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각종 지리와 음운관계
현재 중국은 성급행정단위가 32개(성23개, 자치구 5개,직할시4개) / 홍콩,마카오 특별행정구가 있고 현급 행정단위가 2151개가 있다. 직할시는 북경(北京,京), 천진(天津,津), 상해(上海,沪), 중경(重庆,渝)이며 도시이름뒤의 한자로 약칭한 것은 지명의 약자이다(자동차 번호판등에 사용).
각각의 지방 또는 현마다 고유의 말과 어휘, 글자가 있으나, 문법계통은 비슷한 면이 있다.
남방의 경우 어순도치가 상당히 보이나 강력한 보통화 정책에 따라 현지 방언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가 공부하는 보통화에는 보통화만 있는 것이 아니고 지방방언의 어휘와 음운도 꽤 보인다.
그렇게 뒤섞이다 보니, 보통화로서는 자연스러운 표현임에도 현지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것들도 있다.
서면어 어휘와 생활어 어휘의 차이를 보이는 것도 있고, 우리처럼 책에서나 쓰이는 문구가 있다.
그런 이유로 중국어에 흥미를 갖기 위해 노래, 드라마 , 영화로 중국어를 접하다 보면 일종의 "Gap 갭"이 발생한다.
이는 현지에서 경험을 통해 해소하지 못할 경우, 극복하기 어려운 난제로 남게된다. 중국 현지에서 생활하거나 중국생활 드라마를 많이 보거나 중국사람과 말을 많이 하거나 외국사람이 중국말을 할때 아무리 발음이 정확하고 유창해도 그 차이를 알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사소한 단어임에도 평소에 쓰는 말이 아닌 문어에나 사용되는 어휘를 쓰면 정확하기는 하나 생활용어가 아닌 아주 어색하면서도 표준적인 표현이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중국인이 한국드라마로 공부하면 아주 어색하게 들릴 가능성이 높다.
능글능글닭살닭살 이런 느낌이랄까.
중국의 몇갈래 주요한 중국어(현대중국어)방언중 북방방언은 고대한어가 드넓은 북방지역에서 수천년을 거쳐 발전된것이다. 기타 방언은 역사적으로 북방주민들이 각기 부동한 시기에 남하하여 차츰 형성되었다. 조기의 드넓은 강남지역은 주요하게 고대월족의 거주지였다. 고대월족은 고대월어를 사용했는데 고대중국어와 커다란 차이가 있어 서로 언어소통을 할수가 없었다. 후에 북방의 한족들이 몇차례를 거쳐 대규모적으로 남하했는데 따라서 북방 고대중국어가 강남의 각 지역에 전파되었다. 그리하여 선명한 차이점이 있는 현대 6대방언이 점차적으로 형성되었다. 각 방언들사이의 차이점은 세가지 원인이 있다. 첫째, 북방한어와 남방의 고대월어가 서로 접촉하기전에 각자의 내부에도 지역성 방언이 존재했다.
둘째, 북방한어가 남하한 시간이 서로 달라 자연히 중국어도 본래 모습과 다르게 되었다.
셋째, 여러갈래의 남방방언은 각기 독특한 환경속에서 발전했기때문이다.
고대한족사회는 발전과정속에 정도부동한 분화와 통일이 나타났는데 따라서 중국어도 점차적으로 방언들이 생겼다.
현대중국어에는 여러가지 부동한 방언들이 있는데 그들이 분포된 지역은 매우 넓다.
현대중국어 방언들사이의 구별점은 발음, 어휘, 어법 등 여러가지면에서 표현되는데 그중 발음에서의 구별점이 제일 뚜렷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언들은 표준어와 비교해보면 발음상 모두 일정한 대응규률이 있고 어휘와 어법에서도 많은 비슷한 점과 차이를 갖고 있다.
때문에 방언은 독립된 언어가 아니다.
