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 늦었지만 어제는 된장을 담갔어요. 장동이 성이 갈쳐준 대로
천을 깔고 소금물 내리기. 아, 이렇게 하는 거였구나.

500원짜리 동전만큼 달걀 웃대가리가 보여야 한다는데, 좀 크게 나왔네요.
물 한 바가지 부어 얼추 맞추었다고 스스로 위안^^.
어떤 분, 왈.
달걀이 서야 하는데 자빠졌다고.
옴마, 그럼 마이 짠 거얌??

고추 동동 숯 동동 띄워 놓으니
우와, 그럴싸!!
옻나무를 몇 조각 넣고도 싶었지만
구하지 못해 생략.

히야, 안 맛있을 수 없는 그림자로다.

볕이 잘 드는 곳으로 옮겨 만든 장동이 아니고 장독대.
가끔 물을 뿌려 반짝반짝 청소해줄게^^.

올해 본 첫 나비는 네발나비였어요. 아, 이뻐라.
짝짓기하는 것까지 보았어요.
그걸 찍으려는데 폴폴폴 옆 밭으로 날아가지 뭐예요.

이어서 밭일. 거름 일곱 포대를 펴고
굳어진 고랑 흙을 호미로 긁어 거름이랑 섞었어요.
뭔가 농사가 잘 될 것 같은.

손질한 봄 흙만큼 다사롭고 정겨운 것이 또 있으랴 싶네요. 이대로 두고 보면 참 좋겠지만,

비닐을 씌웠어요.
풀에게 두 손 들고 농사 시작도 못할 게 뻔하니깐.

작년엔 여기에 참외를 심어 몇 개 따 먹었는데, 올해는 뭘 심을까? 감자를 놓을까? 그러면서.

모과 잎이 나옵니다.
울 동네에선 모과꽃 필 때 본격으로 황사가 오는데,
올해 황사는 어떨지.
내친 김에 화단도 좀 가꾸었네요.
국화며 들국화도 옮겨 심고
작년에 싹이 튼 범의부채와 붓꽃 종류를 캐어
마당 군데군데 모종해 놓았네요.
시간이 벌써 저녁 여섯 시 반,
서둘러 밥 먹고 씻고 아이들 만나러 출근합니다.
신호대기 중에
건너편에서 20대 연인이 밝게 섰는데
총각은 반바지 차림이에요.
오호, 그러고 보니 저도 오늘
내복을 벗었군요.
첫댓글 출근해서 아이들이랑 동시마중을 읽었습니다. 5점에서 1점까지 점수 주기 놀이를 하면서요. 저 포함 일곱이 읽었는데 3333333이 나오면 올3을 외치면서 손뼉을 쳤답니다. 5555555는 나오지 않았어요. 아이들 점수 주기는 거의 믿거나 말거나 아님 말고 누이 좋고 매부 좋고 가재 잡고 도랑 치고 뭐 그런 정도인데, 그래도 일정한 참조점을 받기도 합니다. 높은 점수를 받은 작품들은, 김두안 <약속>, 백무산 <네모 세모 동그라미> <산비둘기 두 마리>, 이명주 <집으로>, 이이랑 <사투리 오토바이> <오리 모가지>, 이창숙 <봤을까>, 하미경 <딱! 한 숟가락> 등이에요. 하미경 씨 작품은 고루 높은 점수를^^ 믿거나 말거나임미닼ㅋ
이안쌤 삶이 풍성해 보입니다.
항아리며 밭이며... 땅부자에 아이들부자!^^~
봄에 흙을 만지고 무엇이라도 하나 심고 가꿀 수 있단 것이 참 고마운 일이에요. 아이들도 큰 힘이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