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月 [시청자 미디어센터] 火 [시청자 미디어센터] 水 [베토벤 음악감상실] 土 [베토벤 음악감상실]
2/3 (796회) | Jascha Heifetz | ||||||
2/5 (28회) | Jascha Heifetz | 2/6 (61회) | Parade; Pulcinella; Le Train Bleu | 2/7 (61회) | Parade; Pulcinella; Le Train Bleu | ||
2/12 | 대체 휴일 | 2/13 | Bach: Cello Suites [Ballet] | 2/14 | Bach: Cello Suites [Ballet] | 2/17 | The Four Seasons: Vivaldi, Verdi, Glazunov |
2/19 | Bach: Cello Suites [Ballet] | 2/20 | Il turco in Italia 1 | 2/21 | Il turco in Italia 1 | 2/24 | André Messager: The Two Pigeons |
2/26 | Il turco in Italia 1 | 2/27 | Il turco in Italia 2 | 2/28 | Il turco in Italia 2 |
시청자 미디어센터 (화 2/6)
베토벤 음악 감상실 (수 2/7)
Pablo Picasso at Pompeii
Erik Alfred Leslie Satie (1866–1925): Parade [24:53]
안무: Leonide Massine
음악: Erik Satie (1916~17, 발레 뤼스를 위해 작곡)
대본: Jean Cocteau
의상 및 세트: Pablo Picasso
초연: 1917년 5월 18일, Ernest Ansermet 지휘, Théâtre du Châtelet in Paris
French Manager: Giacomo Castellana
The Chinese Magician: Manuel Paruccini
American Girl: Christina Mirighliano
American Manager: Giacomo Castellana
The Horse: Luca D’Ottavio, Lugi Corrade
Two Acrobats: Sara Loro, Michele Satriano
Igor Feodorovich Stravinsky (1882–1971): Pulcinella [38:12]
Pulcinella(나폴리의 가면 희극에 잘 나오는 등장인물, 미남): Claudio Cocino
Pimpinella(풀치넬라의 애인, 가장 아름다운 처녀): Rebecca Bianci
Prudenza: Marianna Suriano / Florindo: Giacomo Luci
Rosetta: Elena Bidini / Cloviello: Giuseppe Depalo
Magician: Marco Marangio
The Doctor(푸르덴자의 아버지): Manuel Zappacosta
Tartaglia(로세타의 아버지): Massimo Perugini
Barbo(풀치넬라의 친구): Luca D'Ottavio
4 Pulcinella: Giacomo Castellana, Luigi Corrado, Giolvanni Castelli, Massimiliano Rizzo
Corps de Ballet of the Teatro dell’Opera di Roma
Choreography by Léonide Massine revived by Lorca Massine (1944~)
Directed by Eleonora Abbagnato (1978~; 시칠리아의 팔레르모 태생, 2013~21 파리오페라발레단의 에투알, 2021년 6월 12일 고별 공연)
Set designs by Pablo Picasso reconstructed by Maurizio Varamo
Costumes by Picasso reconstructed by Anna Biagiotti
Lighting by Mario De Amicis
Directed for TV by Paolo Santioni
General Manager: Carlo Fuortes
Production Manager: Cosimo Meniconi
Video Director: Paolo Santoni
Musical Continuity: Eric Baillon
Director of Photography: Jean-Marc Bouzou [2017]
20세기를 대표하는 화가 파블로 피카소는 무용 역사에도 흥미로운 족적을 남겼다. 특히 20세기 초반에 파리를 중심으로 활동한 디아길레프의 발레 뤼스(러시아 발레단)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다섯 편(미발표 작품을 포함하면 여섯 편)의 작품에서 무대, 의상, 혹은 커튼 막의 디자인을 맡았다. 그중 레오니드 마신느(1896~1979)가 안무한 <퍼레이드>(1917)와 <풀치넬라>(1920)를 담았다. 장 콕토 대본, 에릭 사티 음악의 <퍼레이드>는 피카소의 무대, 의상 디자인 중 큐비즘을 이용한 것이 포함되어 유명하고,
스트라빈스키가 페르골레지의 곡들을 편곡한 <풀치넬라>는 이탈리아 가면극 코메디아 델라르테를 재현한 익살극이다. 폼페이 유적지에서 발굴된 야외극장 실황으로, 원 안무가의 아들인 로르카 마신느가 최대한 충실하게 복원했다.
디아길레프가 러시아 무용수와 안무가들로 조직하여 파리에 러시아 발레 열풍을 몰고 왔던 ‘발레 뤼스’는 여기에 안주하지 않고 적어도 음악과 미술에 있어서는 여러 나라 예술가들을 끌어들임으로서 ‘세기 예술의 용광로’가 되었다. 이중 러시아 출신이 아닌 화가로는 파블로 피카소와 앙리 마티스가 대표적이고, 의상 디자이너 코코 샤넬도 <트랭 블루(푸른 열차)>라는 작품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피카소는 발레 뤼스의 안무가 레오니드 마신느와 친분이 깊었고, 심지어 첫 결혼상대는 발레 뤼스 단원이었던 러시아 귀족 출신의 발레리나 올가 코클로바였다. 코클로바를 모델로 한 피카소의 그림도 여러 점 있다.
두 발레를 안무한 레오니드 마신느는 불세출의 무용가 니진스키와 사이가 벌어진 디아길레프가 니진스키를 대체하여 러시아에서 발굴한 무용수로 1914년 발레 뤼스에 합류해 디아길레프의 총애를 한 몸에 받았다. 춤만 아니라 음악과 미술에 대한 교양이 풍부했던 마신느는 안무가로 두각을 드러내 <이상한 가게>, <삼각 모자>, <유쾌한 파리 처녀> 등을 안무했다. 이중 <삼각 모자>도 피카소가 무대와 의상을 디자인했다. 디아길레프가 사망한 후에는 줄거리가 없는 ‘심포니 발레’를 창안하여 추상적 모던 발레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아들 로르카 마신느(1944~)도 안무가로 성장하여 부분적으로만 남아있는 부친의 작품을 원래 모습으로 되살리는데 일조하고 있고, 이 폼페이 공연에도 안무가로 참여했다.
