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구도심 재개발 2단계 사업의 시공사 유찰 우려가 결국 현실로 나타났다.
17일 신흥2구역‧중1구역주민대표회의에 따르면 LH가 지난 16일 성남 중1구역과 신흥2구역 재개발 시공사 입찰을 마감한 결과 단 한 곳의 건설사도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찰에 앞서 열린 시공사 선정을 위한 현장설명회에는 신흥2구역에 15개사가, 중1구역에 19개 건설사가 참여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하지만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는 조건 때문에 현설(현장설명회) 참여사들이 모두 등을 돌렸다.
LH는 신흥2구역 재개발 시공사 입찰에는 3개 이상의 건설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해야 하고 3.3㎡당 공사비는 360만원, 일반분양가는 1380만원으로 확정했다. 여기에 건설사가 일반분양과 미분양 물량을 떠맡도록 했다.
중1구역 재개발 시공사 입찰은 신흥2구역과 마찬가지로 2~3개 건설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하도록 조건을 제시했다. 도급공사비는 3.3㎡당 360만원, 일반분양가는 1380만원이었다. 또 건설사가 3000억원으로 추정되는 공사비는 물론 이주비 이자비용, 용역비, 수수료 등의 사업비용을 조달하도록 했다.
건설업체들이 시공사 선정입찰에 참여하지 않은 것은 이 같은 사업조건이 수익성을 보장하지 못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업계 관계자는 “주변 시세보다 높은 분양가로 사업성이 없다고 판단했으며, 모든 비용과 일반분양을 책임져야 하는 구조여서 부담이 컸다”고 말했다.
시공사 선정이 불발되면서 해당 재개발 주민대표회의와 LH는 향후 일정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다. 신흥2구역‧중1구역대표회의는 주민총회에서 입찰이 유찰이 되면 3년간 보류하기로 결정을 내린 바 있다.
신흥2구역‧중1구역대표회의는 "LH와 협의해 재입찰할 지 사업을 보류할 지 결정할 예정이지만 조속히 재입찰 결정이 되어 차질없이 사업이 마무리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LH 관계자는 “주민대표회의와 협의해 재입찰을 할 지 사업을 보류할 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건설업계에선 LH의 입찰조건이 완화되지 않으면 시공사 선정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LH측에선 입찰조건을 완화하게 되면 주민 분담금이 크기 때문에 그럴 가능성은 낮다고 말하고 있다.
한편 중1구역, 신흥2구역, 금광1구역, 수진2구역이 포함된 성남 구도심 재개발 2단계 사업은 지난 2009년 12월 사업시행 인가를 받았지만 시행자인 LH의 자금난 등의 이유로 사업 추진이 지연됐다.
2010년 하반기부터 성남시, 성남시의회, 주민, LH 등이 4자 협의체를 구성하고 지난해 1월 사업지원방안을 내놓으면서 재개 움직임이 본격화됐다. 이어 같은 해 3월 사업촉진위원회를 구성, LH와 민간건설사가 공동으로 사업을 시행하는 민관합동 재개발 방식으로 전환됐고 10월 주민총회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