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청자미디어센터 특강 51~60 [매주 목요일 1시 45분~ ]
No | 월/일 | 주 제 (작 품) | 시간 (분) | 비 고 |
51 | 12/28 | Beethoven/Béjart: Symphony 9 12/21에 감상함 | 84 | NHK Hall, 2014 /02~03 |
52 | 1/4 | Wien 신년음악회 왈츠 ‧ 폴카의 발레 버전 (1963~2023) 1~4 | 96 89 85 98 | 1963~2023년 빈 신년음악회 실황 중 왈츠와 폴카의 발레 버전 모음 /04~07 |
53 | 1/11 | |||
54 | 1/18 | |||
55 | 1/25 | |||
56 | 2/1 | Show Boat 1 | 94 | 1927년 최초의 '북 뮤지컬' <쇼 보트>의 2014년 SF Opera의 리바이벌 판 /08~20 |
57 | 2/8 | Show Boat 2; The Snowman | 61/27 | |
58 | 2/15 | Oklahoma! 1 | 105 | 1943년 브로드웨이 뮤지컬의 1998년 West End 리바이벌 판 /21~23 |
59 | 2/22 | Oklahoma! 2 | 75 | |
60 | 2/29 | Joseph and the Amazing Technicolor Dreamcoat | 81 | A. Llyod-Webber 초기작의 1999년 Pinewood Studios 판 /24~28 |
51 Beethoven/ Béjart: Symphony 9
Ludwig van Beethoven · Maurice Béjart
The Ninth Symphony on Schiller's Ode to Joy
Texts: Friedrich Nietzsche, Friedrich von Schiller
1 Opening 0:55
2-5 Prologue 6:57
6 Ⅰ Allegro man non troppo, un poco maestoso 16:13
7 Ⅱ Molto vivace 12:06
8 Ⅲ Adagio molto e cantabile 15:11
9 Ⅳ Presto - Allegro assai - Final Chorus "Ode to Joy" -
Applause 30:19
10 End Credits 1:53 [1:23:38]
Live from the NHK Hall Tokyo, 8~9 Nov. 2014, directed by Mari Inamasu
Béjart Ballet Lausanne & The Tokyo Ballet ·
Israel Philharmonic Orchestra · Ritsuyukai Choir · Gil Roman
Zubin Mehta musical director
Kristin Lewis soprano / Mihoko Fujimura mezzo-soprano
Kei Fukui tenor / Alexander Vinogradov bass
Gil Roman narrator
Thierry Hochstätter & Jean-Bruno Meier percussion
안무: Maurice Béjart
예술감독: Gil Roman (Piotr Nardelli의 도움으로 제작)
오리지널 조명, 무대 세트 및 의상: Joëlle Roustan & Roger Bernard
무대 세트 및 의상: Henri Davila
조명: Dominique Roman
발레로 만나는 베토벤의 합창 교향곡
1964년 20세기발레단의 초연 이후 50년 후에 Béjart Ballet Lausanne와 Tokyo Ballet의 합동공연으로 NHK 홀에서 2014년 11월에 공연된 자료이다. 15개국 39명의 Béjart Ballet Lausanne 및 무용수와 음악가는 총 250명에 달했다.
공연에 앞서 낭송되는 니체의 텍스트는 디오니소스 축제에서 자연과 인간이 환희 속에서 화해한다는 내용으로, 교향곡에 사용된 실러의 가사와 같은 맥락을 지닌다. 베자르의 말에 따르면 발레 자체는 특정 개념이나 목적이 아닌 음악 자체의 흐름에 따라 두려움에서 환희로, 어둠에서 빛으로 향하는 여정으로 향하는 작곡가의 발자취를 따른 것이라고 한다.
모리스 베자르(1927. 1. 1 ~ 2007. 11. 22)는 프랑스 태생의 무용가 겸 안무가로 1960년 브뤼셀에서 ‘20세기발레단’을 창설하여 이끌다가 스위스 로잔으로 옮겨 1987년에 ‘베자르 발레 로잔’을 창단해 세계에서 손꼽히는 발레단으로 육성하여 2007년 그의 사망 후에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2003년 브누아 드 라 당스(평생 공로상)를 수상했다. 스위스 정부는 그가 죽은 뒤 예술계에 미친 지대한 공헌을 감안해 이례적으로 스위스 시민권을 부여했다.
52~55 Wien 신년음악회 왈츠 ‧ 폴카의 발레 버전 (전 53곡)
☼ Wien 신년음악회 왈츠 ‧ 폴카의 발레 버전 1 [1:35:46]
01 Josef: 오스트리아 마을의 제비, Op. 164 7:45 [1963] Boskovsky
02 Josef: 천상의 소리, Op. 235 9:05 [1964] Boskovsky
03 Josef: 여인의 마음, Op. 166 4:25 [1974] Boskovsky
04 Johann: 빈 숲속의 이야기, Op. 325 12:11 [1974] Boskovsky
05 Johann: 수다(트리치 트라치), Op. 214 3:15 [1974] Boskovsky
06 Johann: 황제, Op. 437 11:35 [1987] Karajan
07 Johann Ⅰ: 사랑하는 안네, Op. 137 3:15 [1987] Karajan
08 Johann: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Op. 314 9:45 [1991] Abbado
09 Josef: 수채화, Op. 258 7:46 [1991] Abbado
10 Johann: 요정, Op. 226 - Josef: 광대, Op. 48 8:07 [2001] Harnoncourt
11 Johann: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Op. 314 10:20 [2002] Ozawa
12 Johann: 대관식 송가, Op. 184 9:17 [2003] Harnoncourt
☼ Wien 신년음악회 왈츠 ‧ 폴카의 발레 버전 2 [1:28:37]
01 Johann: 가속도, Op. 234 9:106 [2004] Muti
02 Johann: 샴페인, Op. 211 2:50 [2004] Muti
03 Johann: 한 가슴, 한 마음, Op. 323 3:59 [2005] Maazel
04 Johann: Fata Morgana, Op. 330 4:00 [2005] Maazel
05 Johann: 당신과 당신, Op. 367 7:13 [2006] Jansons
06 Josef: 다이나미드(신비로운 인력), Op. 173 9:43 [2007] Mehta
07 Johann: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Op. 314 10:04 [2007] Mehta
08 Johann: 인생을 즐기자, Op. 340 8:17 [2008] Prêtre
09 Johann: 수다(트리치 트라치), Op. 214 2:34 [2008] Prêtre
10 Johann: 파리의 여인, Op. 238 4:10 [2008] Prêtre
11 Johann: 보물, Op. 418 7:30 [2009] Barenboim
12 Johann: 헝가리 만세!, Op. 332 2:38 [2009] Barenboim
13 Johann: 조간신문 Op. 279 12:16 [2010] Prêtre
14 Johann: 한 가슴, 한 마음, Op. 323 4:22 [2010] Prêtre
☼ Wien 신년음악회 왈츠 ‧ 폴카의 발레 버전 3 [1:24:54]
01 Josef: 나의 삶은 사랑과 기쁨, Op. 263 7:46 [2011] Welser-Möst
02 Josef: 저 먼 곳에, Op. 270 4:59 [2011] Welser-Möst
03 Johann: 인생을 즐기자, Op. 340 8:33 [2012] Jansons
04 Josef: 불타는 사랑, Op. 129 4:10 [2012] Jansons
05 Johann: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Op. 314 9:44 [2012] Jansons
06 Josef: 심부름꾼 소년, Op. 237 2:22 [2013] Welser-Möst
07 Johann: 레몬 꽃 피는 나라, Op. 364 9:49 [2013] Welser-Möst
08 J. Lanner: 낭만주의자, Op. 167 7:03 [2014] Barenboim
09 L. Delibes: 실비아 中 피치카티 3:32 [2014] Barenboim
10 Johann: 학생, Op. 263 3:40 [2015] Mehta
11 Johann: 술, 여인 그리고 노래, Op. 333 10:09 [2015] Mehta
12 Eduard: 광란 또는 통제 불능, Op. 168 1:58 [2016] Jansons
13 Johann: 황제, Op. 437 11:09 [2016] Jansons
☼ Wien 신년음악회 왈츠 ‧ 폴카의 발레 버전 4 [1:37:46]
01 Carl M. Ziehrer: 오페레타 <회계과장> 中 안으로 들어오시오, Op. 519 7:30 [2017] Dudamel
02 Johann: 남국의 장미, Op. 388 10:22 [2018] Muti
03 Alfons Czibulka: 스테파니 가보트, Op. 312 4:54 [2018] Muti
04 Johann: 예술가의 생애, Op. 316 9:38 [2019] Thielemann
05 Johann: <기사 파즈만> 中 차르다시 4:41 [2019] Thielemann
