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은 한번도 분단의 결과로 2차세계대전 종전직후 극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펼쳐진 미국과 쏘련등 주변 열강들의 견제와 타협에서 비롯되었다. 1. 분단 쏘련은 2차세계대전 참전을 계속 지연해오다 미국의 히로시마 원폭투하 2일후,1945.8.8 대일선전 포고와 더불어 만주일대에서 한반도로 빠른 속도로 진격시작에 미국은 쏘련의 한반도 전역 점령을 막기위해,북위 38도선을 경계선으로 정하고,북쪽은 쏘련군이.남쪽은 미군이 일본군 무장해제키로 제의하여,쏘련군은 1945.8.22일 평양진주,미24사단은 45.9.8일 인천상륙후 서울진주로 한반도는 분단? 0.미쏘공동위원회 구성 1946.3월과 47.5월 서울회의 합의점 無,47.8월 UN으로 이관. 0.UN총회:통일한국정부 수립위해 한반도 전역 선거결의,쏘련거부로 北지역 실천불가. 48.5.31일 남한지역만 선거 이승만 행정부구성, 48.8.15일 독립선포. 48.9.9일 쏘련도 북한지역 선거실시 조선인민공화국이라는 공산정권발족 선포 #남북대립격화:46.9월 서울철도파업,10월 대구폭동,48년제주4.3사태.여순반란사건,빨치산 활동 2.6.25 한국전쟁 1950.6.25.04시 北선전포고 없는 남침에 UN안보리는 오후2시 쏘련불참에도 침략행위 즉각중지 결의안 통과 에도 계속 남침하는 북한군 격퇴위한 한국정부에 가능한 모든 원조 제공 결의안 통과. 0.제1단계(북한군 공세단계):南의 인력,장비는 비교불가 열세한 전투력에 한국군 지휘체제의 결함으로 완전압도 당해,저항다운 저항 한번 못해보고,8월경 낙동강 방어선,부산교두보 경계선 구축 체계적 방어 가능. 0.제2단계(UN군 공세단계): 9.15일 맥아더장군 지휘아래 UN군1개군단 병력이 인천상륙작전 성공으로,UN군은 방어에서 공세로 전환,9.28 서울탈환,38선접근후,9.30일 트루만 대통령은 북한으로 진격을 승인하자 10.20일 평양탈환,10.26일 UN군 일부가 압록강변 도달 0.제3단계(중국인민군 개입):북한군의 붕괴로 UN군에 의한 북한전지역점령이 임박하자,대규모 중국인민군개입, 새로운 전쟁양상이 되었는데,"인해전술"에 압도당한 UN군은 北으로부터 철수,51.1.4 서울이 또다시 공산군 수중,51.2월 UN총회는 공식적으로 중국을 침략자로 규정,리지웨이 장군은 공세로 전환,서울 재탈환,중동부 전선에서도 38선을 향한 北進 계속중에, 맥아더의 중국본토공격 주장에 트루먼 대통령 맥아더의 군통수권 도전으로 간주, 맥아더 해임. 0.제4단계(휴전회담으로 소강상태):미행정부는 한반도內 전력낭비는 쏘련의 유럽진출 초래 우려로,한국전쟁 종결 희망,이는 전쟁염증에 시달린 北.中의 의도와 일치,51.6.30 휴전제의 수락,휴전회담중 논쟁 3가지는 1.모든 외국군 철수: UN군은 찬성/ 공산군측은 UN군만 철수주장 2.경계선 문제 : UN군은 현전선/ 공산군측은 38도선 주장. 3.포로교환 문제: UN군은 희망자만/ 공산군측은 모든포로 무조건다 주장 1953.1월 美 아이젠하워 대통령정부 들어서고,3월 쏘련 스탈린 사망으로 7.27일 휴전조약 체결로 진짜 분단. 3.한국전쟁 3년 결과 3년 1개월 전쟁으로 민간인 포함 남한 인명피해는 200여만명,공산진영 피해는 250여만명으로 추산되는데 군인전사자:한국군 22만7748명,미군 30629명,기타UN군 3194명인데,북한군과 중국인민지원군의 정확한 전사자수는 아직까지 확인불가 상태이며,전쟁으로 한국산업시설,주택 40%이상 잿더미,최빈국화 0.휴전협정 제60조에 의거 1954.4월 제네바에서 한국과 UN참전16개국VS 北,中,쏘련이 한반도 해결회담개최. -.한국.UN참전국=UN감시하 남북토착인구 비레 자유총선거 실시 민주적 통일정부 수립 주장. -.北.中,쏘련=오로지 UN군의 철수만을 주장,합의점 못찿고, 6월 회담 결렬. # 結 語 (아픈 기억 딛고,더 나은 미래) 동족상잔의 비극적인 역사를 통해 평화의 소중함을 깨닫고,이땅에 다시는 전쟁이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하고 또한 희생자들을 기억하고.그 아픔을 잊지않는것이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의 중요한 역할로,6.25 전쟁은 단순한 과거 이야기가 아니라,역사의 중요성을 끊임없이 알려주는 교훈으로 아픈 우리 역사를 제데로 기억하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갈수 있을것입니다.호국보훈의 달에 산화하신 님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
첫댓글 전쟁을 격어보지 못한 젊은세대에게 올바른 사실을 알려주어 다시는 이땅에 전쟁이 재발하지 않도록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할것입니다.
젊은이들이 6,25를 모르기도하여 학교에서 어떻게 가르치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