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전彖傳>
彖曰 旣濟亨 小者亨也
(단왈 기제형은 소자형야니)
〈단전彖傳〉에 말하였다. “‘기제旣濟가 형통함’은 작은 것도 형통한 것이니,
利貞 剛柔正而位當也
(이정은 강유정이위당야일새라)
‘貞함이 이로움’은 剛과 柔가 바르고 자리가 마땅하기 때문이다.
初吉 柔得中也 終止則亂 其道窮也
(초길은 유득중야일새요 종지즉란은 기도궁야라)
‘처음에 길吉함’은 유柔가 중中을 얻었기 때문이요, 종말에는 그쳐 어지러움은 그 도道가 궁극窮極한 것이다.”
[왕필王弼의 주注]
<단왈彖曰 기제형旣濟亨 소자형야小者亨也> ‘기제旣濟’는 ‘모두 이룸’을 뜻으로 삼는 것이니, 작은 것을 빠트리지 아니하여야 비로소 ‘모두 이룸’이 된다. 그러므로 작은 것을 들어서 기제旣濟를 밝힌 것이다.
<이정利貞 강유정이위당야剛柔正而位當也> 강剛과 유柔가 바르고 자리가 마땅하면 간사함이 행해질 수가 없다. 그러므로 오직 바루어야 비로소 정貞함이 이로운 것이다.
<초길初吉 유득중야柔得中也 종지즉란終止則亂 기도궁야其道窮也> 유柔가 중中을 얻으면 작은 것도 형통하고, 유柔가 중中을 얻지 못하면 작은 것이 형통하지 못하니, 작은 것이 형통하지 못하면 비록 강剛이 정위正位를 얻었으나 기제旣濟가 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기제旣濟의 요점은 유柔가 중中을 얻는 데에 있는 것이다.
기제旣濟를 편안함으로 삼는 것은, 도道가 궁극窮極하여 진익進益함이 없어서 종말에만 어지러움이 있다. 그러므로 “처음은 길吉하고 종말에는 어지럽다.”라고 하였으니, ‘종말에 어지러움’은 스스로 난亂을 하는 것이 아니요, 그치기 때문에 어지러운 것이다. 그러므로 “종말에는 그쳐 어지럽다.”라고 한 것이다.
[注]
旣濟者 以皆濟爲義者也 小者不遺 乃爲皆濟 故 擧小者 以明旣濟也
(기제자는 이개제위의자야니 소자불유라야 내위개제라 고로 거소자하여 이명기제야라)
‘기제旣濟’는 ‘모두 이룸’을 뜻으로 삼는 것이니, 작은 것을 빠트리지 아니하여야 비로소 ‘모두 이룸’이 된다. 그러므로 작은 것을 들어서 기제旣濟를 밝힌 것이다.
剛柔正而位當 則邪不可以行矣 故 唯正 乃利貞也
(강유정이위당이면 즉사불가이행의라 고로 유정이라야 내이정야라)
강剛과 유柔가 바르고 자리가 마땅하면 간사함이 행해질 수가 없다. 그러므로 오직 바루어야 비로소 정貞함이 이로운 것이다.
柔得中 則小者亨也 柔不得中 則小者未亨 小者未亨 雖剛得正 則爲未旣濟也 故 旣濟之要 在柔得中也
(유득중이면 즉소자형야요 유부득중이면 즉소자미형이니 소자미형이면 수강득정이나 즉위미기제야라 고로 기제지요는 재유득중야라)
유柔가 중中을 얻으면 작은 것도 형통하고, 유柔가 중中을 얻지 못하면 작은 것이 형통하지 못하니, 작은 것이 형통하지 못하면 비록 강剛이 정위正位를 얻었으나 기제旣濟가 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기제旣濟의 요점은 유柔가 중中을 얻는 데에 있는 것이다.
以旣濟爲安者 道極无進 終唯有亂 故 曰 初吉終亂 終亂 不爲自亂 由止故亂 故 曰 終止則亂也
(이기제위안자는 도극무진하여 종유유란이라 고로 왈 초길종란이라하니 종란은 불위자란이요 유지고란이라 고로 왈 종지즉난야라하니라)
기제旣濟를 편안함으로 삼는 것은, 도道가 궁극窮極하여 진익進益함이 없어서 종말에만 어지러움이 있다. 그러므로 “처음은 길吉하고 종말에는 어지럽다.”라고 하였으니, ‘종말에 어지러움’은 스스로 난亂을 하는 것이 아니요, 그치기 때문에 어지러운 것이다. 그러므로 “종말에는 그쳐 어지럽다.”라고 한 것이다.
