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 도서관, 시민과 함께하는 복합문화 공간으로 조성된다 - 대전시 ․ 유성구 ․ 충남대, 지역사회 상생과 교육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 올해 말까지 시민휴식공간, 상설전시공간 등 조성... 시민 우선 열람석 운영 - |
□ 대전시는 13일 오후 충남대학교 대학본부에서 충남대, 유성구청과 지역주민의 충남대 도서관 서비스 확대 개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ㅇ 이번 협약은 지난해 신축된 충남대학교 도서관의 학술자원과 시설을 지역 주민에게 개방하여 지역대학의 위기를 극복하고 대학과 지역이상생 패러다임을 구축하기 위해 추진됐다.
ㅇ 충남대 도서관은 기존 학술정보이용 서비스와 학습공간의 제공 이외에도 지역주민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를 위해 독서, 토론, 정보이용, 전시관람 등의 기능을 융합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한다.
ㅇ 지하 1층 공간에 도서관 트렌드에 맞는 개방형 공유공간으로 구성하여 시민과 학내 구성원이 함께 누릴 수 있는 시민 휴식공간을 조성한다. 또한 대전시민의 문화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상설 전시공간도 조성할 계획이다.
ㅇ 지역주민들의 활발한 소통과 토론을 지원하기 위해 세미나실 대관을 확대하고, 시민단체, 시민동호회 등 주관 행사에 도서관 공간을 제공할 계획이다.
ㅇ 이외에도 중앙도서관 1층 자유열람실(492석) 열람공간의 약 20%에 해당하는 100여 석을 시민 우선 열람석 지정하여 대전시민이 도서관 접근을 개선한다는 구상이다.
◦ 협약에 따라 대전시는 시민 복합문화공간 조성 사업비를 3억 원을 유성구에 지원하고, 유성구는 대학도서관 교육환경개선 사업비를 집행하여 공사 추진을 담당하게 된다. 충남대는 구축된 도서관의 시민 복합문화공간을 지역주민에게 개방 및 운영하게 된다.
◦ 협약기관들은 지역사회의 교육문화 활성화와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주민의 문화수준 향상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해 적극 협력하고, 올해 말까지 사업을 마무리하여 시민들에게 개방하기로 했다.
◦ 새로이 조성된 시민 복합문화공간은 지역주민의 휴식․문화․토론을 지원하여 지역의 문화수준 향상과 평생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주민의 단계적 일상회복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 허태정 대전시장은 “지역대학의 자원을 지역주민과 공유하기 위해 광역지자체와 기초지자체가 협업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라며, “충남내 도서관이 대학도서관을 넘어, 지역주민이 지적 욕구를 충족하고 소통할 수 있는 복합교육문화공간을 목표로 조성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또한 “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 지자체-대학기반 혁신사업 등 기존에 추진되고 있는 현안 사업에서도 상호협력의 폭을 넓혀가기를 기대”하며, 대전시는 “지자체와 지역대학과의 상생을 위한 협력을 위한 사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