梅鳥圖(매조도)
정약용(丁若鏞:1762~1836)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美庸), 호는 다산(茶山) · 여유당(與猶堂) · 사암(俟菴).
500여 권의 방대한 실학관계 저작을 했으며, 경학 관계 연구서 232권을 비롯하여,
『목민심서(牧民心書)』 · 『경세유표(經世遺表)』 · 『흠흠신서(欽欽新書)』 등
詩와 文으로도 뛰어 난 저서들을 많이 남겼다.
시집가야 할 딸아이에게
사뿐사뿐 새가 날아와
翩翩飛鳥 편편비조
우리 뜨락 매화나무 가지에 앉아 쉬네
息我庭梅 식아정매
매화꽃 향내 짙게 풍기자
有烈其芳 유렬기방
꽃향기 그리워 날아왔네
慧然其來 혜연기래
이제부터 여기에 머물러 지내며
妥止妥棲 타지타서
가정 이루고 즐겁게 살거라
樂爾家室 악이가실
꽃도 이제 활짝 피었으니
華之旣榮 화지기영
열매도 주렁주렁 맺으리
有賁其實 유분기실
「매조도」 에 대하여
딸아이는 다산의 외동딸이다. 다산은 본디 아들 여섯과 딸 셋, 도합 아홉 남매를 낳았으나 대부분 어려서 잃고 아들 둘(학연·학유)과 딸 하나만 성장하여 장가가고 시집가서 후손을 남겼다. 이 시는 이른바 「매조도」라고 알려진 그림에 화제로 지은 글이다. 귀양 살던 유배지에서 시집가는 딸에게 특별히 선물할 물건도 없던 때여서 다산은 이 「매조도」를 그리고 좋은 화제를 지어 딸아이에게 선물로 주었다. 그러면서 비단치마폭에 그림을 그리고 글씨를 쓰게 된 연유까지 밝혔다. “내가 강진에서 귀양살이 몇년이 지났을 때 , 부인 홍씨가 낡은 치마 여섯폭을 보내왔다. 세월이 오래되어 붉은 빛깔이 변했기에 가위로 잘라서 첩을 만들어 두 아들에게 물러주고 , 나머지로 이 작은 족자를 만들어 딸아이에게 물려준다. 순조 13년(1813) 7월 14일 열수옹(洌水翁)이 다산동암에서 쓰다” 이것이 딸에게 선물했던 「매조도」라는 그림에 화제를 쓰고 맨 끝에 그림의 연유를 설명한 글이다.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 정약용 지음, 박석무 편역, (주) 창비, 2001
매조도(梅鳥圖)를 두근거리다
최분임
치맛자락에 달라붙는 연두빛을 털어내고 들어왔습니다.
세월의 말간 걸음걸이 당신의 기별인 듯 이곳은 염두에 두지 말라고 한바탕 퍼붓고 돌아섰습니다. 녹슨 쟁기, 가슴에 고랑을 만드는 기척을 다 북돋워주지 못햇습니다. 땅이 속눈썹을 떨며 일어서는 악착, 봄이라 불러주지 못했습니다.
봄빛 우북한 매조도가 우물물 한 바가지에 꽃잎 몇 띄워 건네는 그 품을 헤아립니다. 한기 끝에 매달린 꽃을 고쳐 눈물 내려놓으라는 당부로 읽습니다. 뒤돌아보는 새 한 마리, 꽃대신 당신에게 낯선 얼굴이었을 때 분홍에 가까웠던 시간을 묻습니다. 위리안치(圍籬安置)된 매화나무, 여백의 방향을 결정짓지 않고 가장 먼저 도착합니다.
처마 밑 둥지를 튼 슬픔이 툭 하면 날개를 펴는 통에 매조도 속 나뭇가지, 비어있기 일쑵니다. 털썩 주저앉은 툇마루를 물고 날아가는 새 두 마리, 먼 강진이 깃털처럼 흩날려도 다홍치마 화폭 당신은 끄덕도 않습니다.
뒤돌아보면, 그리움은 그림자조차 거느리지 않고 피는 꽃 아니던가요. 뿌리도 모르고 향기도 없이 왈칵, 쏟아지는 허방 아니던가요.
- 제12회 동서문학상 대상 수상작
최분임
경북 경주 출생.
2014년 제12회 〈동서문학상〉 대상을 수상하며 《월간문학》으로 등단했다.
제8회 〈천강문학상〉 시 부문 대상을 수상했으며, 한국문인협회,동서문학회, 소래문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