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산 휴게소와 거창 휴게소1
2018년 05월05일 소요유적 답사회에서 정읍쪽으로 답사를 갔다.동서고속도로를 타고 처음
마이산 휴게소에서 잠시 정차후 첫번째 대뫼마을.동학농민위령탑(동학농민혁명홍보관)을
답사후에 동학고을 한우로 점심을 먹은후에 전봉준고택.고부관아터.황토현전적지.동학농민
기념관을 보고 차창관광으로 말목장터.만석보.동진강을 구경한 후 신태인의 피향정.무성서원
장성에 있는 백양사를 거쳐 거창 휴게소에서 휴식을 취한후에 대구로 올라왔다.
거창 휴게소(미녀봉과 장군봉의 사랑의 전설)
미녀봉은 가조IC를 지나 우측으로 머리를 풀어헤치고 누워있는 모습이며 미녀봉 맞은편
우두산 아래 돌출된 기암이 장군봉이다.천년전 이곳은 바다로 한장군이 배한척을 타고
바다에서 길을 헤매고 있었는데,옥황상제가 아깝게 여겨 자신의 딸을 지상으로 보내어 구
하도록 하였다.장군과 공주는 첫눈에 반해 사랑하게 되었고 그 모습에 옥황상제는 진노
하여 형벌을 내려 영원히 마주보는 산으로 만들어 버렸다.그 산이 바로 미녀봉과 장군봉
으로 일년에 딱한번 그들이 만날 수 있게 허락받은 곳이 거창 대구방향이고 7월7일이다.

대뫼마을 동학농민혁명 홍보관(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대뫼마을 )2

대뫼마을 無名東學農民軍慰靈塔3
원동명은 대뫼(竹山)마을이며 현재는 舟山마을이다.

대뫼마을(茅亭신축기념비와 나무.무명동학농민군위령탑)4

대뫼마을 동학농민군상5

대뫼마을 동학농민군상 및 무기6

동학 농민혁명 홍보관7

동학 농민혁명 홍보관8

동학 농민혁명 홍보관9

동학 농민혁명 홍보관10

동학 농민혁명 홍보관(사발통문 찍어보기)11

정도를 위해 죽는 것은 원통하지 않다12
법무협판 이재정이 부대시처참형(즉시사형)을 선고하자 분연이 일어나 정도를 위해
죽는 것은
원통하지 않으나 역적으로 몰려 죽는 것이 원통할 따름 이라고 당당히 외쳤다고 한다.

동학 농민혁명 유적지13

사발통문 명단조각14

사발통문 명단과 전봉준의 절명시15
송두호.송인호.황찬오.송주옥.황채오.황홍모.전봉준.임노홍.김도삼.송대화
김응칠.최경선.손여옥.이성하.최홍렬.정종혁.이봉근.송주성.이문형.송국섭
전봉준의 절명시
時來天地皆同力(때를 만나서는 하늘과 땅도 힘을 합하더니)
運去英雄不自謨(운이 다하니 영웅도 어쩔 수가 없구나)
愛民正義我無失(백성을 사랑하고 정의를 위한 길이 무슨 허물이랴)
爲國丹心誰有知(나라를 위한 일편단심 그 누가 알리)

