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선급행버스체계(BRT) 단계적 확충
□ 간선급행버스체계 (BRT : Bus Rapid Transit)
ㅇ 사업목적
- 철도, 도로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빠르고 편리한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함으로써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고 대도시권 교통난 완화
ㅇ 추진경위
- ’04.12 : 수도권 간선급행버스체계 노선망 구축계획 확정
* 한국도로공사(도로교통기술원)가 제시한 21개 노선과 인천시가 제시한 1개 노선을 수용, 총 22개 노선 540.4 ㎞ 구축하기로 결정
- ’05.05 : 수도권 간선급행버스체계 시범사업 선정(하남-천호, 청라-강서)
- ‘06.12 :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설계지침」제정
* 지자체별로 시행되는 BRT의 효율적 설계를 위하여 BRT설계지침 마련
- ’09.04 : 하남-천호 광역BRT 착공
- ‘10.06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설계지침」개정
* BRT 유형구분을 개편하고, 시설기준을 개선하여 현실성 제고 및 서비스 수준 향상
- ‘10.08 : 전국 대도시권 BRT 확충 계획 수립
* 지자체의 기초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체계적 BRT 사업 추진을 위한 BRT 확대 구축 마스터 플랜 수립
- ‘10.09 : 청라-강서 광역BRT 착공
- ’11.03 : 하남-천호 광역BRT 주행로 개통
- ‘13.07 : 청라-강서 광역BRT 1단계 준공
ㅇ 사업내용
- 하남~천호 광역BRT(시범사업)
․사업기간 : ’06~’13, 총사업비 : 444억원
․사업규모 : 연장 10.5㎞, 정거장 11개소
- 청라~강서 광역BRT(시범사업)
․사업기간 : ’06~’15, 총사업비 : 983억원
․사업규모 : 연장 23.1㎞, 정거장 17개소
- 대전역~와동IC 광역BRT(30대 선도프로젝트)
․사업기간 : ’09~’15, 총사업비 : 767억원
․사업규모 : 연장 11.95㎞
ㅇ 사업효과(하남-천호 BRT 개통 이후)
- 버스통행속도 : 19.2km/h → 21.0km/h로 1.8km/h 증가(약 9.3% 증가)
- 버스이용객수 : 47,001인/일 → 58,042인/일로 11,401인/일 증가(약 23.5% 증가)
- 정시성 분석 : 통행시간 편차가 ±4분29초 → ±1분20초로 정시성 제고
< 참고 > BRT 유형 구분(간선급행버스체계 설계지침, ‘10.6)
ㅇ 지역의 도로 및 교통여건, 기능 요구수준에 따라 신교통형 BRT와 일반형 BRT로 구분
- 신교통형 : 전용도로 및 전용차량, 입체교차로 등의 시설을 구축함으로써 경전철에 준하는 교통서비스 제공
- 일반형 : 버스전용차로, 일반형버스, 버스우선신호 등의 시설을 구축함으로써 신속성과 정시성 확보
∙ 유형별 기반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