<퍼레이드>와 <풀치넬라>는 정기적으로 공연되지 않았다는 인상을 준다. 그러나 2017년 이탈리아 문화부는 피카소의 이탈리아 방문 백주년을 축하하기 위해 두 작품의 리바이벌을 지원하기로 결정하여 그 결과 폼페이의 로마 극장 폐허에서 공연이 이루어졌다.
폼페이는 나폴리 남동쪽에 위치한 옛 로마의 도시다. 베수비오 화산의 갑작스런 대폭발로 기원 79년 8월에 사라졌다. 로마 귀족들의 고급 별장들이 있던 휴양도시답게 남서구역에 다양한 크기의 야외극장 세 개가 있다. 가장 큰 극장은 무려 5000석, 오데온이라 불리는 공간은 1500석 규모다.
Parade 퍼레이드
이 발레는 Satie와 Picasso의 첫 번째 발레 작업이자 첫 번째 공동 작업이다. 플롯은 파리의 음악 홀과 미국의 무성 영화와 같은 당대의 인기 있는 엔터테인먼트에서 영감을 얻었다. <퍼레이드>의 플롯에 사용된 장치의 대부분은 격식을 갖춘 파리 극장의 밖에서 일어나는 파리의 거리를 묘사한다. 줄거리는 음악홀과 서커스장과 같은 일상생활의 다양한 요소를 재현한다. <퍼레이드> 이전에는 대중적인 엔터테인먼트 자료의 사용은 발레의 엘리트 세계에 부적합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콕토가 구성한 <퍼레이드>의 줄거리에는 관객들이 자신들의 쇼를 보도록 유도하려는 공연자 일원의 실패한 시도가 포함된다. 피카소의 입체파 의상(두 명의 매니저) 중 일부는 단단한 판지를 사용하여 댄서들은 최소한의 움직임만 허용했다. 악보에는 콕토가 추가 한 몇 가지 "소음 만들기"도구 (타자기, 霧笛, 각종 우유 병, 권총 등)가 포함되어 있어 사티를 다소 당황하게 했다. 콕토의 그러한 추가는 몇 년 전 발레 뤼스에 의해 초연된 I. 스트라빈스키의 <봄의 제전>와 비교할 수 있는 Succès de scandale(스캔들에 의한 성공)을 만들려는 열망을 보여 주었고 그에 못지않은 스캔들을 일으켰다. <퍼레이드>는 꽤 혁명적이었고, 엘리트층에게 일반적인 거리 엔터테인먼트를 가져 주었지만, 관객들에게 경멸을 당하고 비평가들로부터 칭찬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년 후 스트라빈스키는 여전히 succès de scandale의 문제에서 가장 명성을 지속했다. <퍼레이드>에 포함 된 래그타임은 나중에 피아노 솔로로 개작되어 별도의 피아노 작품으로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피날레는 “전체 출연진이 관객을 유인하여 쇼를 보려고 유인하는 마지막 필사적인 시도”인 빠른 래그타임 댄스"다.
발레의 초연은 많은 스캔들을 초래했다. 청중의 한 파벌은 야유하고, 쉿 소리를 내며, 매우 무례했으며, 열렬한 박수갈채에 묻히기 전에 폭동을 일으킬 뻔했다. 그들의 반대 중 많은 부분이 피카소의 입체파 디자인에 초점을 맞추었고, 이는 "sales boche(dirty sale)"라는 비난의 외침을 받았다. 화가 가브리엘 푸르니에에 따르면, 가장 기억에 남는 스캔들 중 하나는 콕토, 사티, 그리고 <퍼레이드>에 불리한 평을 쓴 음악 평론가 Jean Poueigh 사이의 격론이었다. 사티는 비평가에게 엽서를 보냈다. "존귀한 친구 귀하 - 귀하는 얼간이(arse)요, 음악이 없는 얼간이요! 서명, 에릭 사티." 비평가는 사티를 고소했고, 재판에서 콕토는 법정에서 반복적으로 "arse"를 외친 혐의로 경찰에 체포되어 구타당했다. 사티는 감옥에서 8일의 형을 선고받았다.
<퍼레이드>의 무대 커튼은 피카소가 완성 한 가장 큰 작품으로, 높이 약 11미터, 너비 17미터이다. 파리를 배경으로 한 이 춤은 가난한 프랑스 매니저와 미국 매니저가 마을의 서커스를 후원하며 돈을 잃고 절망에 빠져 서커스에서 스타를 고용하여 그들의 쇼를 위해 관객을 끌어 들이기 위해 구경꾼들의 군중 앞에서 퍼레이드를 펼치는 거리 예술가인 중국인 마술사, 미국의 소녀, 말(2명이 조종), 두 명의 곡예사의 이야기를 펼친다. 말이 공연하는 4분 11초 동안은 음악이 없다.
프랑스 매니저 (2:04) - 중국인 마술사 (3:27) - 미국 매니저 (7:22) - 미국인 소녀 (8:43) - 말 (12:16) - 2명의 곡예사 (16:27) - 두 매니저, 미국인 소녀, 말, 두 곡예사, 중국인 마술사 등 全員 (19:27~22:52) - 커튼콜 (~24:53)
Pulcinella 풀치넬라
1919년 디아길레프는 스트라빈스키는 페르골레지의 피아노(하프시코드) 음악을 소개하며 오케스트레이션을 해 발레 음악으로 작곡할 것을 제안했다. 처음 이 제안은 스트라빈스키의 관심을 끌지 못했지만 끈질긴 디아길레프와 권유와 피카소가 <풀치넬라>의 무대 미술을 맡는다는 것에 끌려 결국 스트라빈스키는 페르골레지 음악의 발레 편곡을 맡게 된다. 그는 페르골레지의 음악에서 <연애하는 수도사(Lo Frate 'nnamorat, 1734)>와 <일 플라미니오(Il Flaminio, 1735)>, <시리아의 아드리아노'(Adriano in Siria, 1734>, 트리오 소나타 등 여러 곡의 작품들을 편곡해서 1920년에는 발레 음악 <풀치넬라>를 완성했다. (냉정하게 말하면 편곡이라기보다는 오케스트레이션이라 함이 옳을 정도로 페르골레지의 음악이 거의 그대로 살아있다)
스트라빈스키가 음악을 맡기는 했지만 <풀치넬라>의 공연까지는 험난했다. 무대와 의상을 담당했던 피카소는 코메디아 델 아르테 풍의 디자인을 원했던 디아길레프의 제안을 거부하고 다투다가 결국 발레의 무대를 18세기 나폴리의 거리와 베수비오 화산을 흐릿한 배경으로 설정하고 그 가운데에 좁은 통로와 달빛 비치는 거리를 배치했다.
