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년 ‘항공안전투자’ 5조 8,453억원 |
- ’22년(4조 2,298억원) 대비 1조 6,155억원 증가(38.2%)한 규모 |
□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지난해 국내 항공사 등 항공업계 안전 투자 규모가 총 5조 8,453억원으로 ’22년(4조 2,298억원) 대비 1조 6,155억원(38.2%)이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ㅇ 이는 항공안전 투자 공시제도*에 따라 항공운송사업자 및 공항운영자 등 18개 항공교통사업자들이 공시한 ’23년도 안전투자 실적과 향후 투자계획을 집계한 결과이다.
* 항공업계의 자발적 안전 투자 유도를 위해 도입(‘19)되었고, 시범운영 후 ’23년 (‘22년 안전투자 실적 등) 최초 시행(근거: 「항공안전법」 제133조의2)
항공안전투자 공시 참여 항공교통사업자
투자년도 | 대형社* | 소형社(운항중지社 제외) | 공사 | |
‘23년(18개) | 11개社(플라이강원 제외) | 글로리아, 헬리코리아, 더스카이, 유아이헬리제트 | + K-에비에이션 | 인천, 한국 |
‘22년(19개) | 11개社(이스타 제외) | + 하이에어, NF에어 |
* 대한항공, 아시아나, 제주항공, 에어부산, 진에어, 티웨이, 에어서울, 에어인천, 에어프레미아, 에어로케이
□ 국토교통부와 항공안전기술원에서 ’23년도 투자 내역을 검증한 결과, 대부분 항공사의 투자 실적은 ’22년 대비 증가하였다. 항목별 투자규모는정비 비용, 엔진·부품 구매비, 경년항공기(20년 이상된 항공기) 교체비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ㅇ 정비 비용은 2.94조원이다. 예방 정비 차원의 사전 정비 비용(2.53조원, 86.1%)이 운항 중 발생한 고장 등에 대한 사후 정비비용(0.41조원, 13.9%)보다 높게 집계되어, 항공사들이 사전 정비체계 강화를 위해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ㅇ 경년 항공기도 14대(평균 기령 22.6년)를 신규기(평균 기령 2.9년)로 교체(1.19조원 투자)하여 보유 비중이 감소(’22 → ’23: 14.6% → 14.2%)하였다. 평균기령(12.2년)도 전년 수준(12.0년)으로 유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ㅇ 고장 시 장시간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는 엔진 고장에 대비해서도 1.32조원을 투자하여 예비 엔진을 추가로 확보(’22: 138대→ ’23: 195대)하는 등 항공 수요 증가에 대비하였다.
□ 국토교통부는 ’20년부터 3년간 항공안전 투자 공시제도를 시범운영하고 ’23년(’22년도 실적)부터 운영하고 있다.
ㅇ 올해 2월에는 항공사의 자발적 안전투자와 안전관리 노력 증진을 위해 안전투자 실적을 운수권 배분 평가에 반영하도록 제도*도 개선하였다.
* 「국제항공운수권 및 영공통과 이용권 배분 등에 관한 규칙」 중 안전성 평가지표에 항공안전투자 실적을 반영할 수 있도록 개정(’24.2.2. 개정)
□ 국토교통부 유경수 항공안전정책관은 “항공안전투자 공시제도 운영 이후, 항공안전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면서, “항공안전은 항공사 경영의 최우선 과제이며, 핵심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ㅇ 아울러, “항공안전에 대한 투자를 비용으로 인식하지 않고, 회사 규모에 맞는 적절한 안전 투자로 안전도와 신뢰도를 높여 나가는 것이야말로 항공 수요를 견인하고, 건실한 항공산업 성장을 이끄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 공시자료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각 사업자의 누리집과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www.airportal.go.kr)에서 7월 4일부터 확인할 수 있다.