[공영달孔穎達의 소疏]
<단왈彖曰 기제형旣濟亨 소자형야小者亨也> 이는 괘卦의 이름과 덕德을 해석한 것이니, 기제旣濟의 형통함은 반드시 작은 것도 모두 형통한 것이다. 다만 작은 것을 들면 큰 것을 알 수 있으니, 이 때문에 〈괘卦 이름을〉 ‘기제旣濟’라 한 것이다.
모두 충족하여 글을 지으면 마땅히 〈‘기제형旣濟亨’ 아래에〉 다시 한 ‘소小’자가 있어야 하나 다만 이미 경문經文을 중첩하였으므로 대략 충족하여 나타내었다. 이 때문에 생략을 따른 것이다.
<이정利貞 강유정이위당야剛柔正而位當也> 이는 육이六二ㆍ구삼九三ㆍ육서六四ㆍ구오九五가 모두 다 정위正位를 얻음을 가지고 ‘이정利貞’을 해석한 것이다. 강剛과 유柔가 모두 바르면 간사함이 행해질 수가 없다. 그러므로 오직 바루어야 비로소 정貞함이 이로운 것이다.
[초길初吉 유득중柔得中] 이는 육이六二가 유柔로서 중中에 거함을 가지고 ‘처음에 길吉함’을 해석한 것이다.
유柔하고 작은 것도 오히려 중中을 얻었으면 강剛하고 큰 이치는 모두 그 이루어짐을 얻는다. 물건이 이루어지지 않음이 없으니, 이 때문에 길吉함이 된다. 그러므로 “처음에 길吉하다.”라고 한 것이다.
[종지즉란終止則亂 기도궁其道窮] 이는 바로 경계하는 말을 해석한 것이다. 만약 덕德을 진익進益하고 업業을 닦음을 그치지 않으면 기제旣濟가 종말이 없으니, 기제旣濟가 종말에 어지러움은 그치기 때문에 어지러운 것이다.
종말에 그쳐 어지러우면 기제旣濟의 도道가 궁극窮極하다. 그러므로 “종말에 그쳐 어지러움은 그 도道가 궁극한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疏]
此釋卦名德 旣濟之亨 必小者皆亨也. 但擧小者 則大者可知 所以爲旣濟也.
(차석괘명덕 기제지형 필소자개형야 단거소자 즉대자가지 소이위기제야)
이는 괘卦의 이름과 덕德을 해석한 것이니, 기제旣濟의 형통함은 반드시 작은 것도 모두 형통한 것이다. 다만 작은 것을 들면 큰 것을 알 수 있으니, 이 때문에 〈괘卦 이름을〉 ‘기제旣濟’라 한 것이다.
具足爲文 當更有一小字 但旣疊經文 略足以見 故從省也.(注5)
(구족위문 당갱유일소자 단기첩경문 약족이현 고종tod야)
모두 충족하여 글을 지으면 마땅히 〈‘기제형旣濟亨’ 아래에〉 다시 한 ‘소小’자가 있어야 하나 다만 이미 경문經文을 중첩하였으므로 대략 충족하여 나타내었다. 이 때문에 생략을 따른 것이다.
[역주]5 具足爲文……故從省也 : 경문經文 그대로 ‘기제형소旣濟亨小’라고 쓰지 않고 ‘기제형旣濟亨’이라고 줄여 쓴 것에 대한 설명이다. 주자朱子는 “제濟 아래에 ‘소小’자가 빠진 듯하다.[濟下疑脫小字]”라고 하였다.
此就二三四五並皆得正 以釋利貞也.(注6) 剛柔皆正 則邪不可行 故惟正 乃利貞也.
(차취이삼사오병개득정 이석이정야 강유개정 즉사불가행 고유정 내이정야)
이는 육이六二ㆍ구삼九三ㆍ육서六四ㆍ구오九五가 모두 다 정위正位를 얻음을 가지고 ‘이정利貞’을 해석한 것이다. 강剛과 유柔가 모두 바르면 간사함이 행해질 수가 없다. 그러므로 오직 바루어야 비로소 정貞함이 이로운 것이다.
[역주]6 此就二三四五並皆得正 以釋利貞也 : 음효陰爻가 음위陰位에 거하고 양효陽爻가 양위陽位에 거함이 ‘정위正位를 얻음’이 되는바, 기제괘旣濟卦는 초구初九부터 상육上六까지 모두 정위正位를 얻었다. 다만 왕필王弼과 공영달孔穎達은 초효初爻와 상효上爻에는 음양陰陽의 정위定位가 없다고 보기 때문에 육이六二부터 구오九五까지만 언급한 것이다.