스트라빈스키는 안무가 마신느에게 <풀치넬라>를 피아노용 악보로 먼저 보냈는데 마신느는 이 곡이 스트라빈스키의 평소 스타일대로 대편성 관현악 작품일 것이라 예상하고 대규모의 안무를 구상했다. 하지만 편곡을 끝내고 스트라빈스키가 리허설에 참석했을 때 마신느의 안무는 스트라빈스키의 음악이나 구상과 전혀 어울리지 않아 공연을 얼마 앞두고 작품의 대규모 수정이 이뤄져야 했다. (이 부분에선 마신느를 탓할 수 없는 것이 1920년 이전까지 스트라빈스키의 발레 음악은 <불새>, <봄의 제전>, <페르투슈카> 등 대표작을 제외하고도 상당한 규모의 편성을 필요로 했었다)
<풀치넬라>의 악기 편성은 과거 그의 음악에서와 마찬가지로 독특하다. 독창자와 독주자, 작은 규모의 현악기, 목관 8중주로 구성되어 사운드에서 스트라빈스키의 특징이 드러났다.
발레의 내용은 코메디아 델 아르테의 전형적인 형식을 따르고 있다. 코메디아 델 아르떼는 17세기의 희극 양식으로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이름과 성격, 관계가 정형화되어 있다. 풀치넬라와 핌피넬라, 할리퀸(=아를르깽)과 콜롬빈느(=콜롬바인), 삐에로와 삐에리나 등 (할리퀸과 삐에로의 커플은 프티파의 발레 할리퀴냐드에 등장한다) 코메디아 델 아르테의 전통적인 등장인물 중 하나인 풀치넬라를 주인공으로 한 이 발레의 스토리는 다음과 같다.
나폴리의 광장 양쪽에 저택이 보인다. 풀치넬라는 흰색 옷을 입고 검은 색 마스크로 덮인 큰 코를 가진 이탈리아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인기 캐릭터다. 마을 젊은 아가씨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는 그는 많은 역할을 할 수 있지만, 그는 보통 독창성이나 맹목적인 행운을 통해 항상 인기를 누리는 일종의 귀여운(?) 악당이다. 풀치넬라는 핌피넬라라는 애인이 있음에도 아가씨들의 꽁무니를 쫓기를 좋아한다. 이 공연에는 4명의 추가 풀치넬라와 15명의 어린 풀치넬라가 나온다.
양쪽 저택에는 결혼 적령의 아름다운 두 아가씨 프루덴자와 로제타가 살고 있는데 그들은 순결을 지키도록 아버지에 의해 끊임없는 감시를 받는다. 클로비엘로와 플로린도는 창가에 나타난 이 두 아가씨를 유혹하려는 두 명의 젊은 귀족으로 세레나데를 들려준다. 풀치넬라는 이 기회를 잘 이용하려고 한다.
두 아가씨는 그들로부터 별 깊은 인상을 받지 못한다. 아가씨들은 아래의 남자들에게 물을 쏟는다. 조심해! 의사인 프루덴자의 아버지가 나타나 그들을 내쫓는다.
그러나 결국 아가씨들은 아버지들에 대한 반감으로 과감하게 거리에 나온다. 이 두 아가씨는 오히려 풀치넬라에게 더 관심이 크다. 그녀의 아버지가 나타나는데 로제타는 풀치넬라와 춤추다 서로 키스한다. 하지만 조심해! 핌피넬라가 나타나 이를 보고 그들을 저지시킨다.
풀치넬라는 난처한 상황에 처했다.
핌피넬라가 다시 상황을 장악한다.
풀치넬라에게 질투심을 가진 두 젊은 남자는 풀치넬라를 혼내주고자 시도하여 그를 때리고 마침내 칼로 찌른다. 사태는 통제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이는 핌피넬라의 용서를 얻기 위한 풀치넬라의 술책이다.
풀치넬라는 죽고 거리에서 사람들이 애도한다.
마술사로 분장한 푸르보가 그때 우연히 나타나 모든 사람들 앞에서 풀치넬라를 죽음으로부터 부활시킨다. 핌피넬라는 풀치넬라를 용서하고 프루덴자와 로제타도 플로린도와 클로베엘로의 구혼을 받아들인다.
마술사는 세 쌍의 젊은 커플의 결혼을 주재한다.
그리하여 모든 일이 잘 풀렸다!
그러나 의문. 거리에서 과연 누가 죽었나? 이 마술사는 정확히 누굴까?
발레 내용만큼이나 시끄러운 대소동 끝에 1920년 3월 15일 앙세르메의 지휘로 파리 오페라 극장에서 이루어진 <풀치넬라> 초연은 성공을 거뒀다.
<풀치넬라>는 발레보다 음악적으로 스트라빈스키에게 더 의미가 있는데 이 작품의 작곡을 계기로 1920년대에 들어오면서 스트라빈스키는 러시아의 민속적 색채나 인상주의적인 실험을 끝내고 서서히 신고전주의적인 실험을 시작했고 신고전주의는 그의 말년을 대표하는 음악적 특징으로 자리 잡는다.
1 Opening & Overture ~2:05
2 Serenata: 새끼 암양이 싱싱한 풀을 풀을 뜯고 있을 때 양치기 소녀가 외로이 잎이 무성한 숲 가운데로 노래하며 지나가네. 양치기 소녀는 외로이 잎이 무성한 가운데로 노래하며 지나가네. (T) ~5:05
카비엘로와 플로린도가 등장하여 로제타와 프루덴자에게 구애하고자 세레나데를 부르고 풀치넬라는 작은 풀치넬라 인형을 안고 나타나 조용히 지나간다. 이윽고 로제타와 프루덴자가 창문에 나타나 아래의 두 남자를 내려다본다.
