는 여러분이 자아가 되는 경험, 즉 '나'라는 구체적인 경험도 뇌가 만들어내는 통제된 환각이라고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This seems a very strange idea, right?
매우 이상한 생각 같죠?
Yes, visual illusions might deceive my eyes, but how could I be deceived about what it means to be me?
네, 시각적 환상은 내 눈을 속일 수 있지만, 내가 나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어떻게 속일 수 있을까요?
For most of us, the experience of being a person is so familiar, so unified and so continuous that it's difficult not to take it for granted. But we shouldn't take it for granted.
우리 대부분에게 사람이 된다는 경험은 너무 익숙하고 통합적이며 연속적이어서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당연하게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There are in fact many different ways we experience being a self. There's the experience of having a body and of being a body.
사실 우리가 자아가 되는 경험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몸이 있다는 경험과 몸이 되는 경험이 있습니다.
There are experiences of perceiving the world from a first person point of view.
일인칭 시점으로 세상을 인식하는 경험도 있습니다.
There are experiences of intending to do things and of being the cause of things that happen in the world.
어떤 일을 하려고 의도하는 경험과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의 원인이 되는 경험도 있습니다.
And there are experiences of being a continuous and distinctive person over time, built from a rich set of memories and social interactions.
그리고 풍부한 기억과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해 시간이 지나면서 지속적이고 독특한 사람이 되는 경험도 있습니다.
Many experiments show, and psychiatrists and neurologists know very well, that these different ways in which we experience being a self can all come apart.
많은 실험을 통해 정신과 의사와 신경과 의사들은 우리가 자아를 경험하는 다양한 방식이 모두 분리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What this means is the basic background experience of being a unified self is a rather fragile construction of the brain.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통합된 자아라는 기본적인 배경 경험이 뇌의 다소 취약한 구조라는 것입니다.
Another experience, which just like all others, requires explanation.
다른 모든 경험과 마찬가지로 또 다른 경험도 설명이 필요합니다.
So let's return to the bodily self. How does the brain generate the experience of being a body and of having a body?
이제 육체적 자아로 돌아가 봅시다. 뇌는 어떻게 몸이라는 경험과 몸이 있다는 경험을 생성할까요?
Well, just the same principles apply. The brain makes its best guess about what is and what is not part of its body. And there's a beautiful experiment in neuroscience to illustrate this.
동일한 원리가 적용됩니다. 뇌는 무엇이 몸의 일부이고 무엇이 아닌지에 대해 최선의 추측을 합니다.
And unlike most neuroscience experiments, this is one you can do at home.
이를 설명하는 신경과학의 아름다운 실험이 있습니다.
All you need is one of these. 이것만 있으면 됩니다.
And a couple of paintbrushes. 그리고 두 개의 붓입니다.
In the rubber hand illusion, a person's real hand is hidden from view, and that fake rubber hand is placed in front of them.
고무 손 착시에서는 사람의 진짜 손은 보이지 않고 가짜 고무 손이 앞에 놓입니다.
Then both hands are simultaneously stroked with a paintbrush while the person stares at the fake hand.
그런 다음 사람이 가짜 손을 응시하는 동안 양손을 동시에 붓으로 쓰다듬습니다.
Now, for most people, after a while, this leads to the very uncanny sensation that the fake hand is in fact part of their body.
이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잠시 후 가짜 손이 실제로 자신의 신체 일부라는 매우 기괴한 느낌을 받게 됩니다.
And the idea is that the congruence between seeing touch and feeling touch on an object that looks like hand and is roughly where a hand should be, is enough evidence for the brain to make its best guess that the fake hand is in fact part of the body.
이 아이디어는 손처럼 생겼고 손이 있어야 할 곳에 있는 물체에서 촉감을 보는 것과 촉감을 느끼는 것의 일치로 인해 뇌가 가짜 손이 실제로 신체의 일부라고 추측할 수 있는 충분한 증거가 된다는 것입니다.
So you can measure all kinds of clever things. You can measure skin conductance and startle responses, but there's no need.
따라서 모든 종류의 영리한 것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피부 전도도와 깜짝 놀란 반응을 측정할 수 있지만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
It's clear the guy in blue has assimilated the fake hand.
파란색의 남자가 가짜 손에 동화되었음이 분명합니다.
This means that even experiences of what our body is is a kind of best guessing -- a kind of controlled hallucination by the brain.
즉, 우리 몸이 무엇인지에 대한 경험조차도 일종의 최선의 추측, --- 즉 뇌에 의해 통제되는 일종의 환각이라는 뜻입니다.
There's one more thing. 한 가지 더 있습니다.
We don't just experience our bodies as objects in the world from the outside, we also experience them from within.
우리는 외부에서 세상의 사물로서의 몸을 경험할 뿐만 아니라 내면에서도 몸을 경험합니다.
We all experience the sense of being a body from the inside.
우리 모두는 몸의 내부에서 몸이라는 감각을 경험합니다.
And sensory signals coming from the inside of the body are continually telling the brain about the state of the internal organs, how the heart is doing, what the blood pressure is like, lots of things.
그리고 신체 내부에서 나오는 감각 신호는 내부 장기의 상태, 심장의 상태, 혈압 등 많은 것들을 뇌에 지속적으로 알려줍니다.
This kind of perception, which we call interoception, is rather overlooked. But it's critically important because perception and regulation of the internal state of the body -- well, that's what keeps us alive.
우리가 인터셉션이라고 부르는 이러한 종류의 지각은 다소 간과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신체 내부 상태에 대한 지각과 조절이 우리를 살아있게 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