삿 14:1-9 삼손이 딤나에 내려가서
1 삼손이 딤나에 내려가서 거기서 블레셋 사람의 딸들 중에서 한 여자를 보고
2 올라와서 자기 부모에게 말하여 이르되 내가 딤나에서 블레셋 사람의 딸들 중에서 한 여자를 보았사오니 이제 그를 맞이하여 내 아내로 삼게 하소서 하매
3 그의 부모가 그에게 이르되 네 형제들의 딸들 중에나 내 백성 중에 어찌 여자가 없어서 네가 할례 받지 아니한 블레셋 사람에게 가서 아내를 맞으려 하느냐 하니 삼손이 그의 아버지에게 이르되 내가 그 여자를 좋아하오니 나를 위하여 그 여자를 데려오소서 하니라
4 그 때에 블레셋 사람이 이스라엘을 다스린 까닭에 삼손이 틈을 타서 블레셋 사람을 치려 함이었으나 그의 부모는 이 일이 여호와께로부터 나온 것인 줄은 알지 못하였더라
5 삼손이 그의 부모와 함께 딤나에 내려가 딤나의 포도원에 이른즉 젊은 사자가 그를 보고 소리 지르는지라
6 여호와의 영이 삼손에게 강하게 임하니 그가 손에 아무것도 없이 그 사자를 염소 새끼를 찢는 것 같이 찢었으나 그는 자기가 행한 일을 부모에게 알리지 아니하였더라
7 그가 내려가서 그 여자와 말하니 그 여자가 삼손의 눈에 들었더라
8 얼마 후에 삼손이 그 여자를 맞이하려고 다시 가다가 돌이켜 그 사자의 주검을 본즉 사자의 몸에 벌 떼와 꿀이 있는지라
9 손으로 그 꿀을 떠서 걸어가며 먹고 그의 부모에게 이르러 그들에게 그것을 드려서 먹게 하였으나 그 꿀을 사자의 몸에서 떠왔다고는 알리지 아니하였더라
삼손은 블레셋 여인과 결혼하고 기회를 엿보다가 블레셋 사람을 치려고 했습니다. 삼손은 이방 여자와의 결혼 문제로 부모와 갈등이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때에 삼손이 젊은 사자를 죽이고, 그 사자의 몸에 있던 꿀을 먹게 되었습니다.
삼손의 계책(1-4) 삼손이 블레셋 딤나에 내려가 그곳에 사는 한 여자를 보고 올라와서 부모에게 그녀를 자기 아내로 맞을 수 있게 해 달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삼손의 부모는 할례받지 않은 블레셋 사람의 딸을 며느리로 맞을 수 없다고 거절했습니다. 그러나 삼손은 다시 아버지에게 그 여자를 자기가 좋아한다면서 아내로 맞을 수 있도록 해 달라고 했습니다. 당시는 블레셋이 이스라엘을 다스리던 때였습니다. 삼손은 혼인하고서 기회를 엿보아 블레셋을 공격하려고 했습니다. 삼손이 블레셋을 공격하는 것은 하나님에게서 나온 것이었지만 그의 부모는 그것을 깨닫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하나님의 임재(5-6) 삼손이 그의 부모와 함께 딤나의 포도원에 이르렀을 때 젊은 사자가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여호와의 영이 삼손에게 강하게 임하여 그의 손에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었지만 마치 염소 새끼를 찢는 것 같이 그 사자를 찢어 죽였습니다. 비로소 삼손에게 여호와의 영이 임하여 하나님의 일꾼으로 사역할 준비가 된 것입니다. 그러나 삼손은 자기의 결혼 문제로 부모와 갈등이 생겼을 때 자기가 사자를 찢어 죽였던 일을 부모에게조차도 말하지 않았습니다. 삼손과 그 부모의 갈등으로 이들 사이의 대화가 단절되었습니다. 부모와 자식 사이에 갈등이 있을 수 있지만 갈등이 있을 때마다 지혜롭게 해결해야 합니다.
삼손의 침묵(7-9) 삼손은 부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블레셋 딤나로 내려가 한 여인을 만났습니다. 그는 그 여인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그래서 그 여자를 아내로 맞으려고 그녀의 집으로 가던 중에 자기가 죽였던 사자의 사체를 보았습니다. 그런데 그 죽은 사자의 몸에 벌 떼와 꿀이 있었습니다. 삼손은 그 꿀을 떠서 먹고, 그 여자의 부모에게도 주었습니다. 그러나 그 꿀이 죽은 사자의 몸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말하지 않았습니다.
적용: 삼손은 블레셋을 공격하기 위하여 블레셋 여인과 결혼하려고 했습니다.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하여 악한 방법을 사용해도 되는지를 서로 나누어 봅시다.
군대에서 강조하는 많은 말 가운데 '작전에 실패한 지휘관은 용서할 수 있어도 경계에 실패한 지휘관은 용서할 수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실패가 많은 세상을 사는 우리 성도들에게 절대로 실패해서는 안 될 분야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신앙생활입니다. 다른 것도 실패해서는 안 되지만 성도는 무엇보다도 신앙생활에 있어서는 꼭 성공해야 하고 승리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신앙생활이 가장 기본중의 기본으로 중요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