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중학교 1학년 딸을 둔 엄마입니다.
초등학교 때는 친구들도 곧잘 사귀더니 중학교때부터는 친구를 잘 못 사귑니다.딸이 외동이여서 그런지 부모의 삶의 태도가 밝지를 못해서 그런지 제 스스로 자책하게 되네요. 부부의 사이는 다정하지는 않지만 보통으로 잘 지내는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아빠가 잔소리가 심하다고 생각하긴 하지만 요즈음에는 자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딸은 스스로 예쁘고 잘났다고 생각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딸의 모습을 봤을때 나름 리더쉽도 있고 바르고 공부에 의욕도 보입니다. 다른 친구들이 자기를 알아봐 주지 않고 학교에서도 친구가 없으니까 힘이 없어보이고 집에 오면 학교가기 싫다고 합니다.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입니다.
따님의 친구관계 문제로 고민이 많으시군요. 요새 코로나 시대여서, 학교 등교와 온라인 수업이 병행으로 이루어지는 면도 많은 학생들이 교우관계를 어려워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외동인 경우, 형제자매관계에서의 사회성 훈련이 미흡할 수도 있습니다. 써주신 글로 봐서 모든 것을 판단할 수는 없지만, 자기중심성이 강한 경우 공감능력의 미흡함으로 인하여 친구사귀기가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모든 것은 가정인 바, 센터에 방문하시어 일대일 상담을 통해 원인과 양육방식 등 해결해야할 부분을 전문가와 의논하시고, 토요일마다 있는 중등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부족한 부분을 연습할 수도 있습니다.
외동 아이는 사회성이 떨어진다?
유독 우리나라에서는 외동아이의 사회성 저하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합니다. 하지만 사회성의 출발점은 언제나 부모와 자식관계에 있다는 점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가장 먼저 부모님들께서 아이들이 부를 때 잘 반응 하고, 감정을 읽어주고 공감해주시면서 안정형 애착 관계를 잘 형성해 주신다면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인지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최근 연구 결과에서는 형제 자매가 없는 대신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많은 외동 아이가 사회성이 더 발달될 수 있다고 까지 나온 것을 보아, 외동 그 자체만으로는 아이의 사회성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고 보기 힘들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의 부모들이 외동아이들보다 다둥이들에 대해 좀 더 자율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외동 아이가 사회성이 떨어진다는 인식은 자기들끼리 알아서 잘 크겠거니… 하는 다둥이들에 비해 외동아이는 아무래도 신경이 집중되어있기도 하고, 사회의 잘못된 인식도 한 몫 한 것 같습니다.
자기중심적 사고의 아이
7세가 넘으면 타인에 대한 생각을 하기 시작합니다. 성장에 따라 자연스럽게 타인을 접하고 교류를 하게 될 텐데 이 때에 이 교류 활동이 활발하지 않았다면 자기중심적사고에서 벗어나기가 어렵습니다. 비고츠키의 방법에 따라 해결이 어려운 문제를 직면해보고 이를 다른 사람과 협동하며 해결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읽고 이해하려는 노력을 해봐야합니다.
자신과 다른 사람의 감정을 동일시 하는 자기중심적사고와 다른 사람의 평가를 의식하는 이기심을 많이 혼동합니다. “이거 다 내꺼야. 얘한테 안 줄거야.”라고 할 때 처럼, 이기적인 것은 타인의 인정과 시선에 신경을 많이 쓴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타인에 대해 생각하는 태도에 따라 부모님들께서는 훈육 방법을 잘 설정하여 아이의 성장을 도와야겠습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칼럼 "등원을 거부하는 아이"
[상담후기] >> 애착증진관련 부모교육 후기
[온라인상담하러가기]
*사진출처: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송주선
*참고문헌
서, 안리. "한·중 외동아와 다동아의 사회성과 어머니의 양육방식 간의 관계." 국내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2009. 부산
김숙경, 외동이와 형제아의 모-자녀관계 및 사회성에 관한 비교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