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3. (화)
여느 날과 다르지 않은 밤 11시. 이틀 내내 끙끙대던 글을 마무리 짓고 홀가분하게 잠자리에 들려던 차였다. 단톡방마다 수십 개의 메시지가 와 있었다. ‘지금 이 시각에 무슨 메시지가 이렇게 많이...? 무슨 일이 터졌구나!’ 불길한 마음으로 스크롤을 올리다 “[속보] 비상계엄 선포: 윤 대통령 긴급 담화” 영상을 보았다. 손이 덜덜 떨렸다. 계엄이라고? 그간 민주당에서 계엄 가능성을 제기할 때마다 설마 하며 과도한 우려라 여겼다. 지금이 어느 시대인데, 계엄과 민주화 시위는 다 과거사지 2024년 대한민국에서 일어날 거라는 생각은 꿈에도 못 했다. 한강 작가가 2024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되면서 다 같이 기뻐하고 자랑스러워한 게 불과 두 달 전인데, 하필 수상식을 일주일 앞두고 45년 전으로 시계를 되돌려 놓는 일이 일어나다니!
잠시 뒤 계엄 사령관 이름으로 포고령이 올라왔다. “국회를 포함한 정치활동 금지, 언론·출판 통제, 파업·집회 금지 적시에 이어 이를 위반한 자는 영장 없이 체포, 구금, 압수수색을 할 수 있으며, 계엄법에 의해 처단한다.”
이제는 손이 아닌 온몸이 떨리기 시작했다.
앞으로 대체 어떤 세상이 펼쳐지는 걸까. 읽고 쓰는 걸 업으로 삼은 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 ‘처단’이라는 무시무시한 단어에 폐 속으로 공포가 밀려드는 기분이었다. 페이스북에 헌법학자 한인섭 교수님의 짧은 글이 올라왔다. “비상계엄은 전시나 사변 같은 국가 비상사태에서 선포하는 것으로 현재 비상계엄은 요건에 맞지 않으며, 국회가 과반수로 계엄 해제를 요구하면 대통령은 반드시 따라야 한다.” 아, 이게 끝이 아니구나. 희망이 있구나. 국회의원들에게 모든 희망을 걸었다.
2024.12.4. (수)
국회의원들이 속속 국회로 모여들기 시작했다. 출입을 막는 경찰과 거세게 항의하는 시민들, 담을 넘는 국회의원들, 하늘에서 내려오는 헬기와 유리창을 깨고 진입을 시도하는 군인들... 상황이 너무나 급박하게 돌아갔다. 제발... 제발...! 움직이지도 못한 채 눈은 모니터에 고정하면서 빨리 본회의가 열리기를 빌고 또 빌었다.
밤 12시 반, 국회의원 150명이 본회의장에 착석했고, 곧 개회한다 했다. 새벽 1시, 국회의원 190명 전원 만장일치로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이 의결되었다. “국민 여러분께서는 안심하시길 바랍니다.” 간절히 기다리던 우원식 국회의장의 한마디를 듣고서 잠을 청했다. 여전히 죄어오는 가슴에 손을 얹으며 뒤척이는 밤을 보냈다. 다음 날 아침엔 2년 전, 영국에 살 때 만난 친구들에게서 메시지가 와 있었다. '너 괜찮아?' '너희 나라 걱정돼.' 부끄러움에 얼굴이 달아올랐다.
2024.12.6 (목)
계엄 이후 뉴스만 보고 있다. 분노와 참담함이 섞인 슬픔으로 무엇도 손에 잡히지 않았다.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책임이 있는 대통령이 지금 대한민국 최대의 리스크라니! 2차 계엄이 또 발생할 수 있다는 생각에 두려웠다. 일상은 멈췄는데 속보는 계속해서 쏟아졌다. 대통령은 모든 책임을 야당에 돌리고 자신은 잘못 한 게 없다며 당당했다. 하야는 없다고 못 박았으니 그렇다면 남는 건 탄핵밖에 없다. 고백하자면 계엄령 이전에는 나부터도 탄핵에 미온적이었다. 그간 윤 대통령의 계속되는 실정에 분노했지만 탄핵으로 역풍이 불고 더 큰 국정 혼란이 일어나면 어떻게 할 건가? 하지만 이건 아니지! 좀처럼 불 붙지 않던 탄핵 여론에 대통령은 스스로 불을 붙였다.
2024.12.7 (토)
오늘은 첫 번째 탄핵 소추안 표결이 있는 날. 국회의원 2/3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했다. 야당 의원들이 전원 찬성을 한다 해도 8표가 모자란다니. 일찌감치 여당은 반대를 당론으로 정해놓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 시국에 지금 자기 밥그릇 챙기고 있다는 사실에 애가 탔다. 난생 처음으로 여당 국회의원에게 경고와 항의를 담은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 남편은 ‘분명히 핸드폰 꺼두었을 것’이라 했지만 가만히 있을 수가 없었다. 오후 1시에는 개신교 시국 기도회, 오후 3시에는 촛불집회가 있다 했다. 당장 광장으로 달려가고 싶은데, 혼자 계신 시아버님께 가서 돕기로 한 일이 있으니 애가 탔다. 날은 또 어찌나 추운지... 매서운 바람과 추위를 뚫고 국회 앞으로 달려 나간 친구들, 동료 시민들에게 미안함과 감사함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