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4년 4월 10일
미술사학자 최순우씨 옛집 개관,
시민문화재 제1호
서울시 성북구 성북2동에
자리잡은 최순우 고택.
시민 모금의 성과로 보존돼 2004년
4월 10일부터 시민들에게 개방됐다.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에 서서’라는
글에서 한국의 아름다움을 보는
안목을 제시했던 미술사학자
최순우(1916~1984)씨의
서울 성북동 옛집이 2004년 4월 10일
오후 4시 개관식을 갖고 시민들에게 개방됐다.
최남선과 현진건 고택,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 등
근현대사의 체취가 깃든 옛 건물들이
속속 사라지고 있는 가운데, 최순우
옛집 복원은 시민들의 힘으로 살려낸
문화 재산이란 점에서 그 의미가 더 컸다.
성북구 성북2동 126의 20, 대지 120평에
안채와 사랑채 등으로 이뤄진 최순우 고택은 1930년대에 건립된 한옥.
조선 말기 선비 집의 운치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건물로, 최씨는
한국 전쟁 직후부터 작고하기까지
30여년간 이 집에서 살았다.
최순우씨의 ‘옛집’이 ‘시민 문화재 1호’로
거듭날 수 있었던 것은 시민이 주체가 돼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을 매입·보존하는
‘내셔널 트러스트(National Trust·국민신탁)’ 운동의 성과였다.
사단법인 한국내셔널트러스트는
지난 2002년 12월 8억여원의
기부금을 통해 이 집을 사들였고,
그중 삼성전자와 학고재가
비용의 절반 이상을 맡았다.
다시 1년여 간의 기금 모금과
후원인 발굴, 보수·복원 자문회의가 이어졌고
2억원을 더 모금해 보수와 복원을 진행했다.
‘옛집’은 최씨의 자필 원고나
안경·라디오 등 유품을 상설 전시하며
한국의 전통공예와 관련된
전시회를 여는 역할을 하게 된다.
뒷마당에는 차를 마실 수
있는 공간도 갖출 계획이다.
▶2010년 폴란드, 대통령 전용기 추락 사고
👉🏿 러시아 서부 스몰렌스크 인근
에서 '폴란드 공군 TU-154’ 항공기 추락 (폴란드 '레호 카친스키' 대통령과 영부인 포함 96명 사망).
▶2010년 태국 반정부 시위, 유혈사태
▶2004년 원로배우 독고성씨 별세
▶2004년 일본 영화 ‘카게무샤’ 두 주역인
전국시대 앙숙 오다·다케다 가문 화해
👉🏿 2004년은 다케다 가문이 멸망하는 계기가 되는 ‘나가시노전투’ 430주년으로, 1575년 미카와의 나가시노에서는 오다 노부나가와 다케다 신겐의 아들 가쓰요리가 이끄는 무적의 기마군단이 천하 통일을 다투는 최후의 결전이 벌어졌다. 이 싸움에서 노부나가에 패한 다케다 가문은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졌다. 나가시노 전투 이야기는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영화 ‘카게무샤’의 소재가 됐고, 한국에서도 상영된 바 있다. 2004년 4월 10일 일본의 전국시대에 패권을 다툰 무장 오다 노부나가(1534~82)와 다케다 신겐(1521~73)의 후손들이 만나 430년 만에 두 집안이 화해했다.
▶2003년 서울대 규장각 소장 ‘삼국유사’
국보 제306-(2)호로 승격
▶2003년 청남대 기자단에 내부 첫 공개
▶2001년 네덜란드 상원 안락사 합법화 의결. 세계최초로 안락사 합법화
👉🏿 네덜란드 상원이 2001년 4월 10일 안락사를 최종 승인했다. 이에 따라 네덜란드는 세계 최초로 안락사를 합법화한 나라가 됐다. 종교계와 보수단체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네덜란드 하원이 지난해 2000년 11월 이 법안을 통과시킨 데 이어, 상원도 이날 표결에서 46 대 28로 의결했다. 이 법안은 불치병에 걸려 도저히 회생할 가망이 없는 환자가 온전한 정신으로 안락사에 동의하면 의료진의 권고에 따라 안락사를 시행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네덜란드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안락사가 사실상 허용돼왔으며, 지난해 안락사한 환자는 2123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2000년 남북정상회담 서울-평양에서 동시 발표
▶1999년 국방과학연구소,
사정거리 300km 미사일 시험발사에 성공
▶1999년 독도 유인등대 가동
▶1998년 북아일랜드 평화협상 타결
▶1997년 공덕동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
▶1997년 야구인 김동엽씨 사망
▶1995년 북미 직통전화 개통
▶1995년 중국 혁명원로 천윈(陣雲) 사망
▶1993년 남아공 흑인지도자 크리스 하니 피살
▶1991년 남북직교역 승인
▶1984년 호주 의료진,
최초 냉동 수정아 출산 성공 발표
▶1982년 유럽연합(EC)10개국,
아르헨티나 상품 수입금지 긴급 결정
▶1980년 소련. 중국 우호동맹-상호원조조약 실효
▶1979년 과천 제2정부청사 기공
▶1978년 외환은행, 국내 첫 신용카드 발급
▶1973년 우리나라 여자탁구 첫 세계 제패
▶1972년 한국 히말라야 등반대 조난,
한국인 3명 등 15명 사망
▶1972년 세균무기(생물무기) 및 독소무기의
개발, 생산 및 비축의 금지와
그 폐기에 관한 협약(BWC) 조인
▶1971년 미국 탁구선수단 중국 방문.
