윗그림 세 편 중 윗것은 이탈리아 화가 화가 죠반니(조반니; 지오반니) 도메니코 체리니(Giovanni Domenico Cerrini, 1609~1681)의 〈아폴로(아폴론)와 쿠마 무녀(Apollo e la Sibilla Cumana)〉이고, 밑왼것은 네덜란드 화가 헤라르트 데 라레세(Gerard de Lairesse, 1641~1711)의 1670년작 〈(황금가지를 꺾어든) 아이네야스(아에네아스)와 쿠마 무녀(Aeneas en de Sibille van Cumae)〉이며, 밑오른것은 보헤미아 화가 벤체슬라우스(바츨라브; Vaclav) 홀라르(Wenceslaus Hollar, 1607~1677)의 〈카론, 쿠마 무녀, 아이네야스(Charon, kumska Sibyla a Aeneas; Charon, Cumaean Sibyl and Aeneias)〉이다.
☞ 메타문학(Meta-literature) 쿠마(쿠메) 무녀와 관련된 문예(문학)작품들
미국 고전학자 엘리자베스 헤이즐턴 헤이트(Elizabeth Hazelton Haight, 1872~1964)는 고대 그리스 기독교사학자 에우세비오스(Eusebios; 에우세비우스 팜필루스; Eusebius Pamphilus, 260/265~339)의 저서 《세계사(Pantodape historia; 연대기; Chronicle)》에 기록된 신화를 참조하여 “쿠마(Cuma; 쿠마이; 쿠메; Cumae)는 서기전1050년에 건설되어 서기1207년에 파괴되었을 것이다”고 추산한다.
그런 한편에서 헤이트는 고대 그리스 역사학자 투퀴디데스(Thoukudide; 투키디데스; Thucydides, 서기전460~400)의 저서 《펠레폰네소스 전쟁사(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와 여러 사료(史料)를 참조하여 “쿠마는 서기전5세기부터 서기6세기까지 존재했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헤이트는 고대 그리스 지리학자·역사학자·철학자 스트라본(Strabon; 스트레이보우; Strabo, 서기전64~서기24)의 대표저서 《게오그라피카(Geographika; Geographica; 지리서; Geography)》 제5권 제4장을 참조하여 “쿠마는 고대 이탈리아반도에 최초로 건설된 그리스인들의 도시였다”고 결론짓는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이탈리아)의 전설들과 문학(문예)작품들에 등장하는 무녀(巫女; 신녀; 神女; 시뷜라; Sibylla; 시블; Sibyl; 신탁수신녀; 神託受信女; 예언녀; 豫言女; 교신녀; 交神女; 교령녀; 交靈女; 영매녀; 靈媒女; 여무당; 女巫堂; 무속녀; 巫俗女; 무속인)들 중에도 쿠마 무녀(Cumaea Sibylla; Cumaean Sibyl)는 대체로 가장 유명하다고 통평(通評)된다.
한국어판 《케르베로스, 하데스의 지옥문을 지키는 개(Cerberus, The Dog of Hades)》(2022)의 제3편 〈하데스와 망혼들의 왕국(Hades and the Realm of Souls)〉에서 발견되는, 미국 보스턴 미술관(Museum of Fine Arts; MFA Boston; MFA) 관장을 역임한 예술사학자 아서 페어뱅크스(Arthur Fairbanks, 1864~1944)의 다음과 같은 설명은 “쿠마 무녀, 태양신 아폴로(아폴론), 트로야(Troia; 트로이; Troy) 영웅 아이네야스(Aineias; 아이네이아스; Aeneas; 아에네아스), 황금가지(黃金樹支; golden bough), 지하세계(지옥; 오르쿠스; 하데스), 망혼, 괴물 따위의 관계들”을 흥미롭게 예시한다.