참고 1 | ‘23년 항공안전투자 주요 내용 |
'23년 항공안전투자 실적 |
【 요 약 】 | ||
◈ (총평) 총 5.84조원으로 전년(4.23조) 比 1.61조 증가(38.2%) ㅇ 국제운송社 5.58조원(전년 3.97조원 比 40.3%↑), 소형운송社 83억원(전년 67억원 比 23.4%↑), 공항공사는 0.26조원(전년 0.25조원 比 4.0%↑) |
1 (국제항공운송사업자) 총 5.58조원으로 전년(3.97) 比 1.61조원(40.3%) 증가하였으며, FSC가 1.36조원(45.4%)↑, LCC는 0.24조원(24.7%)↑ |
❶ (정비비용*) 2.94조원(전년 比 0.87조↑)으로 가장 높은 비중(52.7%) 차지
* 항공기 정비·수리·개조로 인해 발생되는 비용(소속 정비사의 인건비도 포함)
ㅇ 항공기 1대당 비용은 74.8억원(전년 比 55.9억↑)으로 대형기와 다양한 기종을 운영하는 FSC(94.6억원)가 LCC(42.9억원)의 2.2배 수준
ㅇ 항공기 운항 前 예방 차원의 사전 정비비용은 2.53조원(86.1%), 운항中 결함에 대한 사후 정비비용은 0.41조원(13.9%)으로 확인
❷ (엔진·부품 구매*) 1.32조원(전년 比 0.48조↑)로 전체 항목 중 23.7% 차지
* 엔진 및 부품 등의 구매 또는 임차를 위해 지출하였거나 지출이 계획된 비용
ㅇ 항공기 1대당 비용은 33.5억원(전년 比 10.9억↑)으로 정비비용과 마찬가지로 FSC(42.5억원)가 LCC(19.1억원) 보다 2.2배 많이 투자
- 국적사 예비엔진은 195대(FSC 166, LCC 29)이며, 확보율은 17.2%(전년 比 13.0%P↑)로 FSC(20.3%, 전년 比 4.6%p↑)가 LCC(9.2%, 전년 比 3.8%p↑)보다 높음
❸ (경년항공기 교체*) 1.19조원(전년 比 0.2조↑)으로 전체 항목 중 21.3% 비중이며, 5개社에서 14대(교체기 평균기령 22.6년, 신규기 평균기령 2.9년) 교체**
* 기령 20년 이상 항공기 교체를 위하여 구입 또는 임차를 위해 지출되거나 계획된 비용
** 대한항공 5대, 아시아나 3대, 제주항공 3대, 티웨이 2대, 에어부산 1대 등 총 14대
ㅇ 국적사 경년기 보유 비중은 감소(‘22 → ’23: 14.6% → 14.2%)되었고, 전체 항공기(393대) 평균기령(12.2년)은 전년 수준(12.0년)을 유지
❹ (교육·훈련*) 645억원(전년 比 7억↑)으로 전체 항목 중 1.2% 비중
* 직원 대상 항공안전 교육훈련 또는 안전교육을 위해 지출되거나 계획된 비용
ㅇ 항공수요 확대에 따라 정비훈련, 제작사 기종교육, 위험물 담당 직원 교육비용(518억원) 및 SIM 구매·운용(127억원) 비용 등이 포함
❺ (안전시스템* 등) 480억원(전년 比 164억↑)으로 0.9% 비중을 차지하며,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운영·유지보수 비용(340억원)이 대부분을 차지
* 항공기 등의 정비 또는 사내 안전관리 등을 위한 전산관리시스템 개발·구매·유지비용
❻ (정비시설·장비 비용*) 197억원(전년 比 15억↓)으로 전체 항목 중 0.4% 비중이며, 대부분 공구‧장비 구매(76억) 및 정비시설 구축비용(47억)
* 항공기 등의 정비 및 보관 등을 위한 시설‧장비 등의 설치‧개선‧구매‧유지관리 비용
2 (소형항공운송사업자) 총 83억원으로 전년(67억) 比 16억(23.4%) 증가 |
❶ (정비 비용) 29억 투자로 전년(41억) 比 12억(29.1%) 감소
* 주요 항목 : 사전 정비비용 27억(94.4%), 사후 정비비용 2억(0.6%)
❷ (엔진·부품 구매) 30억 투자로 전년(10억) 比 20억(200.8%) 증가
❸ (경년항공기 교체) ’23년 교체 미발생으로 전년 比 7억원 감소
3 (공항운영자) 총 2,586억원으로 전년(2,486억) 比 100억(4.0%) 증가 |
□ (한국공항공사) 총 895억원으로 전년(741억) 比 153억(20.7%) 증가