3 두 아가씨는 아래의 남자들에게 물을 쏟고 아래로 내려와 두 남자와 어울린다. 창가에 나타난 아가씨들의 아버지들이 이를 보고 노발된다. 두 남자는 퇴장하고 아버지들이 나타나 딸들을 단속하여 데리고 들어간다. ~6:40
4 풀치넬라가 경쾌하게 등장한다. ~6:54
5 경쾌한 솔로를 추는 풀치넬라 ~8:00
6 두 아가씨가 차례로 나와 풀치넬라에게 관심을 보인다 ~9:22
7 이때 풀치넬라의 애인인 핌피넬라가 등장하자 풀치넬라는 난처해진다. 둘의 코믹한 짧은 2인무. 화가 난 두 남자가 칼을 들고 등장하여 풀치넬라를 위협하고 풀치넬라는 능청을 떨고 모두 퇴장한다. ~10:58
8 핌피넬라가 어린 풀치넬라들을 데리고 등장 ~13:00
9 아마도 나는 고통 속에서 만족하며 살겠지요. 비록 멀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당신이 내 사랑에 충실하고 이 마음에 충실하다고 만약 내가 믿을 수만 있다면 아마도 나는 고통 속에서 만족하며 살겠지요. 만약 내가 믿을 수만 있다면 비록 멀리 떨어져 있어도 당신이 내 사랑에 충실하고 이 마음에 충실하다면 난 행복하게 살 수 있으니 당신을 믿을 수 있다면. 아마도 나는 고통 속에서 만족하며 살겠지요. (S) ~14:53
핌피넬라는 어린 풀치넬라들 앞에서 솔로를 춘다. 이때 다시 풀치넬라와 두 남자가 나타났다 사라지고 핌피넬라와 두 아가씨가 다시 등장하고 풀치넬라, 두 남자가 다시 나타나고 이어서 두 아가씨의 아버지까지 나타나 혼란스러운 상황이 된다.
10 이와 같은 사랑스런 말로 당신은 내 가슴을 그 뿌리로부터 찛네. 아름다운 이여, 여기 머물러주오 만약 당신이 계속 말한다면 나는 죽게 된다오, 나는 죽게 된다오, 나는 죽게 된다오. 나는 죽게 되리. 나는 죽게 되리. (B) ~17:06
핌피넬라는 풀치넬라와 다른 풀치넬라들(모두 6명)과 춤을 춘다. 두 아가씨와 다시 등장한 두 남자는 칼로 풀치넬라를 찌른다.
11 평화가 없다는 말을 듣는다. 심장이 없다는 말을 나는 듣는다. 당신을 위해 아아,...아니 결코 더 이상 평화는 없다. ~20:41
세 명의 여자는 애도의 춤을 추고 5명의 풀치넬라와 1+14명의 어린 풀치넬라도 이에 함께한다. 모두들 풀치넬라의 죽음을 애도한다.
12 여자가 악마보다도 더 교활하다고 말하는 사람은 진실을 바로 진실을 말한 거라네. ~21:20
애도는 계속되고 어린 풀치넬라들은 퇴장한다.
13 누구도 사랑하지 않고 백 명이나 한 줄에 꿰어 공공연히 그들 모두를 기만하는 여자들이 있다네. 다른 여자는 만족시키기 어렵게 행동하고는 남편을 동경한다네. 그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속임수. 순진을 가장하는 자 그러나 교활하네. 또 다른 만족시키기 어렵게 행동하고는 남편을 동경하네. 한 사람을 꽉 붙잡고 다른 사람에게 눈을 돌리느 누구도 사랑하지 않은 백 명이나 한 줄에 꿰어 공공연히 그들 모두를 기만하는 몇 사람도 있는데, 내 말을 들어보구려. ~23:11
애도는 계속되고 특히 핌피넬라의 슬픔이 크다.
14 여기에 갑자기 마술사가 등장하여 세 여자와 풀치넬라들의 앞에서 그를 살려내고 사라진다. ~24:27
15 부활한 풀치넬라, 세 여자 그리고 모든 풀치넬라들이 기쁨의 춤을 춘다. ~25:42
16 만일 당신이 나를 사랑한다면, 나만을 위해서 당신이 탄식한다면, 친절한 양치기여, 나는 당신의 고통을 슬퍼하고 당신의 사랑에 기뻐하리. 그러나 그 보답으로 내가 당신만을 사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귀여운 양치기여 그게 잘못임을 알게 되리오. 오늘 실비아는 아름다운 심홍색 장미를 택할지 모르나 내일 그녀는 가시를 핑계로 그걸 퇴짜 놓을 거예요. 그러나 나는 ‘내가 백합을 좋아한다고 다른 꽃들을 비웃지 않으리라는’ 남자들의 충고를 따르지 않으리. (S) ~28:01
풀치넬라와 핌피넬라의 기쁨과 사랑의 2인무
17 5명의 풀치넬라가 등장해 그중 한 명을 마법사로 분장시킨다. ~28:53
18 두 아가씨와 두 남자가 함께 어울리는데 창에서 이를 지켜본 아버지들은 속수무책이다. ~30:02
19 풀치넬라와 마법사가 등장하여 두 아가씨와 두 남자, 풀치넬라와 핌피넬라를 맺어준다. ~31:10
20 사랑에 불타는 아름다운 눈동자 그대를 위해 나 가슴은 자질어지네. 사랑으로 빛나는 아름다운 눈동자 그대를 위해 나 가슴은 자질어지네. 그대를 위해 나 가슴은 자지러지네. 사랑에 불타는 아름다운 눈동자 그대를 위해 내 가슴은 자지러지네. (trio) ~33:31
모두가 기뻐하는 가운데 춤이 벌어진다.
