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희영 보직해임 기사는 1면에 2단 기사로 처리한 게 전부이며, 조선일보가 변하거나 반성의 기미를 보인다는 기미는 찾아볼 수 없다. 이
정도 사안이라면 회사 입장 표명이나 경영진-편집진의 사과성명 등이 지면에 나올 수도 있었는데 그런 것도 없다. 예상과 달리 조선일보가 막무가내
식 버티기 단계로 돌입했음을 이날 신문은 보여준다.
즉 이날 신문은 1면 머리기사로 이석수 감찰관과 조선일보 기자에 대한 압수수색을 알렸다. 왜 우병우 수석의 집과 사무실은 제외했느냐고
볼멘소리다. 이날 사설도 '기자 압수수색은 우 수석 처가 땅 보도에 대한 보복인가'를 다루며 권력으로부터 박해받는 조선일보 이미지를
부각시켰다.
황당한 '약자 코스프레'하는 조선일보
즉 언론권력 조선일보의 황당한 약자 코스프레다. 당분간 박근혜 정부와 대립각을 세우며 '권력과 언론의 갈등'으로 포장하겠다는 꼼수이기도
하다. 더구나 실망스러운 것은 중앙-동아 등 경쟁지와, 일부 좌파매체들의 모습이다.
같은 날짜 중앙-동아는 김진태 의원의 폭로를 요란하게 다루는데 그치면서 이번 사안의 파장을 구조적이고 균형 있게 다루는데 크게
미흡했다. 반면 좌파 매체는 조선일보 편들기에 몰입하느라 아무 생각이 없어 보이는데, 바로 이런 게 우리 언론계와 지식사회의 파편화되고
지리멸렬한 모습을 반영한다.
자, 이런 상황에서 상식을 재확인해봐야 하는데, 조선일보의 이런 대응과 달리 최선은 무엇이었을까? 그건 송희영에 대한 파면 조치다.
진정 독자와 국민을 무서워한다면 송희영에 대한 보직사임 대신 이번 사태를 보는 회사의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서라도 파면 카드를 뽑았어야 했다.
"조선일보는 대학에서 문제가 드러난 교수를 두고 먼저 업무정지를 시키는 방식 등을 잘 원용했어야 옳았다. 업무정지 땐 월급은 주되
강의를 못하게 한다. 그리곤 자체 조사를 통해 교수의 문제를 체크하는데, 송희영에게도 그런 방식이 온당했다."
필자에게 들려준 한 언론학자의 말이 맞다. 보직 해임과 달리 업무정지와 파면 조치 등은 그나마 독자 신뢰를 얻을 수 중간 단계의
카드였다. 구악 기자 송희영과 조선일보가 거리 두기를 하는 좋은 계기였는데 조선일보는 여기에서 실패했다.
그래서 걱정인데, 혹시 조선일보가 그렇게 하지 못하는 이유가 있는 건 아닐까? 이번 사건에서 송희영은 깃털이며, 그 윗선의 몸통은 따로
있는데 그걸 보호하기 위한 게 지금 조선일보의 다급한 형편이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된다. 그게 사실이라면 사안은 더욱 커진다. 송희영 윗선은
누구일까?
http://www.mediapen.com/news/view/181847
첫댓글 조선일보는절대용서안됨
애국보수시민이그렇게힘들때지켜줬는데너무큰배시때리니용서안돔
폐간이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