❶ 이착륙시설 : 김포국제공항 계류장 콘크리트 포장 및 등화시설 개선 비용(192억) 등 총 544억 투자(전년 比 74억↑)
❷ 항행안전시설 : 제주 등 6개공항* 레이더 시설 구축·운용(53억) 및 ILS/DME** 장비 구축비용(15억) 등 총 207억 투자(전년 比 35억↑)
* 제주·무안·김해·울산·여수·김포공항 등 6개공항 / ** 제주·울진·울산·여수공항 등 4개공항
❸ 조업시설·장비 : 김해공항 이동지역 차량 안전 검사장 시설 구축을 위한 소액 투자(0.1억)로 ‘22년도 대비 7.5억원 감소
□ (인천공항공사) 총 1,692억원으로 전년(1,745억) 比 54억(-3.1%) 감소
❶ 이착륙시설 : 4단계 확장지역* 항공등화 시설공사(326억), 제2활주로 포장(98억) 및 시각적 유도시스템 구축(25억) 등 826억(전년比 188억↓)
* T2 확장지역 계류장 및 제2활주로 고속탈출 유도로 등 인천국제공항 4단계 사업
❷ 항행안전시설 : 항행안전시설, 항공정보통신 시설 구축사업(118억), 계기착륙표지시설 유지보수·개량(40억) 등 400억 투자(전년比 214억↑)
❸ 조업시설·장비 : 첨단복합항공복합단지 시설 구축(355억), 화물기 정비 계류장 구축비용(18억) 등 397억 투자(전년比 182억↑)
’24~’25년도 투자 및 조치계획 |
1 (대형社) ’24년 10.89조원(’23년 比 5.31조원↑), ’25년 11.27조원(’24년 比 0.38조원↑) |
□ 경년기 교체(’24: 3.17조 → ’25: 4.05조), 정비수리(’24: 3.74조 → ’25: 3.86조), 엔진·부품 구매(’24: 1.33조 → ’25: 1.38조) 등이 주요 투자 항목
ㅇ 대부분 항공사에서 매년마다 경년 항공기를 교체 할 계획이며, 항공기 정비 비용*도 지속적으로 확대(’24 → ’25 0.2조원↑) 할 예정
* ‘22년 → ’25년 : 2.1조 원 → 3.3조 → 3.7조 → 3.9조으로 연평균 22.9% 증가 예상
2 (소형社) ‘24년 131억원(’23년 比 48억원↑), ’25년 121억원(’24년 比 11억원↓) |
□ 정비 비용(’24: 50억 → ’25: 57억), 엔진·부품 구매(’24: 25억 → ’25: 26억) 비용은 지속 확대 계획이나, 전반적 투자 계획은 ’25년 감소 전망
3 (공항공사) ‘24년 3,328억원(’23년 比 742↑), ’25년 2,751억원(’24년 比 576억원↓) |
□ 인천공항 제2터미널 확장 등 4단계 사업이 종료되는 시점인 ’24년도 까지는 투자 확대가 지속되나, ‘25년도 투자 계획은 소폭 감소
ㅇ 이착륙시설(’24: 1,569억 → ’25: 1,022억, 547억↓), 항행안전시설(’24: 1,188억 → ’25: 331억, 858억↓), 조업시설‧장비비용(’24: 218억 → ’25: 1,050억, 832억↑)
참고 2 | 항공안전투자 실적 및 계획 |
(억원, %)
구분 | 투 자 실 적 | 투 자 계 획 | |||||||
‘22년* (A1) | ‘22년 (A2) | ‘23년 (B) | 증감 | ‘24년 (C) | ‘25년 (D) | 증감 | |||
B-A2 | % | D-C | % | ||||||
총 계 | 42,387 | 42,298.4 | 58,452.9 | 16,154.5 | 38.2 | 112,364.8 | 115,552.9 | 3,188.0 | 2.8 |
항공사 | 39,901 | 39,811.9 | 55,866.6 | 16,054.6 | 40.3 | 109,037.3 | 112,801.6 | 3,764.2 | 3.5 |
국제운송사업자 | 39,807 | 39,744.6 | 55,783.4 | 16,038.9 | 40.4 | 108,906.1 | 112,681.0 | 3,774.9 | 3.5 |
(FSC) | 30,006 | 30,006.0 | 43,640.1 | 13,634.2 | 45.4 | 86,116.1 | 89,316.8 | 3,200.7 | 3.7 |