21 두 쌍의 젊은 커플과 그 아버지, 풀치넬라와 핌피넬라, 마법사, 풀치넬라들 모두가 흥에 겨워 춤을 펼친다. ~37:11
22 Credits ~38:12
Le train bleu (푸른 열차)
단막 발레
시나리오: Jean Cocteau
음악: Darius Milhaud
안무: Bronislava Nijinska
세트: Henri Laurens
무대 커튼: Pablo Picasso에 따름
의상: Gabrielle Chanel
세계 초연: 1924. 6. 20. 파리 발레 뤼스
초연 무용수: Anton Dolin, Bronislava Nijinska, Lydia Sokolova, Leon Woizikowski
1 Swimming 7:16
2 Tennis and Golf 11:33
3 Acrobatics 4:30
4 Credits 1:14 [24:33]
Perlouse: Élisabeth Maurin
The Handsome Youth: Nicholas Le Riche
The Tennis Champion: Clotilde Vayer
The Golfer: Laurent Quéval
Recorded at the Palais Garnier, Paris, in December 1993
<Le Train Bleu>는 파리부터 코드 다쥐르까지 운행하던 열차로 제목에서만 나타날 뿐 발레에서는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다. 이 작품은 기차를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오페레타처럼 가볍고 유쾌한 스타일의 춤으로 지중해에 모인 멋쟁이고 세련된 괴짜와 글래머 여성 등을 그린 시사풍자극적인 발레이다.
시청자 미디어센터 (월 2/19 화 2/13)
베토벤 음악 감상실 (수 2/14)
Bach: Cello Suites [Ballet]
☼ Heinz Spoerli: IN DEM WINDEN IM NICHTS
Music: J. S. Bach: Cello Suites
Choreography & Costumes: Heinz Spoerli
♪ Opening 1:15
Suite No. 2 in D minoor, BWV 1008 [16:14]
Prélude - Allemande - Courante - Sarabande - Menuet - Gigue
Suite No. 3 in C major, BWV 1009 [19:46]
Prélude - Allemande - Courante - Sarabande - Bourrée - Gigue
Suite No. 6 in D major, BWV 1012 [25:45]
Prélude - Allemande - Courante - Sarabande - Gavotte - Gigue
♪ Applause & Credits 2:01 [1:05:01]
Cello: Claudis Hermann
Ballett de Zürich Zücher Ballet
Film Director: Andy Sommer
Lighting: Martin Gebhardt
Producer: François Duplat
Set Designer: Sergio Cavero
Zürich Opera House; June 2004
♪ Suite No. 6 in D major, BWV 1012 [26:08]
Prélude - Allemande - Courante - Sarabande - Gavotte - Gigue
Spoerli, Heinz (1941. 7. 8, 바젤). 스위스의 무용수, 안무가 및 발레 마스터.
바젤, 미국, 영국서 수업한 후 바젤 발레단 솔리스트(1960-3), 쾰른 발레단(1963-6), 로열 위니펙 발레단(1966-7), Les Grands Ballets Canadiens (1967-71)을 거쳐 1971년에 제네바 발레단의 안무가 겸 솔리스트로 첫 작품 Le Chemin (mus. Gaudibert, 1971)을 내놓고, 바젤 발레단 감독(1973-91)이 되었다. 바젤 발레단에서 그는 발레단의 기술 수준을 높였으며 Balanchine, Béjart, Taylor, Cranko 등 안무가들의 작품을 도입했다. 80편에 이르는 안무를 했는데 그 중에는 Petrushka (mus. Stravinsky 1974), A Midsummer Night's Dream (mus. Mendelssohn, 1976), Romeo and Juliet (mus. Prokofiev, 1977), Stabat Mater (mus. Pärt, 1987) 등이 있다.
그의 스타일은 네오 클래식이지만 그의 드라마틱 전작 발레는 독특한 성격묘사와 유머를 보인다. 1981년 파리 오페라 발레단을 위한 La Fille mal gardée는 Ashton의 안무 이후 가장 성공적인 안무로 평가된다. Berlin Opera Ballet와 Stuttgart Ballet를 위한 작품 및 TV와 영화용으로 안무를 많이 했다. 1991년 뒤셀도르프의 German Opera의 예술 감독 겸 안무가로 임명받고 이 발레단의 기술 수준을 높이고 신고전주의적 레퍼토리로 관객 수를 늘렸다. 1996년 취리히 발레단에 돌아와 자신의 작품 뿐 아니라 van Manen과 Forsythe의 작품도 다루었다. 현재 전 세계의 발레단에서 객원 안무가 겸 발레 교사로 활동하고 있다.
Heinz Spoerli의 “In den Winden im Nichts” (Winds in the Void 허공 속의 바람)
이 추상 발레는 음악의 템포(무곡의 종류)에 따라 솔로와 군무, 파트너가 있거나 없거나 등의 다양한 형태를 띤다. 춤은 대부분 고전적인 스타일인데 여성 무용수는 포앵트 슈즈를 신고 남성 무용수는 발레 슬리퍼를 신고 춘다. 그의 스타일은 대단히 서정적이고 부드러우며 각 무용수의 능력의 한계를 보여준다. 안무가인 Spoerli가 디자인 한 의상은 단순하지만 매력적인 레오타드로 특히 여성 무용수는 춤에 따라 다른 색깔을 착용하기도 한다. 발레가 펼쳐지는 대부분의 시간에 검정색 배경을 보이며 공간 후면에 단순한 큰 원형 고리만 보여주는데 이 고리는 때로 색깔을 띤 증기를 내 뿜고 사라지기도 하고 다시 나타나고 한다. 바닥은 조명으로 처리한 푸른색, 녹색, 붉은 색 등으로 단순한 구성의 대단히 밝고 다채로운 색깔의 빛으로 밝혀진다. 스위스의 첼리스트 Claudius Hermmann이 연주하는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2, 3, 6번이 흐르면서 색조의 대비 ․ 조화와 함께 때로는 곡예적인 무용 동작의 추상적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피날레에서 전 군무진이 커튼 뒤에 도열하여 허리 아래 부분만 보여주는 가운데 4명의 남성 무용수가 남고 곧 3명이 커튼 뒤로 빠져 나간 후 2번 모음곡의 전주곡에서 독무를 담당하여 이 작품을 시작했던 남성 솔로의 Arman Grigoryan만 남아 짧은 마무리를 한다.