06 Johann: 백만 인이여 포옹하라, Op. 443 10:10+ [2020] Nelsons
07 L. van Beethoven: 12곡의 콩트르당스 中 1, 2, 3, 7, 10, 8 4:25 [2020]
08 Josef: 마르게리타, Op. 244 3:35 [2021] Muti Nelsons
09 Johann: 봄의 소리, Op. 410 7:31 [2021] Muti
10 Johann: 천일야화, Op. 346 8:25 [2022] Barenboim
11 Josef: 님프, Op. 50 4:04 [2022] Barenboim
12 Josef: 사랑의 진주, Op. 39) 10:41 [2023] Welser-Möst
13 Eduard: 저 멀리 위로, Op. 73 2:01 [2023] Welser-Möst
14 Johann: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Op. 314 9:49 [2023] Welser-Möst
역대 지휘자 (연대 순)
Clemens Krauss(오): 1939, 1941–1944, 1948–1954 [12회]
Josef Krips(오): 1946–1947 [2회]
Willi Boskovsky(오): 1955–1979 [25회] (최다 지휘자)
Lorin Maazel(미): 1980–1986, 1994, 1996, 1999, 2005 [11회]
Herbert von Karajan(오): 1987 [1회]
Claudio Abbado(이): 1988, 1991 [2회]
Carlos Kleiber(독-오): 1989, 1992 [2회]
Zubin Mehta(인): 1990, 1995, 1998, 2007, 2015 [5회]
Riccardo Muti(이): 1993, 1997, 2000, 2004, 2018, 2021 [6회]
(현존 최다 지휘자)
Nikolaus Harnoncourt(오): 2001, 2003 [2회]
Seiji Ozawa(일): 2002 [1회] (아시아계 유일 지휘자)
Mariss Jansons(라트비아): 2006, 2012, 2016 [3회]
Georges Prêtre(프): 2008, 2010 [2회] (최고령 지휘자)
Daniel Barenboim(이스라엘): 2009, 2014, 2022 [3회]
Franz Welser-Möst(오): 2011, 2013, 2023 [3회]
Gustavo Dudamel(베네수엘라): 2017 [1회] (최연소 지휘자)
Christian Thielemann(독): 2019, 2024
Andris Nelsons(라트비아): 2020
역대 지휘자 (알파벳 순)
Claudio Abbado(1933~2014): 1988, 1991
Daniel Barenboim(1942~) 2009, 2014, 2022
Willi Boskovsky(1909~1991): 1955–1979, 1980 (발레 사전 녹음)
Gustavo Dudamel(1981~): 2017
Nikolaus Harnoncourt(1929~2016): 2001, 2003
Mariss Jansons(1943~2019): 2006, 2012, 2016
Herbert von Karajan(1908~1989): 1987
Carlos Kleiber(1930~2004): 1989, 1992
Clemens Krauss(1893~1954) : 1939, 1941~1945, 1948~1954
Josef Krips(1902~1974): 1946, 1947
Lorin Maazel(1930~2014): 1980, 1981~1986, 1994, 1996, 1999, 2005
Zubin Mehta(1936~): 1990, 1995, 1998, 2007, 2015
Riccardo Muti(1941~): 1993, 1997, 2000, 2004, 2018, 2021
Andris Nelsons(1978~): 2020
Seiji Ozawa(1935~): 2002
Georges Prêtre(1924~2017): 2008, 2010
Christian Thielemann(1959~): 2019, 2024
Franz Welser-Möst(1960~): 2011, 2013, 2023
56, 57 Show Boat
Music by Jerome Kern(1885~1945)
Book and Lyrics by Oscar Hammerstein Ⅱ(1895~1960)
Based on the novel Show Boat by Edna Ferber
Orchestrations by Robert Russell Bennett
제1차 세계대전 후 대공황을 겪으면서, 대중들은 낙천적이고 유쾌하고 오락적인 문화를 갈망했는데, 바로 그런 대중의 정서에 맞는 낙천적이고 오락적인 뮤지컬이 대중예술로 뿌리를 내릴 수 있었다. 그리고 1920년대 말에는 뮤지컬이 쇼 적인 구성을 벗어나 연극적 플롯과 등장인물의 성격을 강조하게 된다. 제롬 컨이 만든 <쇼 보트(Show Boat)>(1927)를 시작으로 음악과 노래와 춤이 이야기 구성과 등장인물의 발전에 더욱 세심하게 통합되면서 가장 성공적인 상업연극이 된 것이다.
1927년에 발표된 <쇼 보트(Show Boat)>는 최초의 ‘북 뮤지컬(Book Musical)’로 일컬어지고 있다. ‘북 뮤지컬’은 노래나 춤보다 대본이 더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대본이 먼저 만들어지고 대본의 흐름에 따라 음악이 나중에 만들어진다.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오늘날의 정통 뮤지컬을 말하기도 한다. <쇼 보트>는 당시로는 대단히 획기적인 작품이었다. 많은 대사와 탄탄한 스토리, 미국의 민요와 흑인음악의 멜로디, 그리고 그 리듬을 적극 수용했는데 오늘날의 많은 진지한 뮤지컬들의 표본이 되고 있다. 작곡가 제롬 컨(Jerome Kern, 1885~1945)과 작사가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Oscar Hammerstein Ⅱ, 1895~ 1960) 그리고 실험적이며 도전적인 작품 성향을 지닌 제작자 프로렌스 지그펠드(Florence Ziegfeld, 1867~1932)의 결합은 당시 브로드웨이로써는 최상급의 조합이었으며 공연 전 부터 이미 미국 뮤지컬에 큰 획을 예견하고 있었다.
뮤지컬 <쇼 보트>의 이야기는 앤디 선장의 호화로운 여객선 ‘코튼 블러섬 호(Cotton Blossom)’에서 시작된다. 이 배는 미시시피 강을 떠다니며 선상에서 보드빌[vaudeville: 서로 연관성이 없는 10~15가지의 개별 공연으로 이루어지며, 마술사와 광대, 희극배우, 길들인 동물, 곡예사, 가수 및 무용수들이 출연한다. 보드빌은 영국의 뮤직홀과 버라이어티 쇼에 해당한다] 공연을 하는 쇼 보트이다. 작품 초반에 먼저 쇼 보트의 혼혈 스타 줄리와 백인 스티브가 금지된 결혼으로 인해 파국을 맞게 된다. 당시 혼혈인과 백인의 결혼은 엄격하게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에 앤디 선장의 딸 매그놀리아와 떠돌이 노름꾼 래버널은 첫눈에 반하게 되어 어머니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결혼한다. 그렇지만 래버널의 도박벽으로 인해 둘의 결혼 생활도 금이 가기 시작하고 결국 래버널은 매그놀리아와 딸 킴을 남겨둔 채 집을 떠나게 된다. 몇 년이 지난 후 성장한 킴은 뮤지컬 스타가 되고 매그놀리아는 우연히 시카고의 어느 클럽에서 줄리와 재회한다. 줄리는 이미 스티브에게 버림받고 인종차별로 인해 알코올 중독자가 되어 있었다. 그리고 몇 년 후 앤디 선장의 새 유람선에서 매그놀리아와 딸 킴은 자신들을 떠났던 래버널과 행복하게 재회하게 되고 이미 폐인이 되어버린 줄리는 공연을 떠나는 쇼 보트를 쓸쓸하게 바라보며 이별을 고할 때 막이 내린다.
뮤지컬 <쇼 보트>는 극적인 분위기와 진지한 내용으로 뮤지컬 코미디의 새로운 지평을 연 작품이다. 미국 중부를 북에서 남으로 관류하는 미국 최대의 강인 미시시피 강에는 많은 배들이 있었는데 쇼 보트는 실제로 19세기 후반에 미시시피 강을 건너던 고급스러운 목조 유람선이었다. 이들 유람선들은 사용 목적에 따라 도박장도 있었으며 뮤지컬 속의 앤디 선장의 쇼 보트처럼 보드빌 극장도 있었다. 뮤지컬의 내용과 가사에서 보이듯이 미시시피 강 유역에서 일하는 흑인 노동자들과 혼혈인들의 삶은 다른 지역의 노동자들보다도 가혹했다. 뮤지컬 <쇼 보트>는 이들 흑인들과 혼혈인들을 등장시켜 당시로서는 파격적이라고 할 만큼 진지한 주제인 인종 차별과 인생의 애환을 그렸다. <쇼 보트>에서 가장 유명한 노래인 “노인의 강(Ol' Man River)”의 가사는 고달픈 삶을 살아가는 유색인들의 애환이 엿보이는데 노력하는 것도 지쳤고 사는 것도 지쳤다는 내용과 함께 그렇지만 죽는 것도 두렵다는 내용으로 노인의 강은 계속해서 흔들리고 있다는 처절한 흑인들의 삶을 묘사하고 있다. 음악적으로는 미국 민요와 흑인음악을 과감하게 수용하기도 했는데 “Ol' Man River”에서처럼 남부 흑인민요가 사용되었는가 하면 교회의 성가를 바탕으로 한 음악과 왈츠, 그리고 오페레타적인 음악도 사용되었다. “Ol' Man River” 이외에도 다양한 스타일의 음악들인 “믿어요(Make Believe)”, “사랑할 수밖에 없어요(Can't Help Lovin' Dat Man of Mine)” 등이 지금까지도 애창되어지는 노래들이다. <쇼 보트>의 도입부는 매우 인상적이다. 항구로 들어오는 배 위에서의 노래와 앙상블이 마치 관객을 모으는 길놀이처럼 전체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고 이어서 각 등장인물들이 소개된다. 요즈음 뮤지컬에는 일반화되어 있지만 대화처럼 주고받는 듀엣 곡의 사용도 당시로써는 매우 독창적인 것이었다.
