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먹는 치질약이 가장 효과 좋은
알쯔하이머 약으로
[그림] Aβ plaque : Amyloid -β: 기억 신경 세포를 파괴하는 변질 단백질
γ-secretase : 단백질(APP)을 잘라내어 변질 단백질로 만드는 효소 알쯔하이머 병태를 제거하려면 이 효소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Amyloid -β 라는 변질 단백질 형성을 막아야한다
먹는 치질약 Diosmin이 알쯔하이머 병에
가장 효과 좋은 약으로 출현할 것이 예상 된다
[그림] α-secretase: 단백질을 정상으로 발라내는 효소
β-secretase: 단백질을 변질 단백질로 만들어 세포내에 축적
γ-secretase: 단백질을 변질 단백질로 만들어 세포외로 배출
알쯔하이머 치료는 γ-secretase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Diosmin은 기억 신경 세포를 망가뜨리는
변질 단백 Amyloid –β를 제거해 준다는 사실이 입증되었을 뿐 아니라
변질 단백을 유발 하는 효소 γ-secretase 까지도 불활성화 시킴이
첨단 과학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첨단 과학지 세포분자의학지(J. of cell & molecular med)를 통해
미국 Florida주 뇌신경학 연구팀이 발표한 내용이다
[그림] APP : 변질 단백질 전구 물질
[그림] Beta amyloid: 변질 단백질- 기억세포를 파괴시키는 물질 Enzyme: γ-secretase- APP를 잘라내어 변질 단백질로 만듬
[그림] 변질 단백질 덩어리: 기억 신경 세포를 파괴하는 물질
변질 단백 Amyloid-β
기억 신경 세포내의 단백질이 분해될 때 잘못 분해되면
잘못 분해된 단백질끼리 엉겨붙어 변질 단백질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Amyloid-β 라 한다
이 물질은 기억 신경 세포 내에서는 기억 기능을 방해한다
그러나 많은 양이 신경 세포 밖으로 분출되어
주위의 기억 신경 세포에 엉겨 붙어 신경을 망가 뜨린다
변질 단백이 형성되는 과정
GSK-3 라는 효소가 활성화되면
단백질을 잘라내어 변질 단백질 (Amyloid-β) 을 형성 시키는
γ-secretase 라는 효소가 활성화 된다
[그림] GSK-3: 변질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효소들을 활성화 시키는 효소 치질약 Diosmin 은 이 GSK-3 기능을 억제한다
먹는 치질약 Diosmin 의 작용점
Disomin 은 GSK-3를 감소시킴이 입증되었다
동시에 Amyloid-β도 감소되었음이 입증되었다
[그림] flovon계 성분을 많이 함유하는 과일
Flavon계 화합물
Diosmin 은 오렌지등의 과일에 많이 함유된 Flavon계 물질이다
정맥 혈관벽 속에서 탄력을 유지시켜 주는
Collagen이라는 단백질이 변질하지 하지 않게 하는 약이다
따라서 항문 정맥류 질환인 치질에 사용해왔다
뇌혈관 관문을 통과
Diosmin 은 소장벽에서 Diosmet 이라는 화합물로 전환된 후 흡수되며
뇌혈관 관문을 통과하여 약효를 발휘한다 본 연구는 알쯔하이머를 일으킨 쥐를 통한 실험이었으나
사람으로 환산하면 1일 1,000mg 복용량에 해당한다 [근거] 2008 May .Journal of Cellular and Molecular Medicine;:10.1111/j.1582-4934. Flavonoid-mediated presenilin-1 phosphorylation reduces Alzheimer┖s disease β-amyloid production ; Kavon Rezai-Zadeh, R. et al; Rashid Laboratory for Developmental Neurobiology, Silver Child Development Center, Department of Psychiatry & Behavior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South Florida,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