☼ MITTEN WIR IM LEBEN SIND/ BACH6CELLOSUITEN
Choreography: Anne Teresa De Keersmaeker(1969~; 벨기에)
Cello: Jean-Guihen Queyras(1967~; 캐나다)
Created with and danced by Boštjan Antončič, Anne Teresa De Keersmaeker, Marie Goudot, Julien Monty, Michaël Pomero
Costumes: An D’Huys
Dress Anne Teresa De Keersmaeker: Anke Loh
Dramaturgy: Jan Vandenhouwe
Sound: Alban Moraud
Lighting Design: Luc Schaltin
Production: Rosas(1983년 창립)
World Premiere: 26 August 2017, Ruhrtriennale
July 9~12, 2022 at Leitz Studio, Brussels
☆ Johann Sebastian Bach: Cello Suites
No. 5 in C minor, BWV 1011 13:19
No. 6 in D major, BWV 1012 19:45 [33:04]
<MITTEN WIR IM LEBEN SIND(우리 삶의 한 가운데서)>
첼리스트 Jean-Guihen Queyras가 연주한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은 세 명의 남성 무용수와 두 명의 여성 무용수(한 명은 안무가 자신)를 위해 안무되었다. 6개 모음곡 각각의 특성은 음악과 무용의 개별적인 성격과 상호 연결을 통해 음악과 춤의 흥미진진한 공생으로 이루어진다.
베토벤 음악 감상실 (토 2/17)
The Four Seasons: Vivaldi, Verdi, Glazunov
☼ Antonio Vivaldi: Les 4 Saisons d'Antoine
♪ Opening [~0:35] ♪ 여름 2악장 [1:42~2:45]
♪ 가을 1악장, 2악장 [3:25~7:48~10:30]
♪ 겨울 1악장 [11:13~14:35] ♪ 겨울 2악장 [15:26~17:40]
♪ 봄 1악장 [18:15~19:22] ♪ 봄 2악장 [19:55~22:59]
♪ 여름 1, 3악장 [23:49~27:23~29:57] ♪ 여름 2악장 [30:47~31:47]
♪ Credits [32:18~34:00]
제작: Camera Lucida [2012]
감독: Philippe Béziat
지휘: Rinaldo Alessandrini (1960~)
연주: Concerto Italiano [1984년 Rinaldo Alessandrini가 창단]
할아버지 역: Pierre Richard (1934~)
☼ Giuseppe Verdi: The Four Seasons [31:22]
Ballet Music from the Opera I Vespri Siciliani
Ⅰ Winter 6:54 Ⅱ Spring 9:06
Ⅲ Summer 5:35 Ⅳ Autumn 9:47
Dancers: Carla Fracci, Wayne Eagling 外
R. Muti: Orchestra of Teatro all Scala [1989]
☼ Alexander Glazunov: The Four Seasons, Op. 67 [40:03]
Ⅰ Winter 9:46 Ⅱ Spring 5:11
Ⅲ Summer 11:00 Ⅳ Autumn 13:41
José Serebrier: RTÉ National Symphony Orchestra of Ireland
July 23, 2017; China National Centre for the Performing Arts
☼ Antonio Vivaldi: Les 4 Saisons d'Antoine
악기(바이올린)를 제작하는 할아버지와 비발디처럼 빨강머리의 10세 소년 앙투안이 주인공으로 음악 연주, 연기, 애니메이션이 어우러지는 음악 동화 같은 영상물이다. 비발디의 <사계>를 전곡 연주하지 않고 순서도 여름의 2악장에서 시작하여 여름의 2악장으로 끝난다. 빈 스케치북에 손바닥을 그리면서 시작하는데 음악의 전개와 함께 계절의 변화나 출연자들의 의상이 바뀌며 환상적인 아름다운 세계를 펼쳐 보이면서 어린이들의 상상을 자극할 수 있는 교육용 자료로도 훌륭하다.
☼ Giuseppe Verdi: The Four Seasons
제3막 제2장: 총독 궁전의 넓은 무도회장
총독 궁전에서는 화려한 무도회가 시작된다. 먼저 발레〈사계〉가 펼쳐지는데, 베르디의 곡으로서는 드물게 발레를 위한 장대하고 제대로 된 관현악곡이다. ‘겨울’,‘봄’, ‘여름’, ‘가을’의 네 곡이 차례로 연주되면서 다양한 안무가 펼쳐진다.
☼ Alexander Glazunov: The Four Seasons, Op. 67
1899년 글라주노프가 작곡하여 마이우스 프티파의 안무로 1900년 2월 19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이르미타주 극장에서 R. 드리고의 지휘로 초연된 <사계>는 단막 4장으로 이루어진 우의(寓意)적인 발레 작품이다. 곡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순서가 아닌 겨울에서 시작하여 봄으로 끝난다. 이 작품은 글라주노프의 발레곡 중 가장 뛰어난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4계절의 감촉을 의인화된 자연 현상의 춤으로 상징하고 있으며 일관된 줄거리는 없다. 국민악파의 전통 위에서 독자적이며 중후한 관현악법으로 흙냄새 물씬 나는 러시아의 풍토를 잘 표현한 걸작이다.
No.01 전주곡
제1장 - 겨울
No.02 겨울의 장면 No.03 서리의 바리아숑
No.04 얼음의 바리아숑 No.05 싸락눈의 바리아숑
No.06 눈의 바리아숑 No.07 코다
제2장 - 봄
No.08 봄의 시종의 등장, 제퓌로스(서풍의 신), 꽃의 요정들, 작은 새와 꽃의 춤
제3장 - 여름
No.09 여름의 장면 No.10 수레국화와 양귀비꽃의 발레
No.11 뱃노래 – 물의 요정들의 등장, 사티로스들과 판들의 등장
No.12 옥수수 靈(보릿잎)의 바리아숑
No.13 코다
제4장 -가을
No.14 4계의 그랑 바카날
a. 4계의 등장 b. 겨울 c. 봄 d. 바카날 e. 여름
No.15 작은 아다지오 No.16 사튀르의 바리아숑
No.17 코다
대단원
No.18 대단원: 별들의 계시
제1장 - 겨울의 풍경
겨울은 그의 친구들인 서리, 얼음, 싸락눈 그리고 눈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그들은 눈송이 무리들과 즐기고 있다. 두 명의 땅 시령이 등장하더니 곧 불을 밝히자 이들은 모두 사라진다.
제2장 - 봄/ 꽃으로 뒤 덮인 풍경
봄은 제퓌로스(서풍의 신), 꽃의 요정들 그리고 황홀지겨엥 빠진 새들과 춤춘다. 태양의 열기를 느끼자마자 이들은 도망치고 만다.