뮤지컬 <쇼 보트>는 당시에 흥행 면이나 평가 면에서 커다란 성공을 거두었는데 최근에도 브로드웨이와 웨스트엔드에서 리메이크 되곤 한다. <쇼 보트>는 뮤지컬 영화로 여러 편 만들어졌다. 특히 1936년판[James Whale 감독; Irene Dunne, Allan Jones, Charles Winninger, Paul Robeson, Helen Morgan 등 출연]이 명작으로 꼽히고 있는데 국내에는 1951년에 리메이크 된 영화[George Sidney 감독; Kathryn Grayson, Ava Gardner, Howard Keel, Joe E. Brown, William Warfield 등 출연]가 잘 알려져 있다. 다소 영화적인 문법으로 각색되어지기는 했지만 뮤지컬 <쇼 보트>의 원작 무대의 분위기를 살펴보는 데는 문제가 없다.
제1막
제1장 1887년, 미시시피 강 변의 도시 나체즈의 부두
쇼 보트 ‘코튼 블러섬Cotton Blossom’호가 입항했다. 요리사 퀴니가 시장을 보고 도착하자 엔지니어인 피트는 그녀 옷에 붙은 브로치를 누가 주었는지 알고 싶어 묻지만 용케도 답을 피한다. 스티브와 마을 사람들은 쇼 보트 때문에 일꾼들이 휴식을 갖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주역 배우인 스티브 베이커는 배다리 가까이에 그의 아내인 주역 여배우 줄리 라 베른의 사진틀을 걸어놓았다. 피트가 그 사진을 훔쳐 남의 눈을 피해 예인선으로 향한다. 군중들이 앤디 호크 선장의 오늘 저녁 쇼에 대한 설명을 들으려 모여든다. 피트는 그가 줄리에게 준 선물인 브로치를 줄리가 퀴니에게 줘버려 몹시 화가 났다.
피트가 줄리를 집적대어 괴롭히는 것은 보자 남편인 스티브는 피트와 주먹을 주고받으며 싸워, 피트는 앤디 선장에게서 해고를 당하자 복수를 하겠노라 위협한다. 앤디의 아내 파시는 쇼단 사람들을 멸시하고 줄리에게 그녀의 딸 매그놀리아와는 어떤 관계도 갖지 말라고 경고한다. 쇼단의 희극 여배우인 엘리 메이 치플리는 만약 줄리가 쇼단을 떠나면 그녀의 극적인 배역을 달라고 앤디를 설득하지만 실패한다.
기세등등한 도박사 게이로드 래버널이 부두에 나타나 노래한다(Where's the Mate for Me?). 래버널은 그의 태평한 천성에 대해 노래한다(Who Cares if My Boat Goes Upstream), 그러나 그가 앤디 선장과 파시의 딸 매그놀리아를 본 순간 즉각 매혹당하고 만다(Make Believe). 발론 보안관이 나타나 경고하자 그는 잠시만 머문다고 말하지만 발론은 그에게 24시간 이상 머물지 말라고 경고한다. 판사가 래버널을 보고 싶다고 발론이 전하자 그는 정중하게 변명을 한다. 매그놀리아는 쇼 보트의 노동자인 조에게 그녀가 얘기를 나눈 젊은이를 아는지 물어본다. 그는 알지 못하지만 전에 그런 인간을 강에서 본 적이 있다. 매그놀리아는 자신이 사랑에 빠졌음을 깨닫고는 급히 줄리를 찾아 달려 나간다. 조는 강은 알 것이라고 믿는다-강은 모든 것을 알지. 조는 미시시피 강에서의 인생에 대해 노래한다(Ol' Man River 늙은이 강이여).
제2장 쇼 보트의 주방
매그놀리아는 그 젊은이의 이름은 모르지만 그와 사랑에 빠졌다고 줄리에게 말한다. 줄리는 그가 ‘백수건달 강 사나이’라고 염려한다. 만약 그렇다면 그를 사랑하지 않겠다고 매그놀리아가 말하지만, 줄리는 그렇지 않음을 알고 그녀의 감정을 토로하는 노래를 부른다(Can't Help Lovin' Dat Man). 줄리가 그 흑인의 노래를 안 것에 놀란 퀴니는 조에 대한 그녀 자신의 격앙된 詩句를 덧붙인다. 조가 나타나 조와 퀴니의 2중창, 춤과 합창으로 그 노래가 흥겹게 불린다.
제3장 부두 술집
래버널은 도박으로 다 잃었지만 오늘 도박에서 지더라도 다음에는 상황이 더 나아질 것임을 안다고 래버널은 호언하는 노래를 부르고 합창이 합세한다(Till Good Luck Comes My Way). 피트는 술집 밖에서 프랭크를 붙잡아 코튼 블로섬 호에 흑인과 백인의 결혼의 사례가 있다고 알린다.
제4장 쇼 보트의 무대
퀴니와 배의 노동자들은 청소를 하면서 불행을 멀리 떨쳐 잊어버리려는 노동가를 부르고 있다(Mis'ry's Cimong' Aroun'). 줄리는 스스로 그 노래를 부르기 시작하나, 모두들 그녀와 함께 어울리자 그녀는 부르짖는다 “그 불길한 노래 부르는 걸 그만둬!” 그녀는 앤디, 스티브 그리고 쇼단의 악당 역 프랭크 슐츠와 가까스로 리허설을 한다.
늦게 도착한 엘리가 스티브의 귀에 뭔가를 속삭인다. 그가 줄리에게 다시 속삭여주자, 그녀는 졸도하고 만다. 보안관이 오고 있다는 것을 알고 스티브는 칼을 꺼내 줄리의 손가락에 상처를 내 거기서 피를 빤다. 발론 보안관이 도착하여 앤디 선장에게 줄리의 어머니가 흑인이고, 미시시피 주에서는 흑인 여성이 백인 남성과 결혼하면 위법이라고 알려준다. 스티브는 자기에게도 흑인의 피가 흐르고 있다고 대담하게 응수한다. 발론은 앤디 선장에게 그날 저녁 공연에서 흑인을 출연시키지 말라고 충고한다. 매그놀리아가 당황스럽게도 스티브와 줄리는 쇼단을 떠날 작정으로 짐을 꾸리려 가버린다.
앤디 선장은 공연을 취소하려고 계획하나, 앞날에 대해서 걱정한다. 그는 줄리의 배역을 매그놀리아에게 주기로 하는데 그녀는 모든 대사를 외우고 있다. 그녀의 상대역을 맡도록 방금 만난 한 신사를 프랭크가 권해 래버널을 데려오는데 앤디 선장은 즉각 그를 고용한다. 줄리는 매그놀리아에게 작별을 고하고 매그놀리아는 줄리와 헤어지는 슬픈 마음을 안고 황홀해하는 래버널과 연습을 시작한다.
제5장 쇼 보트의 매표소 앞
매그놀리아와 레버널이 스타가 된 쇼를 홍보하는 매표소 앞에서 엘리는 Natchez 아가씨들에게 배우가 됨으로써 하게 되는 희생에 대해 노래하는데 춤과 합창이 따른다(Life Upon the Wicked Stage). 퀴니는 능숙하고 원기왕성하게 쇼의 표를 팔기 위해 열을 올려 관심을 모아 매진을 기록한다(Queenie's Ballyhoo).
제6장 쇼 보트의 무대
극중극의 전개. 목사 역의 래버널과 루시 역의 매그놀리아가 “The Parson's Bride 목사의 신부”란 멋진 키스신과 포옹이 잇는 멜로드라마가 공연되어 열광적인 박수를 끌어낸다. 청중들이 열광적으로 극에 몰두하여 악당 역의 프랭크가 매그놀리아를 위협하자 한 후원자 고객이 화가 나서 그의 총을 발사한다! 방해꾼 때문에 앤디 선장이 직접 강제로 극을 끝내고 앤디 선장의 원맨쇼 같은 극 후반의 소개가 전개된다.