대한항공 | 18,413 | 18,412.9 | 27,913.5 | 9,500.6 | 51.6 | 54,639.8 | 63,148.3 | 8,508.6 | 15.6 |
아시아나항공 | 11,593 | 11,593.1 | 15,726.6 | 4,133.5 | 35.7 | 31,476.4 | 26,168.4 | △5,307.9 | △16.9 |
(LCC) | 9,801 | 9,738.6 | 12,143.3 | 2,404.7 | 24.7 | 22,790.0 | 23,364.3 | 574.3 | 2.5 |
제주항공 | 2,247 | 2,246.6 | 4,934.6 | 2,688.0 | 119.6 | 5,923.6 | 5,234.4 | △689.2 | △11.6 |
에어부산 | 2,602 | 2,601.6 | 2,293.2 | △308.3 | △11.9 | 1,832.5 | 41.9 | △1,790.5 | △97.7 |
진에어 | 3,917 | 3,917.5 | 1,119.1 | △2,798.5 | △71.4 | 1,801.2 | 3,672.4 | 1,871.3 | 103.9 |
티웨이항공 | 361 | 361.2 | 2,512.2 | 2,151.0 | 595.5 | 5,769.9 | 6,011.0 | 241.1 | 4.2 |
에어서울 | 236 | 236.1 | 603.7 | 367.6 | 155.7 | 756.0 | 778.0 | 22.0 | 2.9 |
에어인천 | 114 | 113.7 | 43.9 | △69.8 | △61.4 | 140.6 | 154.2 | 13.5 | 9.6 |
에어프레미아 | 128 | 128.5 | 260.6 | 132.1 | 102.9 | 1,107.2 | 1,888.6 | 781.4 | 70.6 |
에어로케이 | 72 | 71.7 | 73.6 | 1.9 | 2.7 | 273.3 | 226.5 | △46.9 | △17.1 |
이스타항공 | (n/a) | 61.7 | 302.4 | 240.7 | 389.7 | 5,185.7 | 5,357.3 | 171.6 | 3.3 |
플라이강원 | 124 | (2023년도 공시 비대상 사업자) | |||||||
소형운송사업자 | 93 | 67.4 | 83.1 | 15.8 | 23.4 | 131.2 | 120.5 | △10.7 | △8.2 |
글로리아항공 | 18 | 18.1 | 26.7 | 8.7 | 47.9 | 24.6 | 24.6 | - | - |
헬리코리아 | 20 | 20.1 | 6.1 | △14.0 | △69.6 | 6.2 | 6.3 | 0.1 | - |
유아이헬리제트 | 15 | 14.6 | 27.5 | 12.9 | 88.4 | 37.5 | 37.7 | 0.1 | - |
더스카이 | 15 | 14.6 | 4.4 | △10.2 | △69.6 | 29.4 | 12.1 | △17.3 | △58.8 |
케이에비에이션 | (n/a) | - | 18.3 | 18.3 | (n/a) | 33.5 | 39.9 | 6.3 | 18.9 |
하이에어 | 25 | (2023년도 공시 비대상 사업자) | |||||||
엔에프에어 | 1 | ||||||||
공항운영자 | 2,486 | 2,486.5 | 2,586.3 | 99.8 | 4.0 | 3,327.5 | 2,751.3 | △576.2 | △17.3 |
한국공항공사 | 741 | 741.3 | 894.7 | 153.4 | 20.7 | 1,525.0 | 1,155.6 | △369.4 | △24.2 |
인천공항공사 | 1,745 | 1,745.1 | 1,691.6 | △53.5 | △3.1 | 1,802.5 | 1,595.7 | △206.8 | △11.5 |
* A1은 ’23년도 공시 결과인 ‘22년도 실적이며, ’24년도 공시(‘23년도 실적) 대상 일부 변동
(제외 : 플라이강원, 하이에어, 엔에프에어, 추가 : 이스타 항공, 케이에비에이션)
【 안전투자 실적 감소 주요 변경사항 】 | ||