제3장 - 여름/ 밀밭으로 풍성한 풍경
수레국화와 양귀비들이 태양의 밝음과 따스함 속에서 흥청대며 즐긴다. 그들은 진력을 다한 후 휴식에 들어간다. 이제 물의 요정들이 나타나더니 물을 가져와 성장을 돋우고 옥수수 靈이 감사의 춤을 춘다. 사튀로스와 판들이 피리를 불며 들어와서 옥수수 靈을 데려가고자 시도하지만 그녀는 제퓌로스의 바람에 의해 구조된다.
제4장 - 가을의 풍경
4계의 요정들이 장려한 춤에 참여한다(유명한 가을 바카날 축제), 한편 가을 나뭇잎들은 흥겨워하며 비가 되어 떨어진다.
대단원 - 검은 색 하늘
지상의 위로 별자리의 별들이 반짝거린다
시청자 미디어센터 (월 2/26; 3/4 화 2/20, 2/27)
베토벤 음악 감상실 (수 2/21, 2/28)
Il turco in Italia 이탈리아의 터키인
원작: 카테리노 마촐라의 ≪이탈리아의 터키인Il Turco in Italia≫
대본: 펠리체 로마니
초연: 1814년 밀라노 스칼라 극장
등장인물
셀림 | 터키의 태수 | 베이스 |
돈나 피오릴라 | 돈 제로니오의 아내 | 소프라노 |
돈 제로니오 | 피오릴라의 남편, 빵 장수 | 바리톤 |
돈 나르치소 | 피오릴라의 애인 | 테너 |
자이다 | 셀림에게 반한 집시 처녀 | 메조소프라노 |
알바자르 | 집시 | 테너 |
프로스도치모 | 시인, 이 오페라의 작가 | 바리톤 |
때와 장소: 18세기 이탈리아 나폴리 부근의 어느 해안 마을
1 Opening 0:59
2 [Sinfonia] 그래...어젯밤에 어땠어? 그의 행동이 어땠어? 9:58
Act 1
3 세상은 우리의 것이다 2:10
4 희곡을 써야만 하는데, 주제를 찾을 수가 없구나 3:01
5 아! 이 집시들의 등장이 뭔가를 만들어낼 수 있겠는 걸 0:51
6 내 운명을 말해줄 집시 여인을 찾고 있는 중이다 5:52
7 좋았어, 아주 잘 들었어 2:49
8 한 가지만 사랑하는 것보다 더 어리석은 것은 없지 3:56
9 노를 저어라, 저어라, 해안으로, 해안으로 2:04
10 아름다운 이탈리아, 드디어 너를 보는구나 1:33
11 잘 생긴 터키인! 좀 더 가까이 가보자 5:17
12 그 황당한 집시 여인은 결코 우습게 볼 것이 아니다 0:53
13 기쁨 같은 것이 제 맘에 솟구쳐 올랐습니다 3:39
14 친구들! 나를 도와주게! 1:06
15 어리석은 남편! 변덕스런 아내! 4:47
16 커피 가져왔습니다! - 더 이상 견딜 수가 없어 1:04
17 당신은 터키인, 난 당신을 믿지 않아요 3:16
18 놀랍군, 충격적이야 2:59
19 저 건방진 자가 자네에게 뭘 원하는 거지? 3:23
20 늙은이는 젊은 아내에게 더 이상 기쁨을 줄 수 없어 2:49
21 그럼 당신을 만족시키기 위해 내가 뭘 해야 한단 말이오? 2:25
22 아뇨, 절대로 당신은 내 사랑 5:30
23 내 오페라의 플롯이 거의 완성되었군 0:52
24 태양 아래 비밀로 남겨진 일들 1:16
25 우리의 도주를 위한 준비가 됐다, 바람은 적당하고, 바다는 고요하다 4:44
26 나는 배신당했건만, 어찌하여 잔인한 사랑은 내 가슴에 불을 지피는가? 2:20
27 사랑의 불꽃, 영원하라, 마음의 기쁨, 세상의 즐거움 1:13
28 사랑을 원치 않는 사람은 내게서 멀어져라 2:16
29 아내가 곧 여기 올 텐데 4:28
30 저리 가, 너는 내 애인을 빼앗으려는 거야 4:57 [1:32:27]
Act 2
31 기운 내시오, 다 쓸 데 없소! 마음의 평화를 찾으시오! 1:54
32 혹시 터키의 관습을 알고 있는지 모르겠소 3:05
33 더 이상 논의 없이 피오릴라를 팔 생각이 있다면 2:00
34 반대하는 바보에게 돈을 주는 것보다는 그를 죽여버리겠소 2:48
35 이런 장면은 피날레에 등장시키려 했는데 0:43
36 사랑의 즐거움 보다 완벽한 것은 없다 0:27
37 산들바람이 불어와 꽃잎을 흔드는 것은 2:02
38 그 무례한 터키 계집이 감히 이 피오릴라의 애인을 두고 경쟁하다니 2:43
39 여자의 사랑한다는 말을 믿지 말지어다 6:42
40 그녀가 도대체 어딜 가는 거지? 0:52
41 모든 걸 다 들었다 1:09
42 내 계획을 도와주소서 5:15
43 내 연적들에게 실망을 주소서! 3:24
44 오, 개탄스러운 운명! 1:02
45 굳이 말하자면, 나는 정확하게 아내의 모습을 그리고 싶어 4:34
46 오! 나르치소! 이렇게 고집스럽다니! 0:52
47 아, 사랑의 신을 섬기기에 나는 너무 말랑말랑해 3:39
48 사랑의 신이 춤을 알려준다 0:29
49 셀림을 찾을 수가 없네 0:31
50 사랑의 신이 춤을 알려준다 0:27
51 나의 피오릴라, 당신이 왜 조용한 거지? 0:57
52 여기 오긴 했는데 0:49
53 오, 이 무슨 재앙이지 4:13
54 ...나와 함께 갑시다! - 너무 당황스러워 1:17
55 저 늙은이 때문에 우리가 의심받는다 2:47
56 내 아내를 잃어가고 있다... 2:45
57 “당신에게 통보하오, 당신을 더 이상 내 집에 들일 수 없소, 2:20
58 이 칙칙한 드레스만이 슬픔에 빠진 후회에 빠진 3:36
59 아버지, 어머니, 슬픔 소식을 전합니다 5:36
60 훌륭한 드라마! 만족스럽다 1:20
61 나는 들판의 덩굴나무, 자양분이 부족해 시들어가네 2:22
62 하늘의 미소와 시원한 바람이 당신들을 향하기를 3:56
63 Applause & Credits 5:41 [2:50:32]
Don Geronio: Nicola Alaimo
Fiorilla: Olga Peretyatko(1980~)
Selim: Erwin Schrott
Narciso: René Barbera
Prosdocimo: Pietro Spagnoli
Zaida: Cecilia Molinari
Albazar: Pietro Adaini
Coro del Teatro della Fortuna M. Agostini
Speranza Scappucci: Filarmonica Gioachino Rossini
Stage Director & Set Designer: Davide Livermore
Costume Designer: Gianluca Falaschi
Video Design: D-Work
Lighting Designer: Nicolas Bovey
Video Director: Paolo Filippo Berti
Recorded live at Teatro Rossini, Pesaro 2016
베토벤 음악 감상실 (토 2/24)
André Messager: The Two Pigeons
원작: Jean de la Fontaine (Book Ⅸ.2)의 우화
음악: André Messager (1853~1929) 1886년
편곡: Ashton과 John Lanchbery가 함께 이야기 버전에 맞게 조정
안무: Sir Frederick Ashton (1904~89)
1961년 The Royal Ballet Touring Company를 위해 만들었으며 그해 후반에 로열발레를 위해 다시 재조정.