제7장 쇼 보트의 상갑판
앤디 선장의 아이디어로 파시가 페이예트에 가 있어 결혼에 간섭할 수 없는 틈에 래버널은 매그놀리아에게 납득시켜 다음날 결혼해 시카고로 가자고 한다(You Are Love). 사랑에 젖은 둘은 황홀경에 빠진다.
제8장 나체즈의 부두
결혼식에 많은 사람들이 초대되었다. 매그놀리아와 래버널이 교회로 향할 때 파시가 발론 보안관과 피트와 함께 들이닥친다. 래버널이 작년에 한 남자를 살해했다고 파시가 고발하자 모두들 충격을 받는다. 래버널이 정당방위를 취했고 그에 대해 앤디가 자신도 19세 때 한 남자를 죽였다고 인정하며 아무 이의를 달지 않자 발론은 받아들인다. 매그놀리아와 래버널이 결혼한다는 말을 듣자 파시는 졸도한다. 앤디 선장은 둘에게 축복의 말을 해 주고 이제 결혼식을 진행할 수 있겠다고 말한다.
제2막
제1장 1893년 시카고 세계 박람회장
래버널과 매그놀리아는 시카고 세계 박람회에 감탄해 하며 시카고 시민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When the Sports of Gay Chicago).
제2장 시카고 파머하우스 호텔의 스위트 룸
매그놀리아와 래버널, 그리고 딸 킴에게 에게 인생이 더 없는 행복으로 느껴진다 (Why Do I Love You?). 행운이 함께 한다고 느낌을 가진 래버널은 도박장으로 향한다.
제3장 쇼 보트
앤디는 아내에게 래버널과의 생활을 전한 딸 매그놀리아의 편지를 읽어준다. 파시는 그들이 사치품에 많은 돈을 허비한다고 못마땅해 한다. 앤디는 딸 부부와 손녀 킴을 만나러 시카고로의 여행을 제안한다.
제4장 1904년 시카고의 온타리오 가의 한 방
이제 결혼하고 성공하여 함께 공연을 하는 프랭크와 엘리는 한 하숙집에서 방 하나를 빌리려고 집주인에게 묻고 있다. 지금 세든 사람이 몇 주일간 집세를 내지 않아 몹시 화가 난 여주인 오브라이언 부인은 그들을 내쫓을 계획이다. 또한 그녀가 밝힌 바는 남자는 도박꾼이어 그들 부부가 가진 모든 것이 전당잡혔다고 누설한다. 매그놀리아가 방에 들어오자 프랭크와 엘리는 크게 놀란다. 매그놀리아는 이곳이 래버널과 함께 湖邊으로 가기 전 임시 숙소라고 설명한다. 매그놀리아가 돈이 필요하다는 것을 간파한 프랭크는 그녀에게 노래 부르는 일자리를 구해줄 것을 제안한다. 오브라이언 부인이 래버널에게서 온 편지를 매그놀리아에게 건네주는데 그 안에는 킴의 학비 200달러가 들어있다. 더 이상 전당잡힐 것도 없고 돈을 빌릴 친구도 없어진 래버널은 매그놀리아와 킴이 앤디 선장과 파시에게 돌아갈 것을 희망하며 매그놀리아에게서 떠나 간 것이다. 매그놀리아는 어머니의 불만을 참아가면서 동정을 받아 사는 것을 거절한다고 프랭크와 엘리에게 말한다.
제5장 시카고의 성 아가사 수녀원
성 아가사 수녀원으로 찾아온 래버널은 킴에게 곧 ‘사업상 여행’을 떠나야만 한다고 킴에게 설명한다. 아빠를 그리워할 때면 아빠가 항상 그녀에게 하라고 한 행동 - 함께 있는 척하라 - 을 한다고 킴은 아빠에게 말한다(reprise: Make Believe).
제6장 시카고의 트로카데로 클럽
피아니스트인 제이크가 주인 맥스에게 그들의 가수 줄리는 스티브가 그녀 인생의 또 다른 남자인 “Johnnie Walker”와 경쟁할 수 없다(그녀의 음주)며 그녀에게서 막 떠난 참이어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말한다. 줄리가 나타나자, 맥스는 만약 그녀가 오늘 저녁 쇼에 출연하지 못하면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라고 위협한다. 그녀는 새 노래를 연습하고(Bill), 불안정한 자세로 분장실로 돌아간다.
최근 엘리와 함께 트로카데로 코미디에 고용된 프랭크는 맥스에게 매그놀리아가 오디션을 볼 수 있는 기회를 달라고 요청한다(reprise: Can't Help Lovin' Dat Man). 그녀가 대단히 아름다운 여성임을 알아본 그는 동의한다. 그녀는 줄리가 여러 해 전에 부른 것을 들었던 노래를 부른다. 비록 매그놀리아는 그녀의 옛 친구가 거기 있다는 것을 모르고 있었지만, 줄리는 그녀의 목소리를 듣고 그녀를 보고는 깜짝 놀란다. 줄리는 말없이 짐을 싸고는 클럽을 떠난다.
매그놀리아의 노래는 맥스를 만족시키나 그는 그 노래를 싫어한다고 말함으로써 그녀를 화나게 만든다. 호텔 급사장이 줄리가 보낸 메시지를 가지고 나타난다. 메시지의 내용은 그녀가 야단법석을 피울 것이라는 것이다. 맥스는 그녀를 해고한다. 그런데 그 메시지에는 줄리는 맥스가 방금 오디션을 마친 그 아가씨를 고용해주도록 부탁하는 내용이 들어있다. 프랭크는 매그놀리아에게 좀 더 활기찬 템포로 노래해 보라고 격려하여 그녀가 해내자 맥스는 그녀에게 일자리를 준다.
제7장 파머 하우스의 로비
신년이브에 늦지 않게 도착했지만 파시와 앤디 선장은 파머 하우스에 머무르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래버널 부부의 소재를 찾지 못했다. 파시는 객실에서 쉬러 가고 앤디는 매그놀리아와 래버널을 찾아 나서다가 파머 하우스의 매력적인 아가씨들과 희롱을 한다. 앤디 선장은 아가씨들과 트로카데로 클럽으로 떠난다.
제8장 1900년 신년 이브, 트로카데로 클럽
클럽의 오케스트라와 무용수들이 공연을 펼치고(Washington Post March), 엘리와 프랭크의 공연이 뒤따른다(Good-Bye, My Lady Love). 객석의 앤디 선장을 보고 깜짝 놀란 프랭크는 래버널이 매그놀리아와 헤어져 떠났고, 매그놀리아는 이제 클럽에서 공연한다고 앤디 선장에게 말한다. 맥스는 줄리 웬델 대신 매그놀리아 래버널이 출연할 것이라고 청중들께 알린다. 매그놀리아는 조용히 감상적인 왈츠 송을 달콤하게 부르기 시작한다(After the Ball). 객석에 아빠가 계신 것을 보자 자신감이 더욱 커지고, 노래의 후반부에서 청중들이 그녀와 함께 노래를 부르며 흥겨워한다. 모두들 신년을 카운트다운 하고 그녀는 아빠를 포옹하고 모두들 “Happy New Year!”라고 소리친다.
제9장 The Natchez Evening Democrat 앞
조는 변함없는 미시시피 강을 회상한다(reprise: Ol' Man River).
제10장 뉴욕 시 브로드웨이 극장
MC가 이제는 대 스타가 된 매그놀리아를 소개한다. 그녀는 Ziegfeld Follies 청중들에게 노래를 불러준다(Dance Away the Night).
제11장 1927년 미시시피 주 그린빌의 부두
쇼 보트를 찾은 래버널이 앤디 선장과 만난다. 앤디 선장은 래버널에게 매그놀리아가 유럽(영국) 무대에서 성공했으며 바로 오늘 저녁 쇼 보트에 와 있다고 전한다. 래버널은 매그놀리아에 대한 그의 사랑을 슬픈 마음으로 회상한다(reprise: You Are Love).
쇼 보트에서 40년을 함께 보낸 퀴니와 조는 여전히 티격태격하며 지낸다. 한 여인이 그녀의 옷에 대해 칭찬의 말을 하자 그녀는 브로드웨이 스타인 미스 래버널에게서 받은 선물이라고 밝힌다. 그녀는 킴이 최근 쇼에서 부른 노래로 그린빌 사람들을 기쁘게 해 주고 사람들도 춤과 함께 합창으로 어울린다(Hey, Fellah!).
사람들이 퇴장하자 매그놀리아는 래버널을 보게 된다. 그가 용서를 막 구하려는 참일 때 한 노부인이 매그놀리아를 알아보고는 끼어든다. 그녀는 매그놀리아의 데뷔 공연, 다정다감하게 그녀를 바라본 잘 생긴 젊은이, 그리고 그녀가 그를 응시한 눈길을 기억한다. “그래 생각해 봐요, 단지 그런 척 하는 거 였지요” 그 부인은 매그놀리아에게 인사를 고하며 중얼거린다. 래버널이 다시 매그놀리아에게 용서를 구할 때 이제 여인으로 성숙한 킴이 아빠를 알아보고는 아빠를 포옹하고 앤디 선장과 파시 부부도 함께 껴안는다. 한 순간에 온 가족이 재회한 것이다. 조의 목소리가 다시 한 번 들려온다(finale: Ol' Man River).