⬩(에어부산) ‘22년 대비 경년항공기 교체 실적 감소(-1,033억)로 총 308억 감소 ⬩(진에어) ‘22년 대비 경년항공기 교체 실적 감소(-3,000억)로 총 2,799억 감소 ⬩(에어인천) ‘22년 대비 정비 비용 감소(-76억)로 총 70억 감소 ⬩(인천공사) ’22년 대비 소방, 제방빙 차량 구입 등 감소(-31억원)로 총 54억 감소 |
참고 3 | 항공사 항목별 항공안전투자 현황 |
(억원, %)
항목 | 총계 | |||
합계 | 증감 | |||
22년 | 23년 | 금액 | 비율 | |
①경년항공기 교체 | 9,609 | 11,921 | 2,312 | 24.1% |
②예비용 항공기 도입 | - | - | - | - |
소계 | 9,609 | 11,921 | 2,312 | 24.1% |
①항공기의 정비∙수리∙개조 | 20,674 | 29,375 | 8,701 | 42.1% |
②발동기∙부품 등의 구매 및 임차 | 8,360 | 13,165 | 4,804 | 57.5% |
③정비시설∙장비 구매 및 유지 관리 | 212 | 197 | △15 | △7.0% |
④항공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축∙ 유지관리 등 | 29 | 19 | △9 | △31.6% |
⑤항공종사자의 교육훈련 | 573 | 645 | 72 | 12.6% |
⑥항공안전을 위한 연구개발 | - | 2 | 2 | (n/a) |
⑦항공안전 증진 홍보 | 1 | 1 | - | 8.9% |
⑧항공안전 관련 전산시스템 | 250 | 365 | 115 | 46.0% |
⑨기타 안전지출 | 37 | 93 | 56 | 151.1% |
소계 | 30,136 | 43,863 | 13,727 | 45.6% |
총계 | 39,745 | 55,783 | 16,039 | 40.3% |
참고 4 | 항공안전 투자 공시 제도 개요 |
□ 관련근거: 「항공안전법」, 「항공안전투자공시에 관한 세부 기준 및 절차」(고시)
ㅇ (법 제133조의2) 항공교통사업자*는 국토부장관이 항공안전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인정한 안전투자 내역을 매년 공시하여야 함
* 「항공사업법」 제2조제35호: 국제·국내·소형항공운송사업자 및 공항운영자
ㅇ (고시) 안전투자 범위, 항목 및 공시를 위한 기준, 절차 등 안전투자의 공시를 위하여 필요한 세부 사항을 규정
□ 도입배경
ㅇ 관리자가 안전개선 활동을 ‘비용’으로 인식하지 않고,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적정 인력·장비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 필요
ㅇ 항공안전 증진을 위한 안전투자 내역을 주기적으로 공개하여, 항공사 및 공항공사 등의 자발적 안전관리 의지를 유도
※ (해외 사례) 유사제도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기업공시(美증권거래위, 유럽증권 시장감독청 등) 내역을 통해 ❶정비 비용+❷부품구매 비용은 제한적으로 확인 가능 ☞ ’23년도 주요 항공사(FSC) 매출 比 항공기 정비· 부품 투자비율 비교(%) - 델타 4.2, 아메리칸 6.2, 루프트한자 2.4, 에어프랑스 8.5 vs 대한 14.6, 아시아나 18.3 |
□ 추진경과
ㅇ (근거마련) 「항공안전법」 제133조의2(안전투자 공시) 신설(‘19.11 공포)
* 공포 후 3년이 경과한 날부터(’22.11.27) 시행(※ ‘20~’22년 시범운영)
- 「항공안전투자공시에 관한 세부 기준 및 절차」 제정(고시, ’20.9)
ㅇ (시범운영) 제도의 취지 및 목적 등의 이해 제고를 위해 운영(‘20~’22)
ㅇ (설명회) 정식 시행 前 취지를 재차 설명하고, 최종 의견수렴(‘22.1.27)
ㅇ (1회차 공시) 19개社* 대상으로 안전투자 내역 공시(’23.7.20)
* 국제·국내운송사업자 11개社, 소형운송사업자 6개社, 인천·한국공항공사 2개기관
출처 : 국토교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