동학 민혁명 모의장소16

사발통문17
이 문서는 고부군수 조병갑의 탐학에 고부관아 습격을 계획하며 작성한 沙鉢通文이다.
보통의 통문은 지면의 오른쪽에서부터 왼쪽으로 내용을 적고 그 후에 각자의 이름을
차례로 쓰는 형태이나 이 통문의 경우 주모자가 드러나지 않게 하기위해 작성자 눈에
띠는 보통 통문의 형태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계사년(1893년)음력11월에 작성
되었다.이 통문은 동등한 자격을 나타낸 것으로 주모자가 드러나지 않도록 병렬로 서
명한것이 눈길을 끈다.1893년 송두호집에서 20명이 거사를 결의하고 자신의 이름을 적
었다.그러나 거사계획은 조병갑의 익산군수 발령으로 보류되었고 이듬해 1월10일 고부
봉기로 점화되었다.
마을이름 竹山은 대나무산 즉 한글표기는 대뫼이다.일제 때(1914년)산의 모양이 돛
단배와 같다고 하여 舟山으로 바뀌게 되었다.이 마을은 임씨.황씨와 함께 송씨가
다수를 이루는 집성촌으로 전봉준의 처가 송씨였다.아버지 전창혁이 조병갑에게
매를 맞고 관아에서 쫓겨났을 때 아버지를 업고 와서 치료를 받다가 죽었으며 마을
언저리에 묻혔다는 구전이 전한다.

동학 농민혁명의 의의와 사발통문 결의장소18

동학 대접주 임명장19
갑오년(1894년)9월 사발통문 서명자 중 한 사람인 宋大和(1858년-1919년)를 고부접주에서
대접주로 임명한다는 임명장이다.송대화는 송두호의 집에서 결의할 때 함께 하였고 훈련
대장으로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하였다.혁명좌절후 전북 옥구 임피에 피신후 장승팔이라는
이름으로 성과 이름을 바꾸고 머슴살이를 했다.이처럼 10여년 떠돌다가 고향으로 온 후에
1919년 생을 마감했다.

고지도속의 사발통문 작성지(사인보드)20
1사발통문의 내용은 고부성을 격파하고 군수 조병갑을 효수할 것.
2군기창과 화약고를 점령할 것.3군수에게 아첨하며 인민을 수탈한
탐관오리를 징계할 것.4전주성을 함락하고 서울로 곧 바로 진격할 것

집강소 설치와 운영.황토재와 황룡촌전투.전주성 점령21
1894년 최시형이 9월18일(양10월16일) 충청도 청산에서 총동원령을 내렸다.
10월12일(양11월9일)논산에서 전봉준과 손병희(남북접연합군)가 합류했다.
세상산전투(10월21일).이인전투(10월23일).효포전투(10월24일).웅치전투(10월25일)
우금치전투(11월8일-9일).전봉준의 태인전투(11월27일)를 끝으로 해산하였다.
이후 김개남(12월3일)이 전주에서 참형되었고,전봉준(12월2일)은 순창 피노리에서
12월3일에는 최경선.12월11일에는 손화중이 고창에서 1895년 1월1일 김덕명이 금구
에서 잡혀서 서울로 압송되어 1895년 3월30일 교수형을 당했다.

무장기포와 고부관아 재점령.백산대회(창의문.12개규율)22
1894년 3월23일 전봉준은 고부관아를 점령했다.
고부관아를 점령한 손화중과 전봉준은 3월25일-26일 백산으로 이동하였다.
백산창의문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사람을 함부로 죽이지 말고 가축을
잡아먹지 말라.충효를 다하여 세상을 구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하라.일본 오랑
캐를 몰아내고 나라의 정치를 바로 잡는다.군사를 몰아 서울로 쳐들어가 권귀
를 모두 없앤다.
12개의 규율은 항복하는 자는 대접한다.곤궁한 자는 구제한다.탐학한 자는
추방한다.순종하는 자는 경복한다.도주하는 자는 쫓지 않는다.굶주린 자는
먹인다.간사하고 교활한 자는 그치게 한다.빈한한 자는 진휼한다.불충한 자는
제거한다.거역한 자는 효유한다.병든 자에게는 약을 준다.불효자는 죽인다.

동학농민혁명의 시작.사발통문거사계획.고부봉기23
고부동학교도는 1894년 1월8일 말목장터에 집결해서 1월10일 새벽 전봉준.김도삼.정익서 등이
중심이 되어 고부관아를 점령했다.정부는 고부군수 조병갑을 유배형.전라감사 김문현은 감봉
하고 신임군수로 박원명.안핵사로 이용택을 파견했다.박원명은 구폐교절절목을 만들어 재발방
지를 약속했지만,안핵사 이용택은 동학교도와 지역민을 가혹하게 탄압해 전봉준은 더욱 이를
혁명의 확대명분으로 삼았다.