방언의 특점에 근거하여 방언의 형성과 발전역사 및 여지껏 방언에 대한 조사결과에 따라 현대중국어방언을 분류했다. 현재 중국 언어학계의 전문가들은 현대중국어방언의 획분에 대해 일치한 의견을 가지고 있지 않다. 하지만 대부분 사람들의 의견에 따라 현대중국어는 다음과 같은7대 방언으로 나눌수 있다. 북방방언, 오방언(吳), 객가방언(客家), 민방언(복건성), 월방언(광동성), 상방언 (호남성), 감방언(강서성)
Cantonese(광주어)
광주어는 광동어라고도 하며 현지인들은 백화라고 한다.
중국 7대방언(북방방언, 오방방언, 상방언, 월방언, 민방언, 객방언, 감방언)중 하나이며 가장 특색있는 방언이다.
광동성내에는 객가어, 조주어, 대산어 등 여러가지 방언이 사용되는데 광주어 사용비율이 가장 두드러진다.
광주어는 가장 중요한 캔토니즈 방언이며 전 세계에서 사용하는 인구수는 7천만을 초과하며, 한족 인구의 5%를 점한다.
사용 구역은 광주를 중심으로 한 주강삼각주 지역, 광동성 중부와 서남부지역, 광서 동남부 및 홍콩, 마카오지역과 해외화교 집거지이다. 광주어와 표준어 및 기타 방언간에는 확연하게 구별되는데 타지역사람은 사실상 알아듣지 못한다. 광주어는 고대 한어에서 발전되어 왔는바, 그 형성과 발전은 다음과 같은 시기를 거쳤다. 진한시기 모체에서 탈리되었고, 위/진/남북조시기에 신속하게 발전되었으며, 당나라때 성숙에 이르렀고 고유한 특징을 갖게 되었으며 완전하게 독립되었다.
특징은
첫째는 사용되고 있는 지역이 세계 각 지역에 분포되어 있고 사용 인구수는 7천만 이상이다.
둘째는 고대 음성과 고대 한자가 보류된 것이 표준어보다 더 많다.
셋째는 많은 아름다운 문자작품들이 있다.
예를 들면 1850년대 조자용의 저서인 "월우”, 1950년대 당조생의 저서 “제여화”는 모두 탕현조의 “목단정”과 비할수 있다.
[4개직할시]
1、베이징 北京(京)
북경은 춘추전국시대 연나라의 수도였으며 이때의 지명은 “蓟(계)”이다. 요금시대에 燕國의 수도가 이 위치에 있어 燕京으로 개칭되었습니다. 금나라때 수도를 이곳으로 옮기고 中都로, 송나라때는 大都가 되었고 명나라때 남경으로 천도하면서 지금의 이름인 북경이 되었습니다.
2、티엔진 天津(津)
명나라 영락2년(1404년)에 축성을 함으로 천진이라는 지명이 탄생합니다. 천진이라는 명칭은 천자가 건넌 나루터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3、샹하이 上海(沪)
상해라고 칭하기 시작한 것은 송(宋)대부터라고 합니다. 당시에 이미 상해는 중국의 신흥무역항구였습니다. 당시 상해에는 18개의 큰포구가 있었는데 그중 하나가 상해포였습니다. 1292년에 현급으로 격상되었습니다.
옛날에 상해의 한 어민이 낚시도구인 "扈(후)"를 발명했습니다. 당시에는 아직 상해라는 지명이 없을때라서 이것으로 이름을 삼아 "沪渎(후두)"라고 불렀습니다. 그래서 옛날의 상해 명칭이 "沪"였습니다. 춘추전국시대에는 상해가 楚春申君黄歇의 봉읍의 일부이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별칭으로 “申”이라고도 부릅니다.
4、총칭 重庆(渝)
중경의 옛날 명칭은 “巴”였습니다. 진나라때는 강주(江州)라고 했습니다. 수나라때는 유주(渝州)라고 했습니다. 북송때는 공주(恭州)라고 했습니다. 중경이라는 명칭은 1190년에 공식적인 지명이 되었는데 남송의 광종조돈을 공왕으로 봉했는데 후에 제왕이 되었습니다. 이것을 축하하기 위해 공주를 중경부로 격상시켰습니다.
중경의 뜻은 쌍중희경(双重喜庆)이라는 말에서 나왔습니다.