Lynn Seymour와 Donald Britton이 만들었으나 부상으로 인해 Christopher Gable은 시사회에서 Young Man을 춤췄다.
출연:
The Young Girl: Lauren Cuthbertson
The Young Man: Vadim Muntagirov
A Neighbor: Elizabeth McGorian
A Gypsy Girl: Fumi Kaneko
Her Lover: Ryoichi Hirano
A Gypsy Boy: Marcelino Sambé
The Young Girl's Friends: Elizabeth Harrod 외 7명
Gypsies, Sightseers: Artists of the Royal Ballet
디자인: Jacques Dupont
조명: Peter Teigen
Barry Wordsworth: Orchestra of the Royal Opera House [2016]
제1막
1 타이틀
2 서곡. 젊은 화가가 젊은 아가씨의 초상을 그린다.
3 한 이웃 여인과 아가씨의 친구들이 그녀의 마음을 흩뜨려 화가의 집중을 방해한다.
4 화가는 아가씨와 친구들의 방해에 저항한다.
5 파드되
6 친구들과 춤추는 아가씨
7 좌절감을 표출하는 화가
8 집시들의 도착
9 집시 아가씨가 화가의 관심을 끈다.
10 화가의 관심을 끌기 위해 아가씨는 집시 아가씨와 춤의 대결을 벌인다.
11 경쟁이 가열된다.
12 두 라이벌 아가씨가 서로 떨어진다.
13 집시 아가씨에 대한 화가의 관심이 커진다.
14 딜레마에 봉착한 화가
15 아가씨는 화가의 마음은 되찾고자 마지막 시도를 한다.
제2막 1장
16 집시 캠프에서
17 집시 캠프에 도착한 화가
18 집시들의 춤
19 집시 캠프에서 화가는 라이벌 집시를 직면한다.
20 집시 아가씨들과 집시 소년의 춤
21 화가와 농탕질 하는 집시 아가씨
22 화가의 솔로
23 집시들의 춤에 화가와 집시아가씨가 합류한다.
24 환락을 계속하는 집시 애인
25 춤추는 집시 캠프를 리드하는 집시 아가씨
26 집시 아가씨를 두고 화가와 그 애인의 경쟁
화가가 패배하여 캠프 밖으로 내쫓긴다.
2장
27 밧줄을 푼 화가
28 다시 스튜디오. 아가씨는 슬픔에 잠겨있다.
29 화가가 돌아와 용서를 빌고 둘은 화해한다.
30 커튼 콜
31 크레딧 [1:11:32]
발레의 제목은 젊은 연인들의 발걸음의 새와 같은 움직임과 젊은 부부의 관계를 상징하기 위해 무대에 두 마리의 실제 비둘기가 등장한다. 1막 마지막에 한 마리가 날아가 버리는데 2막 2장에 화가가 등장할 때 한 마리를 어깨에 앉혀 데려오고 마지막에 한 마리가 날아와 두 마리가 된다.
제1막 파리 - 화가의 스튜디오
화가인 젊은이(The Young Man)가 젊은 아가씨(The Young Girl)의 초상화를 그리고 있는데 YG은 가만히 앉아있을 수가 없다. 한 이웃과 YG의 친구 몇 명이 YM의 정신 집중을 더욱 방해하여 YM의 그림에 집중하고자 하는 노력을 좌절시킨다. 두 마리의 비둘기가 창문을 가로질러 날아가 두 사람의 주의를 끈다.
지나가던 몇 명의 집시들이 초대 받아 들어오는데 집시 아가씨(A Gypsy Girl)는 곧장 YM의 관심을 끌어 그는 유혹에 빠진다. YG은 YM의 호의를 끌려고 GG와 춤의 경쟁을 벌이나 GG의 노골적인 과시의 춤을 이길 수 없다. 집시들이 떠나자 YM은 GG에게 매혹된 나머지 그들을 뒤따라간다. YG과 친구들은 홀로 남겨진다.
제2막 1장 집시 캠프
YM이 집시 캠프에 도착하는데 GG는 그녀의 연인(Her Lover)과 함께 있다. 그는 집시들의 흥청망청한 춤과 환락에 함께 어울리지만 분위기가 곧 바뀐다. YM은 GG의 연인과 경쟁(싸움)을 벌이게 되지만 패하고 만다. 집시들은 그를 캠프 밖으로 내동댕이친다.
2장 화가의 스튜디오
비탄에 잠긴 YG이 홀로 스튜디오에 있다. 자신의 실수를 깨달은 YM이 어깨에 앉은 비둘기 한 마리와 함께 돌아와 그녀의 용서를 구한다. 또 한 마리의 비둘기가 날아오고 젊은 한 쌍은 화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