핑퐁외교 시작
👉🏿 나고야 세계탁구선수권대회에 참석한 미국 탁구 대표가 1971년 4월 10일 중국을 방문했다. 국교도 없고, 오랫동안 서로 적대시해 온 미국과 중국이 갑자기 취한 `우호 무드`에 세계가 놀랐다. 이른바 `핑퐁외교`의 시작이었다. 마오쩌둥이 미국과의 관계를 개선하도록 결심하게 된 가장 큰 요인은 소련의 군사위협이었다. 중-소 국경에서 일어난 대규모 군사 충돌은 그러한 불안감을 더욱 강하게 만들어, 마오쩌둥은 `미국 카드`를 갖고 싶었다. 미국 역시 소련과 냉전 중이었기 때문에 `중국 카드`는 매우 매력적인 것이었다.
▶1970년 비틀즈 10여년 만에 해체
👉🏿 1970년 4월 10일, 비틀즈의 소속사가 폴 매카트니의 탈퇴를 공식 발표함으로써 10여년간 전세계 젊은이들을 열광과 흥분 속으로 몰아넣었던 영국 출신의 4인조 록그룹 비틀즈가 전설 속으로 사라졌다. 비틀즈 기획자 엡스타인이 약물과다복용으로 사망한 뒤 구성원 간에 내연해 온 불화가 폭발한 것이었다. 8년간 12개의 앨범과 211곡이 발표됐고 팔려나간 앨범만도 1억6000만장에 달했다. 20세기 최대 음반 판매 기록이었다.
https://youtu.be/QDYfEBY9NM4
▶1968년 뉴질랜드 해안에서 워하인호 침몰
▶1968년 남아공- 요코부스 푸케 대통령 취임
▶1966년 월남 불교도 키 수상 부에(후에) 선전
▶1964년 국공유지 불하사건
▶1964년 소련 저개발국 상품에 관세 철폐 발표
▶1963년 미국 핵잠수함 드레셔호
대서양 해상에서 침몰, 129명 실종
▶1963년 한국-콩고민주공화국 국교 수립
▶1961년 한국 국제언론인협회(IPI) 가입
▶1959년 장훈, 일본 프로야구 데뷔
▶1958년 공군수송기 납북 미수사건 발생
▶1957년 수에즈운하 개방 재개
▶1957년 서울대 법대생들 이강석
(이승만대통령의 양자)의 입학반대 동맹휴학
👉🏿 민의원 의장 이기붕의 아들이자 이승만 대통령의 양자인 이강석이 부정하게 편입했다는 소문이 일자 1957년 4월 9일 서울대 법과대 학생 500여 명은 긴급 학생총회를 열었다. 총회에서 학생들은 이강석을 포함한 부정편입생들의 입학을 취소할 것과 그날 오후 3시까지 이에 대한 학교 측의 확답이 없을 때는 전교생이 등교를 거부한다는 것을 만장일치로 결의했다. 서울대 총장은 이강석의 입학이 합법적이며, 학생들이 계속 결석할 경우에는 단호하게 처벌하겠다고 말했지만, 학생회측은 총회 결의 다음 날인 4월 10일 동맹휴학에 돌입했다.