Show Boat
1 Opening Credits and Overture 4:52
Act 1
2 Scene 1: The levee at Natchez on the Mississippi River - 1887 22:36
"Cotton Blossom" – Stevedores and Townspeople
"Cap'n Andy's Ballyhoo" – Cap'n Andy and Chorus
"Where's the Mate for Me?" – Gaylord Ravenal
"Make Believe" – Gaylord and Magnolia
"Ol' Man River" – Joe and Stevedores
3 Scene 2: The kitchen on the Cotton Blossom 8:02
"Can't Help Lovin' Dat Man" – Julie, Queenie, Joe, Magnolia and Ensemble
4 Scene 3: A waterfront saloon 3:48
"Till Good Luck Comes My Way" – Gaylord, Pete, Frank, and Townsmen
5 Scene 4: The stage of the Cotton Blossom 14:31
"Mis'ry's Cimong' Aroun'
6 Scene 5: The Cotton Blossom box office 9:49
"Life Upon the Wicked Stage" – Ellie and Townswomen
7 Scene 6: The stage of the Cotton Blossom 8:24
"The Parson's Bride"
8 Scene 7: The upper deck of the Cotton Blossom 6:26
"You Are Love" – Gaylord and Magnolia
9 Scene 8: The levee at Natchez 6:12
"Finale (Wedding Scene)" – Magnolia, Ravenal, Cap'n Andy, and Chorus
Act 2
10 Entr'acte 간주곡 1:35
11 Scene 1: Chicago World's Fair - 1893 2:12
"At the Fair" – Sightseers, Barkers, and Dandies
12 Scene 2: The Palmer House Hotel, Chicago 3:21
"Dandies on Parade" – City Folk
"Why Do I Love You?" – Magnolia, Ravenal, Cap'n Andy, Parthy Ann Hawks, and Company
13 Scene 3: Back on the Cotton Blossom 1:30
14 Scene 4: A room on Ontario Street, Chicago 5:09
15 Scene 5: St. Agatha's Convent, Chicago 3:21
"Make Believe" (reprise) – Ravenal
16 Scene 6: The Trocadero Club, Chicago 11:04
"Bill, Can't Help Lovin' Dat Man" (reprise) – Magnolia
17 Scene 7: The Palmer House Hotel 1:10
18 Scene 8: The Trocadero Club, New Year's Eve - 1900 8:22
"Goodbye, My Lady Love" (music and lyrics by Joseph E. Howard) – Frank and Ellie
19 Scene 9: Natchez, Mississippi 2:03
"Ol' Man River" (reprise) – Joe
20 Scene 10: The Ziegfeld Follies, Broadway, New York City 2:51
“Dance Away the Night”
21 Scene 11: The levee at Greenville, Mississippi - 1927 10:37
"You Are Love" (reprise) – Gaylord
"Hey, Feller" – Jubilee Singers and Queenie
"Finale Ultimo (Ol' Man River)" – Joe and Chorus
22 Bows and Credits 5:50
Magnolia Hawks(Cap'n Andy Hawks와 Parthy Ann Hawks의 딸로 Gaylord Ravenal과 결혼하여 Kim을 낳음): Heidi Stober, S
Gaylord Ravenal(미남 도박꾼으로 Magnolia와 결혼함): Michael Todd Simpson, Br
Cap'n Andy Hawks(쇼 보트인 코튼 블러섬 호의 선주이자 선장으로 Parthy Ann Hawks의 남편이며 Magnolia의 아버지): Bill Irwin(1950~)[배우, 광대, 코미디언]
Parthy Ann Hawks(Andy Hawks 선장의 엄격한 부인): Harriet Harris
Julie La Verne(Steve Baker의 아내로 주역 여배우): Patricia Racette(1965~), S
Steve Baker(Julie의 남편으로 주역 배우)/ Max Green: Patrick Cummings
Joe(Queenie의 남편으로 부두 노동자): Morris Robinson, B
Queenie(요리사이자 Joe의 아내): Angela Renée Simpson, S
Ellie Mae Chipley(남편 Frank와 함께 출연하는 가수이자 무용수): Kirsten Wyatt (1975~)[브로드웨이 배우]
Frank Schultz(Ellie의 남편으로 악역을 주로 맡는 배우): John Bolton, actor
Pete(코튼 블로섬 호의 터프한 엔지니어로 Julie를 농락하려 한다)/ Emcee/ Manager: James Asher
Jake: Matthew Piatt
Young Kim(Magnolia와 Gaylord의 딸)/ Natchez Girl: Carmen Steele
Sheriff Vallon(보안관)/ Maître D': Kevin Blackton
Lady on the Levee/ Queenie's Friend: Tracy Camp
Mrs. O'Brien: Sharon McNight
Lottie: Erin Neff
San Francisco Opera Orchestra, Chorus and Dance Corps
Concertmaster: Kay Stern
Chorus director: Ian Robertson
Conductor: John DeMain
Director for the Stage: Francesca Zambello
Choreographer: Michele Lunch
Set Designer: Peter K. Davison
Costume Designer; Paul Tazewell
Lighting Designer: Mark McCullough
Sound Designer: Tod Nixon
Fight Director: Dave Maier
Recorded live at San Francisco Opera: June 2014
The Snowman (1982)
Based on The Snowman by Raymond Briggs
Directed by Dianne Jackson
Music by Howard Blake [27:17]
Start - Christmas Snow - Building a Snowman - Bedtime -
Snowman Comes to Life - House Guest - Motor Cycle Ride - Cooling Off - Flying North - Santa Claus - Going Home - Next Morning [27:17]
<The Snowman>은 레이먼드 브릭스의 1978년 그림책『눈사람』을 원작으로 한 1982년 영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영화이자 음악은 교향시이다. 채널4의 다이앤 잭슨이 감독하여 1982월 12월 26일에 처음 선보여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제55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우수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상 후보에 올랐고 BAFTA TV 상을 수상했다.
이야기는 Howard Blake의 음악에 따른 그림과 액션을 통해 전달된다. 중요한 노래인 ‘Walking in the Air’를 제외하고는 대사가 없다. 음악은 런던의 신포니아가 연주했으며 노래는 세인트 폴 대성당 합창단원인 Peter Auty가 불렀다.
크리스마스 이브 폭설이 내린 밤, 제임스라는 어린 소년이 잠에서 깨어나 눈 속에서 놀다가 결국 큰 눈사람을 만든다. 자정이 되자 그는 아래층으로 몰래 내려가 눈사람이 마법처럼 살아나는 것을 발견한다. 제임스는 눈사람에게 집안을 두루두루 보여주고, 가전제품, 장난감 및 기타 장식품을 가지고 함께 놀면서 부모님을 깨우지 않게 조심한다. 이 둘은 집 정원에서 오토바이를 발견하고 숲을 가로질러 오토바이를 타고 간다. 엔진 열이 눈사람을 녹이기 시작하자 그는 차고 안의 냉동고에서 호사스럽게 식는다.
냉동실에서 북극의 그림을 본, 눈사람은 동요하더니 소년의 손을 잡고 정원을 달리다가 날게 된다. 그들은 해안을 향해 사우스다운스를 넘고 로열 파빌리온과 브라이튼 팰리스 피어를 보고 노르웨이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날아간다. 그들은 북극 풍경을 통해 오로라도 보게 되며, 눈 덮인 숲에 내려 눈사람 파티에 합류한다. 그들은 결국 순록을 끄는 산타클로스를 만난다. 산타는 소년에게 눈사람 무늬가 있는 카드와 스카프를 준다. 눈사람은 해가 뜨기 전에 제임스와 함께 집으로 돌아오고 두 사람은 작별인사를 한다.
다음날 아침, 제임스는 잠에서 깨어나 눈사람이 녹아서 모자, 스카프, 석탄 눈, 귤 코, 석탄 단추만 녹은 눈 더미에 남아 있는 것을 발견한다. 제임스는 스카프를 들고 눈사람의 잔해 옆에 무릎을 꿇고 친구의 죽음을 애도한다.