‘初吉 柔得中’者 此就六二以柔居中 釋初吉也.
(‘초길 유득중’자 차취육이이유거중 석초길야)
[초길初吉 유득중柔得中] 이는 육이六二가 유柔로서 중中에 거함을 가지고 ‘처음에 길吉함’을 해석한 것이다.
以柔小尙得其中 則剛大之理 皆獲其濟. 物无不濟 所以爲吉 故曰“初吉”也.
(이유소상득기중 즉강대지리 개획기제 물무불제 소이위길 고왈 “초길”야)
유柔하고 작은 것도 오히려 중中을 얻었으면 강剛하고 큰 이치는 모두 그 이루어짐을 얻는다. 물건이 이루어지지 않음이 없으니, 이 때문에 길吉함이 된다. 그러므로 “처음에 길吉하다.”라고 한 것이다.
‘終止則亂 其道窮’者 此正釋戒. 若能進修不止 則旣濟无終 旣濟終亂 由止故亂.
(‘종지즉란 기도궁’자 차정석계 약능진수부지 즉기제무종 기제종란 유지고란)
[종지즉란終止則亂 기도궁其道窮] 이는 바로 경계하는 말을 해석한 것이다. 만약 덕德을 진익進益하고 업業을 닦음을 그치지 않으면 기제旣濟가 종말이 없으니, 기제旣濟가 종말에 어지러움은 그치기 때문에 어지러운 것이다.
終止而亂 則旣濟之道窮矣 故曰“終止則亂 其道窮也.”(注7)
(종지이란 즉기제지도궁의 고왈 “종지즉란 기도궁야”)
종말에 그쳐 어지러우면 기제旣濟의 도道가 궁극窮極하다. 그러므로 “종말에 그쳐 어지러움은 그 도道가 궁극한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역주]7 終止則亂……其道窮也 : 왕필王弼과 공영달孔穎達은 ‘종지즉란終止則亂’을 ‘진덕수업進德修業하는 일을 그치면 종말에 어지러워짐’의 의미로 보고, ‘기도궁야其道窮也’를 ‘종말에 그쳐 어지러워지면 기제旣濟의 도道가 궁극窮極해짐’의 의미로 보았다.
반면 정이천程伊川은 ‘종지즉란終止則亂’을 ‘종終에 이르기 전에 멈추지 못하고 종終에서 멈추면 어지러워짐’의 의미로 보고, ‘기도궁야其道窮也’를 ‘종終에 멈추면 어지러워지는 이유는 종終에는 그 도道가 궁극窮極하기 때문임’의 의미로 보았다. ≪정전程傳≫은 다음과 같다. “천하天下의 일은 나아가지 않으면 물러나서 일정한 이치가 없다. 제濟의 종終에 나아가지 않고 멈추면 떳떳하지 못한 멈춤이어서 쇠란衰亂이 이르게 되니, 그 도道가 이미 궁극한 것이다. 구오九五의 재질은 불선不善한 것이 아니나 때가 극極에 이르고 도道가 궁하니, 이치에 반드시 변해야 한다. 성인聖人이 이에 이르면 어찌해야 하는가? 오직 성인聖人은 궁극하지 않을 때에 변통하여 극極에 이르지 않게 하니, 요堯ㆍ순舜이 이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종終이 있고 혼란함이 없었던 것이다.”
[정이천程伊川의 역전易傳]
<단왈彖曰 기제형旣濟亨 소자형야小者亨也> 기제旣濟의 때에 큰 것은 이미 형통亨通하였고, 오직 작은 것이 형통亨通하여야 하는 것이다.
때가 이미 이루어지면 진실로 마땅히 정고貞固히 지켜야 한다.
<이정利貞 강유정이위당야剛柔正而位當也> 괘卦의 재질이 강유剛柔가 바로 그 자리에 마땅하니, 자리에 마땅함은 떳떳함이니, 바로 정고正固의 뜻이니, 이와 같은 정貞함이 이로운 것이다.
음양陰陽이 각기 정위正位를 얻었으니, 이 때문에 기제旣濟가 된 것이다.
<초길初吉 유득중야柔得中也> 이二가 유순문명柔順文明으로 중中을 얻었기 때문에 기제旣濟의 공功을 이룬 것이다.