▶1953년 함마슐트 UN 사무총장 선출
▶1949년 유엔(UN) 안보리, 한국 가입안 부결
▶1941년 미국 그린란드에 미군기지 설치
▶1930년 보통학교 조선어사전 제3판 출간
▶1927년 미국의 생화학자 마셜 니런버그 출생
- 유전정보 해독에 이바지해 노벨상 수상
▶1917년 예술-생활 용품의 울타리를 튼
마르셀 뒤샹의 `변기` 등장
👉🏿 1917년 4월 10일, 뉴욕 그랜드 센트럴 갤러리 전시장에 남성용 변기 하나가 등장했다. 주최측은 경악했다. 출품자는 이 전시회의 운영위원이기도 한 마르셀 뒤샹. 그는 어느 공중변소에서나 흔히 볼 수 있는 남성용 변기를 떼어다 `샘물(fountain)`이란 제목을 붙이고 `r mutt` 란 이름으로 사인, 당당하게 작품으로 출품했다. 뒤샹의 변기가 함축한 것은 `예술은 더 이상 풍경이나 인물을 손으로 재현하는 테크닉이 아니다`는 메시지였다. 즉 '제작'만이 아니라 작가의 '선택'만으로도 예술작품이 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뒤샹은 예술작품과 일상용품의 경계를 허물었다.
▶1916년 서양화가 이중섭 출생
👉🏿 이중섭(李仲燮)은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의 서양화가로 호는 대향(大鄕), 본관은 장수이다. 이중섭의 작품에는 소.닭.어린이.가족 등이 가장 많이 등장하는데, 향토적 요소와 동화적이고 자전적인 요소가 주로 담겼다는 것이 소재상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싸우는 소》, 《흰소》, 《움직이는 흰소》, 《소와 어린이》, 《황소》, 《투계》등은 향토성이 진하게 밴 대표적 작품이다. 《닭과 가족》, 《사내와 아이들》, 《길 떠나는 가족》과 그 밖에 수많은 은지화들은 동화적이고 자전적 요소가 강한 작품들이다.
▶ 1919년 멕시코 혁명 지도자 에밀리아노 사파타 피살
👉🏿에밀리아노 사파타 살라사르는 포르피리오 디아스의 독재 정권에 대항하여 1910년 시작한 멕시코 혁명의 지도자였다. 그는 멕시코의 국민적 영웅 중 하나로 칭송된다. 전국적으로 도시와 길거리 그리고 심지어 주거 개발 프로젝트와 통화에 이르기까지 그의 이름은 폭넓게 사용된다. 그는 남부 멕시코에 있는 영세민들의 정치적이며 경제적인 해방을 위해 싸웠었다. 사파타는 정교한 매복의 상황속에서 파블로 곤잘레스와 그의 보좌관 헤수스 과하르도에 의해 1919년에 죽임을 당했다. 그의 파란만장한 삶은 1952년 말론 브란도 주연의 영화 '혁명아 자파타'에 잘 나타나 있다.
▶1912년 조계종 종정 성철 스님 출생
▶1900년 서울 종로에 최초의 민간전등 가설
👉🏿 "전기회사에서 작일부터 종로에 전등 삼좌를 연하였더라." (황성신문 1900년 4월 11일자)서울 종로 거리에 가로등이 설치됐음을 알리는 이 짧은 기사는 수천년 동안 내려오던 생활방식을 바꾸는 혁명적인 변화를 예고하는 것이었다. 우리나라에 전등이 처음 들어온 것은 1887년 3월. 에디슨의 발명 이후 불과 8년 만이었다. 더구나 공사 담당자가 에디슨이 설립한 회사였고 경복궁 향원정 옆에 설치된 발전기도 16촉광 백열등 750개를 점등할 수 있는 것으로 동양 어디에 내 놔도 손색이 없는 수준이었다. 우리나라 `전기의 날`은 이날을 기념해 1966년 제정됐다.
▶ 1847년 현대신문의 정형을 확립한 미국의 신문왕 퓰리처 출생
👉🏿조지프 퓰리처는 ‘퓰리처상’을 만든 미국의 신문인이다. 헝가리 출신으로 세인트루이스에서 <포스트 디스패치>사로 시작하여 언론사 경영에 성공하였다. 이후 뉴욕으로 가 <뉴욕 월드>를 매수, 센세이셔널한 뉴스의 보도와 캠페인 등으로 미국을 대표하는 신문사로 성장시켰다. 그는 상업성과 정론언론의 사이를 넘나드는 신문사 경영으로 현대 저널리즘의 전형을 만들었다. 사후 그의 유언에 따라 1917년 언론계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퓰리처상’이 제정되었다
https://youtu.be/zZsq9ecp26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