Walking In The Air
We're walking in the air 우린 하늘을 거닐며
We're floating in the moonlit sky 달빛 어린 하늘을 떠다니지요
The people far below are sleeping as we fly 멀리 아래에 있는 사람들은 우리가 날고 있을 동안에 고이 잠을 자고 있어요
I'm holding very tight 당신을 꼭 안고서
I'm riding in the midnight blue 푸른 하늘을 날고 있어요
I'm finding I can fly 난 알게 되었어요
So high above with you 당신과 함께 이렇게 높은 곳을 날 수 있다는 걸
On across the world 세상을 가로질러 계속
The villages go by like dreams 마을들이 꿈처럼 스쳐 지나고
The rivers and the hills 강과 언덕들
The forests and the streams 숲과 시내도 지나가네요
Children gaze open mouthed 아이들은 깜짝 놀라서
Taken by surprise 입을 딱 벌린답니다
Nobody down below believes their eyes 아래에 누구도 그들이 본 것을 믿지 못해요
We're surfing in the air 우린 하늘에서 서핑을 해요
We're swimming in the frozen sky 우린 얼어붙은 하늘에서 수영을 해요
We're drifting over icy mountains floating by 얼어붙은 산위를 날며 떠다니지요
Suddenly swooping low 그러다가 갑자기
On an ocean deep 깊은 바다로 곤두박질 쳐서
Rousing up a mighty monster from his sleep 괴력의 괴물을 잠 깨우고 말았어요
We're walking in the air 우린 하늘을 거닐며
We're dancing in the midnight sky 달빛 어린 하늘을 떠다니지요
And everyone who sees us greets us as we fly 우리가 날 때 모든 사람들은
우리에게 인사해 맞이해요
I'm holding very tight 당신을 꼭 안고서
I'm riding in the midnight blue 한밤 푸른 하늘을 날고 있어요
I'm finding I can fly so high above with you 당신과 함께 이렇게 높은 곳까지
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58, 59 Oklahoma!
Music by Richard Rodgers
Book and Lyrics by Oscar HammersteinⅡ
Based upon the play Green Grows the Lilacs by Lynn Riggs
The Film Produced by Richard Price and Chris Hunt
Directed by Trevor Nunn and Chris Hunt
Choreography by Susan Stroman
Musical Direction by Jonathan Best [1:45:10]+[1:14:41]
배역: 출연자
Curly: Hugh Jackman
Laurey: Josefina Gabrielle
Jud Fry: Shuler Hensley
Aunt Eller: Maureen Lipman
Will Parker: Jimmy Johnston
Ado Annie Carnes: Wicki Simon
Ali Hakim: Peter Polycarpou
Gertie Cummings: Rebecca Thornhill
1943년 브로드웨이에 혜성처럼 나타난 <오클라호마>는 모든 흥행 기록을 갈아치웠다. 무엇보다 이 뮤지컬은 로저스와 해머스타인이라는 전설적인 콤비의 탄생을 알리는 작품이기도 했다. 이들은 <오클라호마> 이후, <회전목마>, <남태평양>, <왕과 나>, <사운드 오브 뮤직>과 같은 기념비적인 작품들을 내놓았다.
<오클라호마>는 최초로 음악과 가사, 춤을 통해 감동적인 이야기를 전달함으로써 기존의 뮤지컬 무대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퓰리처 특별상을 수상하는 진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미국 서부의 인디안 지역을 배경으로 농부와 목우업자 간의 알력이 팽배한 가운데, 로리와 그녀의 사랑을 쟁취하려는 컬리(카우보이)와 저드(농장 일꾼)가 스토리를 이끌어간다.
잘 알려진 대로 <오클라호마>는 ‘Oh, What a Beautiful Mornin'’으로 시작하는데, 'The Surry with The Fringe on Top', 'People Will Say We're in Love', 'Many a New Day', 'I Can't Say No', 및 피날레를 장식하는 화려한 코러스 'Oklahoma!'와 같은 명곡들이 쏟아져 나온다. 온 가족을 위해 손색없는 뮤지컬임은 분명하다.
연출자인 트레보 넌은 <캐츠>, <레미제라블> 및 <스타라이트 익스프레스>를 연출하기도 했다.
<오클라호마!>는 퓰리처 상, 두개의 아카데미 상, 그래미 상, 토니 상을 수상한 이 시대 최고의 뮤지컬 드라마이다. 1993년 미국 기념우표가 발행된 최초의 브로드웨이 뮤지컬이 되었고 뉴욕 시민들의 드라마리그(New Yoker's Drama League)에 의해 ‘The Best Musical of the Century’로 선정되었다. 감동적인 가사 “You know we belong to the land, and the land belong to is grand”가 있는 노래 ‘Oklahoma’는 오클라호마 주의 공식 노래가 되기도 했다.
Royal National Theatre가 공연한 Rodgers와 Hammerstein의 <Oklahoma!>는 로열 국립 극장의 무대에 올랐던 작품 중 가장 성공적인 작품 중 하나로 꼽힌다. 매진 공연을 하던 1998년 7월 15일부터 10월 3일 사이에 올리비에(The Olivier)에서 Evening Standard Award(Best Musical 1998)을 수상하였고 배우들과 참가자들은 올리비에상(Olivier Awards)을 받았다.
부랑자 Jud Fry 역을 한 Shuler Hensley는 뮤지컬 부분 최고 조연상(Best Supporting Performance-Musical)을 받았고 <오클라호마!>를 재 안무한 Susan Stroman은 최고 극 안무가(Best Theatre Choreography)로 인정받았으며 Anthony Ward는 오클라호마의 끝없는 지평선을 무대 위에 재창조함으로써 최고 무대 디자인(Best Set Designer) 상을 받았다.
제1막
장소: 인디안 영토(지금의 오클라호마)
때: 세기가 바뀐 직후
눈부신 여름 아침 지방 농장의 일꾼인 Curly는 세레나데로 Aunt Eller를 부른다(Oh, What a Beautiful Mornin’). 컬리와 엘러의 조카 Laurey는 서로 반해있지만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컬리는 로리를 그날 저녁 Box Social(모금을 위한 box lunch 競賣會)로 데려가려고 하지만 그가 당당하게 할 수 있을지 의심한다(The Surrey with the Fringe on Top).
Will Parker가 Kansas City에서 돌아온다. 그는 로데오에서 50달러를 땄다. 이 돈은 Ado Annie의 아버지 Andrew Carnes가 걸었던 조건에 따라 Ado Annie에게 청혼을 할 수 있는 금액이다. 그러나 그녀에게는 이미 페르시안 행상인인 Ali Hakim이 있다. 그녀는 그 둘 중 누구를 선택할지 모르겠다고 로리에게 말한다(I Can’t Say No). 이후 사람들은 Social에 가는 길에 앤트 엘러의 집에 모인다. 컬리는 자신에게 접근하는 Gertie Cummings에게 마음이 기울어져 있다. 다른 여자들은 로리에게 말하지만 그녀는 상관하지 않는다(Many a New day).
그 사이 카네스가 생각하는 한 그의 딸에게 하는 알리의 달콤한 말은 청혼에 이른다. 알리는 함정에 빠진다(It’s a Scandal! It’s an Outrage!). 로리와 컬리는 사람들이 수군거리기 시작한 것을 인정한다(People Will Say We’re in Love). 로리는 고용된 일꾼인 Jud Fry와 함께 Social에 가기로 하고 그녀를 단념시키지 못하는 컬리는 저드가 사는 훈제장을 방문한다. 컬리는 고용된 일꾼의 장례식에 대한 꾸며낸 이야기로 저드의 정신을 다른 곳으로 돌린다. 그러나 그가 저드를 방문한 목적은 곧 드러난다. 두 남자는 로리를 원하고 그녀를 차지하기 위해 싸울 준비가 되어있다. 저드는 그의 절망을 밝힌다(Lonely Room).
로리는 컬리와 저드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확실하게 밝히기 위해 알리에게 묘약을 사고 그것은 곧 그녀를 잠들게 하며(Out of My Dreams) 그녀의 꿈은 그녀의 딜레마를 보여준다. 꿈속에서(Ballet) 로리는 컬리와 결혼하지만 저드는 그녀를 유괴한다. 컬리가 그녀를 구하려고 할 때 저드는 그를 죽인다. 로리는 놀라서 일어나고 저드를 찾아 그녀를 Social로 에스코트해 달라고 부탁한다.
제2막
Social 한 복판에서(The Farmer and The Cowman) 새로운 校舍 자금 마련을 위한 경매가 열리고 남자들은 농장 여자들이 준비한 소풍 바구니에 돈을 건다. 알리 하킴은 애니의 바구니에 윌보다 값을 비싸게 부를 계획을 짜고 그래서 윌에게 그의 여자를 얻기 위해 필요한 50달러가 돌아간다. 컬리와 저드는 로리의 바구니를 놓고 싸우지만 결국 컬리가 이긴다. 그러는 동안 윌 파커는 애니를 꾸짖는다(It’s All Or Nothin’) 저드는 그를 해고한 로리를 협박한다. 놀랍게도 그녀는 컬리를 찾고 그는 그녀를 위로한다. 그들은 결국 모든 사람들이 오랫동안 알았던 것을 받아들인다(People Will Say We’re in Love: reprise).