▼
고대 로마 시인 베르길리우스(Vergilius; Vergil, 서기전70~서기전19)의 서사시 《아이네이스(Aeneis; Aeneid)》 제6권에서 쿠마에 상륙한 아이네야스는 지하세계로 내려가기 전에 아폴로 신당을 방문한다. 그곳에서 때마침 거행되던 아폴로 기념숭배의례를 참관하던 아아네야스에게 접근한 쿠마 무녀는 지하세계에서 명심해야 할 주의사항들을 아이네야스에게 넌지시 알려준다.【아이네야스의 나팔수였던 미세누스(Misenus; 미세노스; Misenos)는 어느 날 자신의 소라고둥연주솜씨를 자랑하고파서 감히 신들에게 연주대결을 벌이자고 제의한다. 그러나 해신(海神) 포세이돈(Poseidon)의 아들 겸 전령해신(傳令海神) 트리톤(Triton)은 그토록 오만방자한 미세누스를 괘씸하게 여겨서 바다에 익사시켜버린다. 그리고 쿠마 무녀는 “그대는 미세누스의 시체를 수습하여 뭍에 매장하지 않으면 지하세계로 들어갈 수 없으리라”고 아이네야스에게 조언한다.】
아이네야스의 동료들은 미세누스의 시체를 매장하는 장례식을 마무리할 채비를 갖춘다. 그즈음 여신 베누스(Venus; 아프로디테; Aphrodite)가 보낸 비둘기 두 마리가 아이네야스에게 날아든다. 그 비둘기들은 ‘황금가지(golden bough)를 가진 나무’로 아이네야스를 인도한다. 그는 황금가지를 꺾어들고 쿠마 무녀에게 가져다준다. 황금가지를 받아든 무녀는 지하세계로 아이네야스를 인도한다. (쿠마 인근의 분화구에 형성된) 아베르누스(Avernus) 호수의 유독(有毒)한 안개를 통과하여 어느 동굴로 들어간 무녀와 아이네야스는 어둠에 휩싸인 음산한 숲을 지나서 오르쿠스(Orcus)의 입구에 다다른다.【고대 이탈리아와 로마에서 맹세·서약·선서를 어긴 망혼을 징벌하는 지하세계의 신이라고 믿겼던 오르쿠스는, 그리스의 하데스처럼, 지하세계의 명칭으로 겸용되었다.】
오르쿠스에는 하르피아(Harpyia; 인간의 상반신, 날짐승의 하반신, 날개를 겸비한 반인반조; 伴人半鳥)들과 고르곤(Gorgon)들을 위시한 갖가지 신화적 괴물들이 서식한다. 그런 오르쿠스를 무사히 지나서 아케론 강변에 다다른 아이네야스와 무녀는 카론의 나룻배를 타고 (지옥강) 아케론(Acheron)을 건너서 비련의 들판(悲戀原野)을 지나간다. 그 들판에는 사랑에 빠져죽었거나 상사병에 걸려죽은 인간들의 혼령이 거주하는데, 그들의 가슴에는 쿠피도(Cupido; 큐피드; Cupid; 에로스; Eros)의 화살이 박혀있다. 들판을 벗어난 아이네야스와 쿠마 무녀는 마침내 갈림길에 당도한다. 먼저 왼쪽 길로 시선을 돌린 아이네야스는 (지옥강) 플레게톤(Phlegethon)의 화염(火焰)에 휩싸여 괴로워하는 망령들의 거주지를 목격한다. 쿠마 무녀는 그런 망령들을 괴롭히는 처참한 고통을 아이네야스에게 간략히 설명해준다. 그리고 어두컴컴한 오른쪽 길로 들어선 무녀와 아이네야스는 (지옥황후) 페르세포네(Persephone)의 묘지를 지나서 신들의 처소로 걸어간다. 그곳에서는 모든 것이 복락을 누린다. 행복한 망혼들은 춤추고 노래하며 온갖 환희를 누리며 시간을 보낸다. 그곳에서 아이네야스는 자신의 아버지 안키세스(Anchises)를 만나고, 안키세스는 아들에게 영혼환생론을 해설하면서 로마의 위대한 미래상을 예설(豫說)한다. 그리고 아이네야스와 쿠마 무녀는 몽환(夢幻)들의 두 관문 중 한 관문을 지나서 지상세계로 귀환한다.
▲
아랫그림 두 편 중 윗것은 네덜란드 화가 얀 브뢰걸(브뤼겔; 브뢰헬' Jan Brueghel de Oude, 1568~1625)의 1600년작 〈하데스로 내려간 아이네야스와 쿠마 무녀(Aeneas and Sibyl in the Underworld)〉이고, 밑것은 잉글랜드 화가 조지프 윌리엄 터너(Joseph William Turner, 1775~1851)의 1815년작 〈아베르누스 호숫가의 아이네야스와 쿠마 무녀(Lake Avernus: Aeneas and the Cumaean Sybil)〉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