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차맛어때
 
 
 
카페 게시글
茶독락 ⚊ 독락차도 茶시음 물맛_비교_시음/ '우리집 정수기 물과 봉화 청옥산 물'
아란도 추천 0 조회 40 24.06.14 17:57 댓글 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4.06.15 10:42

    첫댓글 물맛 비교 저도 겪었기에 긍정적으로요.
    그래서 타 카페마다 수돗물, 정수기물을 마다하고 시판 플라스틱안의 물을 찻물로 우린다고들 하나 봅니다.
    제가 광주의 수돗물 정수기로 오랜동안 차를 우리고 살았는데,
    파주로 이사와서 차를 우리니!
    탕색, 찻잎, 맛, 등등에 심한 차이를 느끼고 매일 차를 마시나,
    지금은 3년 반이나 흘러 이곳 정수기에 머무르고 차를 마신답니다.
    홍찻물은 더 더욱 진한 탕색에
    차라리 염색이나 할까? 라고요.
    옹기항아리.
    결정유 물항아리에 정수기 물 넣어 사용하다가 항아리안 세척이 힘들어 놔 뒀는데,
    제가 만든 옹기항아리를 다시 사용할까도 글을 읽고 생각중이네요.
    알찬 글 감사드립니다.

  • 작성자 24.06.16 07:48

    네. 지역마다 물맛이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차를 우리는 이들에게는 그래서 물맛이 조금은 민감하게 전달되는 것 같아요. 그래도 사람은 적응해야 사니까 또 그렇게 각자가 자기에게 맞게 환경 대처를 하며 살아가나 봅니다.

    옹기 항아리는 자주 세척하지 않아도 물때가 잘 안 끼는 것 같습니다. 대신 물이 비면 바로 채워주어야 옹기 안에서 물의 싱그러움이 계속 유지되는 것 같아요. 찻물은 계속 사용하는 물이니까 물론 옹기 항아리에 물이 비어 있을 때가 없긴 하지요.

    만약에 장기적으로 집을 비운다고 한다 하여도 옹기 물항아리에 물을 가득 채운 상태로 놓아두면 물이 상하지 않으니, 그대로 사용하여도 무방한 듯싶습니다.

    물이 어느 정도 비었을 때, 손가락으로 옹기 안을 만져보면 전혀 물때가 느껴지지 않습니다. 그래도 더 청결하게 사용하고 싶다면 간혹 한 번씩은 옹기 물항아리를 씻어주면 좋겠지요.

  • 작성자 24.06.16 07:52

    저 같은 경우 .반복하면, 오히려 차 우리기에는 훨씬 좋다고 생각됩니다. 다시 사용하셔서 안정감 있고 여유로운 찻자리 누리는 시간는 물항아리 뚜껑을 닫아 놓고, 아래 꼭지로 물을 빼내니까, 한번 물을 채우면 물이 안 나올 때까지 뚜껑을 열지 않으까 공기접촉을 덜 해서 인지, 물이 크게 상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물이 떨어지면 정수기 물 받아서 다시 물항아리를 가득 채웁니다.

    물항아리에 물이 가득 차면 왠지 기분도 좋고 마음도 맑아지는 것 같고 어떤 풍성함을 느끼게 됩니다. ㅎ~ 든든한 느낌이어요^^

    물항아리 사용이 다소 번거롭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조금의 수고로움을 되세요. 댓글 읽으며 잘 지내시는 것 같아 정말 좋습니다. 고맙습니다^^

  • 24.06.16 16:21

    @아란도 예. 제가 12년 전에 만든 옹기항아리는 아래 꼭지가 없는 것으로 제법 큰 것도 있긴 있는데,
    다시 사용하렵니다.
    보물을 두고도 사용 안했다니 다시 차생활 배웁니다.
    감사드려요.

  • 작성자 24.06.19 17:35

    @생목 ㅎ 맞아요. 보물은 늘 가까이 있는 것 같습니다. 다시 사용하게 되시면 분명 또다른 새로움이 느껴지실 거라고 여깁니다^^

  • 물이 최고입니다
    시음기 잘 봅니다
    감사드립니다

  • 작성자 24.06.16 07:53

    네. 물과 차는 불가분의 관계이니까요. 고맙습니다. 좋은 나날 되세요^^

  • @아란도 좋은 글
    고맙습니다

  • 작성자 24.06.19 17:35

    @보이차 인연의 집 권대영 저도 고맙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