[5개자치구]
1、내몽고자치구 内蒙古自治区(内蒙古)
2、신장위구르자치구 维吾尔自治区(新)
3、시짱자치구 西藏自治区(藏)
4、닝샤회족자치구 宁夏回族自治区(宁)
5、꽝시장족자치구 广西壮族自治区(桂) [23개성]
1、흑룡강성 黑龙江省(黑)
2、길림성 吉林省(吉)
길림은 길림마라(吉林乌拉)라는 만주어에서 유래된 지명. 뜻은 송화강에 접해있는 도시.
3、요녕성 辽宁省(辽)
4、하북성 河北省(冀)
옛날 명칭이 기주였던데서 약칭을 기(冀)라고 함.
5、산서성 山西省(晋)
춘추전국시대에 진나라 영토였던데서 약칭 진(晋)이 유래.
6、청해성 青海省(青)
7、샨동성 山东省(鲁)
춘추시대 노나라 영토였던데서 약칭 노(鲁)가 유래.
8、하남성 河南省(豫)
하나라에서 예주군을 설치한데서 약칭 예(豫)가 유래.
9、강소성 江苏省(苏)
10、안휘성 安徽省(皖)
1667년에 당시에 정치중심지였던 안경(安庆)과 경제중심지였던 휘주(徽州)에서 한자씩 취해 안휘성 이름이 되었음. 안경은 춘추시대 완(皖)나라의 영토여서 여기서 약칭 완(皖)이 유래되었다. 일설에는 이 지역내의 명산인 천계산의 옛날명칭이 완공산이어서 유래되었다고 함.
11、절강성 浙江省(浙)
12、복건성 福建省(闽)
진시황이 통일후에 현재의 복건성지역에 민중군(闽中郡)을 설치했다. 한나라때는 민월국(闽越国)으로 불렀다. 당나라때 복건절도사를 세우면서 이 절도사가 다섯지역(福、建、泉、漳、汀五州)을 관할하게 했는데 앞의 두지역 이름을 따서 복건이라는 명칭이 되었다.
13、강서성 江西省(赣)
감강(赣江-깐장)이 강시성을 관통하고 있어서 여기서 약칭인 감(赣)이 유래.
14、호남성 湖南省(湘)
광시성에서 발원하여 호남성으로 흘러드는 상강(湘江)에서 약칭인 상(湘-시앙)이 유래.
15、호북성 湖北省(鄂)
수나라 이후 악주(鄂州)로 불리워져서 간칭인 악(鄂-어)이 유래.
16、광동성 广东省(粤)
한나라 초기에 남오(南粤)의 땅이라고 부른데서 약칭인 오(粤-아오)가 유래.
17、대만성 台湾省(台)
18、해남성 海南省(琼)
진나라 이후로 해남도 일대를 경대(琼台), 경주(琼州)혹은 경안(琼崖)이라고 한데서 약칭인 경(琼-치옹)이 유래.
19、감숙성 甘肃省(甘혹은陇)
11세기 서하왕조가 십이감군중의 하나를 설치한데서 유래. 감주와 숙주 두주의 머리글자에서 감숙이 유래. 감숙성과 산서성사이에 용산(陇山)이 있어서 별칭으로 감이외에 용도 사용.
20、섬서성 陕西省(陕혹은秦)
춘추전국시대에 진나라의 땅이어서 진(秦)이라고도 함.
21、사천성 四川省(川혹은蜀)
사천이라는 지명은 익주(益州),재주(梓州),리주(利州),기주(夔州)의 4군데로 갈수 있는 곳이라는 의미에서 川峡四路에서 사천로가 유래되었고 여기서 사천이 나왔다. 옛날에 촉나라가 있어서 촉(蜀)이라고 부르기도 함.
22、귀주성 贵州省(贵혹은黔)
진나라때 금중군(黔中郡)을 설치한데서 금(黔-치엔)이 유래.
23、운남성 云南省(云혹은 滇)
전국시대의 전나라의 땅이었던데서 전(滇-디엔)이 유래.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0845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