이二가 하체下體에 거하였으니, 막 이룰 초기이며 또 잘 대처하기 때문에 길吉한 것이다.
<종지즉란終止則亂 기도궁야其道窮也> 천하天下의 일은 나아가지 않으면 물러나서 일정한 이치가 없다.
제濟의 종終[마침]에 나아가지 않고 멈추면 떳떳한 멈춤이 아니니, 쇠란衰亂이 이르게 되니, 그 도道가 이미 궁극한 것이다.
구오九五의 재질은 불선不善한 것이 아니나 때가 극極에 이르고 도道가 궁하니, 이치에 마땅히 반드시 변한다.
성인聖人이 이에 이르면 어찌 하는가? 오직 성인聖人은 궁극하지 않을 때에 변통하여 극極에 이르지 않게 하니, 요堯·순舜이 이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종終이 있고 혼란함이 없었던 것이다.
【傳】
旣濟之時 大者固已亨矣 唯有小者亨也
(기제지시에 대자고이형의요 유유소자형야라)
기제旣濟의 때에 큰 것은 이미 형통亨通하였고, 오직 작은 것이 형통亨通하여야 하는 것이다.
時旣濟矣 固宜貞固以守之
(시기제의면 고의정고이수지라)
때가 이미 이루어지면 진실로 마땅히 정고貞固히 지켜야 한다.
卦才剛柔正當其位 當位者 其常也 乃正固之義 利於如是之貞也
(괘재강유정당기위하니 당위자는 기상야니 내정고지의니 이어여시지정야라)
괘卦의 재질이 강유剛柔가 바로 그 자리에 마땅하니, 자리에 마땅함은 떳떳함이니, 바로 정고正固의 뜻이니, 이와 같은 정貞함이 이로운 것이다.
陰陽 各得正位 所以爲旣濟也
(음양이 각득정위하니 소이위기제야라)
음양陰陽이 각기 정위正位를 얻었으니, 이 때문에 기제旣濟가 된 것이다.
二以柔順文明而得中 故能成旣濟之功
(이이유순문명이득중이라 고능성기제지공이라)
이二가 유순문명柔順文明으로 중中을 얻었기 때문에 기제旣濟의 공功을 이룬 것이다.
二居下體 方濟之初也 而又善處 是以吉也
(이거하체하니 방제지초야 이우선처라 시이길야라)
이二가 하체下體에 거하였으니, 막 이룰 초기이며 또 잘 대처하기 때문에 길吉한 것이다.
天下之事 不進則退 无一定之理
(천하지사 불진즉퇴하여 무일정지리라)
천하天下의 일은 나아가지 않으면 물러나서 일정한 이치가 없다.
濟之終 不進而止矣 无常止也 衰亂至矣 蓋其道已窮極也
(제지종에 불진이지의면 무상지야니 쇠란지의니 개기도이궁극야라)
제濟의 종終[마침]에 나아가지 않고 멈추면 떳떳한 멈춤이 아니니, 쇠란衰亂이 이르게 되니, 그 도道가 이미 궁극한 것이다.
九五之才 非不善也 時極道窮 理當必變也
(구오지재 비불선야로되 시극도궁하니 이당필변야라)
구오九五의 재질은 불선不善한 것이 아니나 때가 극極에 이르고 도道가 궁하니, 이치에 마땅히 반드시 변한다.
聖人至此 奈何 曰唯聖人 爲能通其變於未窮 不使至於極也 堯舜是也 故有終而无亂
(성인지차면 내하오 왈유성인은 위능통기변어미궁하여 불사지어극야니 요순시야라 고유종이무난이라)
성인聖人이 이에 이르면 어찌 하는가? 오직 성인聖人은 궁극하지 않을 때에 변통하여 극極에 이르지 않게 하니, 요堯·순舜이 이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종終이 있고 혼란함이 없었던 것이다.
[주희朱熹의 주역본의周易本義]
<단왈彖曰 기제형旣濟亨 소자형야小者亨也> 제濟 아래에 소자小字가 빠진 듯하다.
<이정利貞 강유정이위당야剛柔正而位當也> 괘체卦體로써 말하였다.
<초길初吉 유득중야柔得中也> 육이六二를 가리킨 것이다.
【本義】
濟下 疑脫小字
(제하에 의탈소자라)
제濟 아래에 소자小字가 빠진 듯하다.
以卦體言
(이괘체언이라)
괘체卦體로써 말하였다.
指六二
(지육이라)
육이六二를 가리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