동학의 창도.동학 농민혁명 이야기24
수운 최제우(1824년-1864년)는 정치혼란에 시달리던 민중에게 侍天主와 後天開闢사상을 제시했다.
1862년 동학의 기본조직인 接을 만들고 책임자로 접주를 임명했다.이후 포를 만들면서 주요 동학의
경전을 만들었다.정부는 교세가 커지자 사교로 단정하고 1864년 백성을 현옥시킨다는 죄명으로
처형하였다.
해월 최시형(1827년-1898년)은 1863년 도통을 이어받았다.그후 경전인 동경대전과 용담유사를 간
행했으며 1884년 육임제를 통해 교세를 확장했다.1892년-93년 교조신원운동을 전개했다.1898년
원주 송골에서 체포되어 교수형을 당하였다.
동학의 창도는 위정자들의 수탈과 부정부패로 농민봉기가 끊이지 않을 때 경주 용담정에서 1860년
유.불.선.천주교의 장점을 취해 동학을 창도하였다.동학은 시천주 평등사상과 후천개벽.척왜양.민
족주의.유무상자의 공동체를 지향하였다.
동학의 공인운동(교조신원운동)과 혁명주도세력의 성장으로 1893년 2월부터 광화문 복합상소와
척왜양 운동을 전개했다.그후 보은집회.금구집회 등을 열었다.
1894년 1월을 기점으로 평등사상을 바탕으로 봉건사회 해체와 민족자주화를 향한 대규모 민중항
쟁이었다.비록 미완의 혁명으로 끝이 났지만 구국항일의병.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해방이후 민
족민주운동의 정신적 토대가 되었다.

정읍 전봉준 유적(사293호)(정읍 이평 장내리)25
동학의 지도자이던 전봉준이 살던 남향 초가집으로 고종15년(1878년)지어졌다.
이곳에서 전봉준은 농사일과 동네서당의 훈장일을 하면서 가난하게 살았다.그 때
고부군수 조병갑이 만석보를 설치하고 과중한 물세를 거두며 농민들을 수탈했다.
이에 분노한 전봉준은 고종31년(1894년) 천여명의 화난 농민을 이끌고 고부관아
를 공격하여 조병갑의 잘못을 응징했다.이 사건이 동학농민혁명의 시작이었다.

전봉준 유적(우측아래 우물)26
정읍은 원래 수질이 좋은 물로 유명한데,이 우물은 조소마을 사람들이 사용했던 공동우물로
동학농민혁명의 지도자인 전봉준선생이 살 때 사용했던 역사적 의미가 담겨져 있는 곳이다.

전봉준 선생 유적지27

고부 동학고을 한우(점심)(위좌우측).동진강(중앙).말목장터(아래좌측).배들평야(아래우측)28
고부 동학고을 한우점에서 점심을 맛나게 먹은 후, 말목장터.배들평야.동진강을 차창으로 보면서
여행을 계속하였다.
(2018.05.05)
첫댓글 소요유적 답사회에서 정읍쪽으로도 갔었구나. 자네도 무척 바빠서인지 5월 5일 간 사진을 이제사 올렸구나전정봉준의 유적이 잘 정비되어 있었구나. 거창 휴게소에서 바라본 미녀봉은 나도 들은 말이 있어서 그쪽을 지날 때 자세히 살펴 보아도 미녀봉같은 모습이 아니더라네. 장군봉 우두봉이 다른가 우두봉은 한 번 올라가 본적이 있다네 2006년도에...
요즈음은 국내에도 많이 답사를 가고,외국여행도 작년에 다녀온 곳도 마무리를 짓지 못했다네~
세밀히 작업하다보니 오래 걸리는구나~~점점 능률이 그러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