몇 주 후에 결혼식 만찬이 앤트 엘러의 집에서 진행된다. 컬리와 로리가새로운 인생을 시작하는 데 이만큼 좋은 때는 없다라고 엘러가 말한다. 이제 곧 인디언 영토가 오클라호마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윌과 애니도 역시 결혼하고 알리 하킴도 겔티 커밍스의 유혹에 빠졌다.시보레 shivoree라고 불리는 지역 풍습에 따라 결혼식 밤이 흘러가고 저드 프라이가 술에 취해 화난 모습으로 비틀거리며 들어온다. 그는 컬리와 대결하고 칼을 꺼낸다. 슬쩍 피하며 넘어져 저드는 그의 칼에 쓰러져 죽는다. 컬리는 살인죄로 체포된다. 즉석 재판에서 그는 자기방어라는 이유로 무죄를 선고받는다. 해는 다시 떠 눈부신 아침이다. 컬리와 로리는 친구들과 가족, 이웃들의 세레나데를 들으며 함께 떠난다.(Finale)
60 Joseph and the Amazing Technicolor Dreamcoat
Joseph and the Amazing Technicolor Dreamcoat (1991/ 1968) [1:21:07]
어린이들에게 꿈을 심어주는 가족 뮤지컬 [원종원의 <올 댓 뮤지컬>에서 옮김]
초연: 1968년 3월 1일 런던 해머스미스의 콜렛 코트 스쿨 올드 어셈블리 홀(수많은 아마추어 버전과 간이 무대가 꾸며졌지만 정식 공연 버전의 제작은 1991년 6월 1일 런던 팔라디움 극장에서 완성되었음)
기획·작곡: Andrew Lloyd Webber
작사: Tim Rice
연출: Steven Pimlott
안무: Anthony Van Laast
수상: 1982년 토니상 7개 부문 후보(남우조연, 여우조연, 원작, 안무, 연출, 음악, 최우수 작품)|1992년 로렌스 올리비에상 세트디자이너상 수상
대표곡: ‘Any dream will do’ (어떤 꿈이라도 좋아)
‘Close Every Door’ (모든 문이 닫혀 있네)
‘Go, go, go, Joseph’
‘Song of the King’
‘One More Angel on heaven’ (하늘에 천사가 한 명 늘었어요)
‘Those Canaan Days' (가나안 시절에)
1990년대 영국사회의 트렌드는?
영국 텔레비전의 인기 프로그램 중에 시간여행 다큐멘터리가 있다. 10년 주기로 지난 세월을 돌아보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옴니버스 식의 속도감 있는 진행도 흥미롭지만 당시 인기를 누리던 갖가지 일들―유명인. 대중문화 상품. 유행 패션이나 소품 등―을 하나둘씩 나열해 시청자들로 하여금 “맞아, 그때 그랬었지” 하며 감탄하게 만드는 것이 묘미다.
영국인들은 1990년대를 어떻게 추억할까. 우연히 텔레비전에서 만난 90년대 시간여행은 진행자부터 흥미로웠다. 반쯤 벗어진 머리에서 중년의 냄새가 흠씬 나는 영국 아저씨. 그는 런던 팔라디움 극장에서 뮤지컬배우로 이름을 날렸던 인기 가수 제이슨 도노번 Jason Donovan이었다. 제작진이 꼽은 가장 인상적이 90년대 초 영국사회의 트렌드는 바로 뮤지컬《조셉 엔 어메이징 테크니컬러 드림코트》(이하《조셉》)와 이 무대를 통해 10대 소녀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던 주인공 제이슨 도노번 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이 날도 특별히 그가 전체 프로그램의 사회를 맡았다.
국내 팝 마니아 중에도 간간이 그를 기억하는 사람이 있는데, 지금도 인기를 누리고 있는 호주 출신의 미녀 가수 카일리 미노그 Kylie Minogue와 함께 1988년 <당신에게만 특별히>라는 노래로 사랑받았던 금발의 미남 가수가 바로 그다. 당시 미노그와 도노번은 TV 연속극《이웃들 Neighbours》에서 사랑스러운 연인으로 출연해 영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최고의 인기를 누렸다.
앤드루 로이드 웨버와 팀 라이스, 두 천재의 첫 작품
그러나 사실 뮤지컬《조셉》이 초연된 것은 90년대보다 훨씬 이전의 일이다. 이 작품은 원래 뮤지컬의 황제라 불리는 앤드루 로이드 웨버와 신이 내린 작사가라 불리는 팀 라이스가 처음으로 함께 만든, 이른바 황금커플의 처녀작이기 때문이다.
《조셉》이 첫 선을 보인 때는 1968년 3월 1일이다. 당시 스무 살 안팎의 재기 어린 로이드 웨버와 라이스는 젊은 천재들답게 세상을 놀라게 할 만한 그들만의 ‘물건’ 구상에 골몰해 있었다. 그러던 중 런던 세인트 폴의 주니어 스쿨인 콜레트 코드 스쿨 Colet Court School의 학기말 학예회 무대에 올릴 노래극 제작을 의뢰받는다. 이렇게 해서 15분 길이의 칸타타 형식을 띤 로큰롤 노래극《조셉》이 처음 세상에 등장한다. 이 노래극의 성공으로 로이드 웨버와 라이스는 보다 실험적이고 스케일이 큰 작품을 기획하기에 이르는데, 이것이 바로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이다. 그러니까《조셉》은《지저스》제작의 모태인 셈이다.
‘조셉’은 성경 속 인물 ‘요셉’의 영어식 발음이다. 야곱(극중에서는 제이콥)의 열한 명 아들 중 하나였던 그는 어려서부터 총명해 아버지의 사랑을 독자치한다(뮤지컬에서 야곱은 수많은 아내들 중 조셉이 사랑스러웠던 그의 엄마를 떠올리게 한다며 익살을 떤다). 이런 아버지의 편애는 다른 형제들의 불만을 산다. 몰래 작당한 형제들은 조셉을 꼬드겨 사막으로 끌어내서는 이집트의 노예로 팔아버리고, 집에 돌아와서는 조셉이 늑대를 만나 비명횡사했다고 아버지에게 거짓말을 한다.
이집트로 팔려온 조셉은 부호 포티파의 시종이 된다. 오래지 않아 특유의 근면함으로 주인의 신임을 얻지만, 음탕한 포티타 부인의 유혹을 거절하다 모함을 받아 그만 감옥에 갇힌다.
그런데 이곳에서 조셉은 신통한 해몽 능력으로 유명해진다. 마침 악몽에 시달리던 이집트 왕 파라오가 소문을 듣고 조셉을 불러 꿈 풀이를 명한다. 난해한 파라오의 꿈에서 이집트의 미래를 읽어낸 조셉은 앞으로 다가올 풍요 뒤의 환난을 경계하라고 진언한다. 그 공으로 조셉은 이집트의 재상이 된다.
한편 가나안 땅의 조셉 가족은 환난 속에서 끼니조차 해결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는다. 야곱의 아들들은 풍요로운 이웃 나라 이집트를 찾아가 곡식을 청하기로 작심한다. 물론 자신들이 노예로 팔아버린 조셉이 이집트의 재상으로 있으리라고는 꿈에도 상상하지 못한다.
형제들이 구걸을 하기 위해 찾아오자 조셉은 이들을 떠보기 위해 막내 동생 벤자민에게 누명을 씌운다. 그러나 이미 조셉의 일을 마음 깊이 뉘우치고 있던 형제들은 저마다 나서 벤자민 대신 자신을 벌해 달라고 애원한다. 예전과 다른 형제의 우애를 확인한 조셉은 그제야 자신의 정체를 밝힌다. 이제 그리운 곳. 아버지에게 선물 받은 총천연색 꿈의 외투가 있는 고향땅으로 금의환향 한다.
엉뚱하고 재기발랄한 만화 같은 뮤지컬
사실 뮤지컬《조셉》의 재미는 단순히 잘 알려진 성서 이야기에 기인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1991년 런던 팔라디움 극장에 오른 장편 뮤지컬《조셉》은 갖가지 장난기와 유머로 치장돼 관객을 즐겁게 했다. 고대 이집트 왕 파라오가 엘비스 프레슬리 복장을 하고 나와 로큰롤을 부르는가 하면, 선글라스를 낀 하나님이 손가락으로 V자를 그리고 춤추면 등장한다. 조셉을 노예로 팔기 위해 작당을 꾸미는 장면에서는 형제들이 느닷없이 안주머니에서 선글라스를 빼내어 쓰고 쑥덕공론을 펼친다. 이집트 부호 포티파가 등장하면, 주일학교 선생님을 연상케 하는 내레이터는 그가 이집트에서 피라미드를 사고파는 부동산 중개업으로 돈을 번 사람이라고 설명한다. 이뿐만이 아니다. 포티파가 등장할 때면 항상 검은 양복에 짙은 선글라스를 쓴 경호원들이 주변에서 삼엄한 경계를 하며, 이들에 둘러싸인 이집트 부동산 갑부는 한 손에 휴대전화기를, 다름 손에 골프채를 들고 다닌다. 한때 국내에서 인기를 누리던 고우영 화백의 만화『삼국지』에서 장비가 탱크에 기관총을 들고 나오고, 천리마가 고급 세단으로 표현된 것과 비슷한 발상법이다. 그야말로 엉뚱하지만 재미있는, 만화 같은 뮤지컬을 탄생시킨 것이다.
사람들의 흥미를 끈《조셉》의 또 다른 특징은 별난 이야기 형식에 있다. 《조셉》은 무대 속의 무대인 ‘액자 구조’를 통해 극중극 형식으로 이야기를 진행한다. 그리고 그 극을 자유롭게 드나드는 어린이 합창단이 대거 등장한다. 이들은 때에 따라 극중 관객과 극중 배우로 변신해가며 출연 배우들과 함께 아름다운 화음을 들려준다. 나이들의 맑은 노랫소리는 관객들로 하여금 절러 미소를 짓게 만드는 매력을 지니고 있다.
애초에 초등학교 학예회용으로 구상했던 만큼 작품 곳곳에서 아이들을 배려한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음 막이 오르면 여교사가 아이들을 이끌고 무대로 나오는데, 그녀는 옛날 성서의 인물 중 꿈을 버리지 않고 살았던 어떤 사람의 이야기를 들려주겠다며 노래를 시작한다. 그러면 무대는 어느새 선생님의 이야기 속으로 빠져들어 간다는 형식이다. 누가 봐도 쉽게 이해할 수 잇는 친절한 이야기 구조이다.
또 하나 특이한 사실은 팔라디움 극장에서의 리메이크 공연에 등장한 어린이 합창단이 각지에서 열린 ‘드림코트 합창단 선발대회’를 거쳐 등용된 뮤지컬 꿈나무들이었다는 점이다. 지금도《조셉》이 공연되는 나라에서는 어김없이 합창단 선발대회가 개최되는 전통이 있다는 뒷이야기도 있다. 사상 최초로 구성된 ‘뮤지컬 전문 어린이 합창단’ 선발 과정을 통해 뮤지컬 제작의 참여정신을 나누고 있는 것이다. 여러 모로 재미있는 작품이 아닐 수 없다.
또 다른 재미를 선사하는 영화《조셉》
세계적인 히트 뮤지컬을 작곡하는 로이드 웨버이기에 그의 작품에 대한 부든 사업을 관장하는 회사가 별도로 설립돼 있다. 회사의 이름은 ‘리얼리 유스풀 그룹 Really Useful Group', 직역하자면 ’정말 쓸 만한 그룹‘이라는 뜻이다. 연간 매출이 수조 원에 달해 한때 남미 국가인 볼리비아의 연간 GDP에 육박하는 규모의 수익을 올린 적도 있다.
다름 대기업과 마찬가지로 이 회사에도 여러 계열사가 있는데, 그중에는 ‘리얼리 유스풀 필름 Really Useful Film'이라는 곳이 있다.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정규 공연을 마친 로이드 웨버의 작품을 다시 영상화하는 작업을 맡고 있는 회사다. 2004년에 국내에도 소개된 뮤지컬 영화《오페라의 유령》을 공동 제작한 곳도 바로 이 회사이다.
뮤지컬 영화《조셉》은 1999년 리얼리 유스풀 필름에서 1시간 18분짜리 영상물로 제작했다. 영화《조셉》은 국내에서도 교육방송을 통해 방영된 적이 있다. 비록 시청률은 그리 높지 않아 마니아들 사이에서만 회자되었지만, 전 세계 극장가에서 영화《조셉》은 꽤 인기를 끌었다. 요즘도 런던의 영화관을 돌아다니다 보면 ‘싱 얼롱 sing-along 조셉 앤 어메이징 테크니컬러 드림코트’라고 적힌 간판이 심심찮게 눈에 띈다. 영화관에서 뮤지컬을 보면서 스크린 자막의 가사에 맞춰 큰 소리로 노래를 따라 부를 수 있다는 내용의 홍보문구다.
영화《조셉》은 특별 게스트로 찬조 출연한 세계적 명성의 톱스타들로도 화제가 되었다. 예를 들자면 국내에도 AFKN을 통해 소개 되었던 인기 멜로드라마《다이너스티》의 여주인공 조앤 콜린스 Joan Collins나 영화《간디》의 감독 혹은《쥐라기 공원》에서 공룡을 부활시키는 재력가 회장 역으로 출연한 배우이자 감독 리처드 어텐보로 Richard Attenborough가 등장해 인기를 끌었다.
스크린에는 무대보다 더 극적인 영화적 재미가 더해졌다. 막이 오르면 배경은 영국의 한 초등학교 강당. 전교생들이 가득 찬 이곳에서 역사담당 여교사의 공개수업이 열린다. 근엄한 노교수들과 선생들이 진지한 표정으로 앉아 있지만, 정작 공개수업을 할 교사는 장난기 어린 시선으로 아이들을 응시한다.
물론 수업 내용은 꿈을 잃지 않고 살면 언젠가는 좋은 일이 생긴다는 성서 속 인물 조셉에 대한 설명이다. 무대에서와는 다르게 시공을 초월한 장면의 전환이나 빨강, 노랑, 파랑, 보라 등 원색의 화려한 배경과 세트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장난감 같은 인상마저 준다.
스타 마케팅을 접목하다
뮤지컬《조셉》은 2002년부터 웨스트엔드의 뉴런던 극장에서 리메이크 공연을 올려 마니아들의 관심을 모았다. 엄격히 말하자면 10녀 년 전 팔라디움 극장에서 선보였던 화려하고 큰 규모의 버전은 아니고 무대 연출가 빌 켄라이트 Bill Kenwright에 의해 아기자기하게 재구성된, 주로 투어 버전으로 활용되었던 공연이다. 켄라이트는 윌리 레셀 Willy Russel의 히트 뮤지컬 ≪블러드 브라더스≫의 제작자이기도 하다.
90년대《조셉》이 청춘스타 제이슨 도노번을 전면에 새운 것처럼, 21세기《조셉》에서는 스티븐 게이틀리 Stephan Gately가 주연으로 발탁되었다. 그는 아일랜드 출신의 미소년 밴드 ‘보이존 Boyzone'의 멤버로, 국내에서도 잘 알려진 히트곡 내 인생의 열쇠 Key to my life>의 리드 보컬을 맡았던 가수이다.
스타 마케팅을 활용한 뮤지컬의 제작은 비교적 손쉽게 대중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완성도가 높지 않을 경우 비난과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는 위험을 동시에 안고 있다. 어차피 뮤지컬은 태생 자체가 대중성과 흥행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나름대로 긍정적인 평가도 가능할 듯싶다. 90년대 영국에서 이룩한《조셉》의 신화가 2000년대 한국 뮤지컬 대중문화의 한 흐름으로 재현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다시 한국 공연을 기대하며
재미있는 사실이 하나 있다. 뮤지컬《조셉》이 국내 무대에 소개된 적이 있다는 사실이다. 요즘 젊은 뮤지컬 애호가들은 잘 모르겠지만 말이다.
《조셉》은 우리나라에 저작권 개념이 본격화되기 이전인 90년대 중반, 극잔 현대극장이 세종문화회관에 막을 올렸다. 당시 주인공인 조셉 역으로는 가수 유열이, 내레이터 역으로는 가수 신효범이 열연했다. 프로듀서 시절, 출연자 대기실에서 만난 유열에게 알려지지 않은 여담을 부탁하자 공연 도중 신효범이 노래하며 뒷걸음치다 오케스트라 피트로 떨어져 부상을 당했던 일화를 꺼내 흥미롭게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다. 부상의 아픔도 잊은 채 한참이나 높은 무대 위로 껑충 뛰어올라 공연을 무사히 마친 뒤 병원에 실려 갔다는 것이다. 공연 중에 배우는 정말 모든 것을 잊을 만큼 집중하게 되나 보다.
간간이 국내 제작자의 질문을 받기도 하지만, 아쉽게도 아직까지《조셉》의 리메이크 소식은 구체화되지 않고 있다. 최근 세계 뮤지컬 극장가는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건전한 오락 뮤지컬이 높은 흥행을 기록하는 추세다. 디즈니의《라이온 킹》이나《미녀와 마수》, 최근 브로드웨이 히트작《아이다》, 영국산 가족 뮤지컬《치티치티 뱅뱅》등은 그 대표적인 사례다.《조셉》은 그런 의미에서 우리 관객들에게 소개하고픈 좋은 가족 뮤지컬임에 틀림없다. 뜻 있는 기획자의 발 빠른 행보를 기다려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