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을 앞에 선 인생 편지
삶이 대단하고 인생이 길 것 같아도
결코 대단 한 것도 아니며 긴 것도 아니랍니다.
내가 팔팔하던 그 시절에는 시간도 더디게 가고,
세월도 한없이 느리게만 가더니 인생의 반환점 돌고 나니
다가오 고 사라지는 그 시간과 세월이 너무 빨라
마치 인생의 급행열차를 타는 듯 했지요!
올라 갈 때는 끝없이 먼 길,
내려 올 때는 너무나 빠른 지름길,
그것 이 바로 인생의 시계이자 삶의 달력이랍니다.
아등바등
한눈 팔지 않고
죽도록 일만하고
멋지게 쓰고 폼나게 쓰고
당당하게 한 번 써 보지도 못하고
죽음을 맞이하는 그런 세대들이
지금 우리의 세대라 해도 과언이 아니랍니다.
위로는 엄한 부모님 공경하고
아래로는 오로지 자식에게 올인하고
그것도 모자라 자식에 그자식까지 가슴에 안고
어깨 위에 매달리면 서 온 몸이 부셔져라 일만 하면서도
나는 괜찮아 하는 그 세대가 지금 우리의 세대입니다.
인생 그까이꺼 정말 별것도 아니고,
삶 그까이 것도 정말 대단한 것 아니고,
길 것 같던 인생 절대로 긴 것 아니랍니다.
일한만큼 편안하 게 쉴수도 있어야 하고
벌은 만큼 당당하고 멋지게 폼나게 쓸수도 있어야 합니다.
나중에 나중에 하다가
끝내는 한푼도 쓰지 못하는
어리석은 후회같 은 건
절대로 하지도 말고 해서도 아니 됩니다 !! ..
상기 글에 이어서
재미있게 풍자한 글이 있어 올려 봅니다.
"놀다간다 전해라"
일(日)도 가고
월(月)도 가고
년(年)도 가니
세월(歲月)이라 하더라.
태양(太陽)은
그냥있어도 서산을 넘고
그 태양(太陽) 떠난 자리
월(月)이 나를 찾았더라.
그 누구도
가는 歲月 잡겠더냐 ?
난들 어이 잡을 소냐?
너도 가고
함께 가니
억울할 것 없다 만은
너도 가고
나도 가니,
시간(時間)마저
쉼 없이 따라오네.
억울해도
조급해도
별수 없는 운명(運命)앞에
운명(運命) 따라 세월(歲月)따라
순리대로 살자구나.
지체 높은 어르신도
가는 세월(歲月) 못 잡더라.
돈 많은 재벌회장(財閥會長)
돈이 없어 못잡더냐 ?
S그룹 재벌회장(財閥會長)
병상(病床)에 눕고 보니
나보다 못한 인생(人生)
격세지감(隔世之感) 느껴지네.
A사 잡스 회장(會長)님도
가는 세월(歲月) 못 잡더라.
너도 가고 나도 가니
억울할 것 하나 없네.
주어진 세월(歲月)만큼
인생(人生)한 번 못 즐길까?
억울해서 어이 갈 꼬?
주어진 시간(時間)만큼
사랑 한번 아니 하고
내 어찌 가겠더냐?
행여 저승사자(使者) 날 찾거 던
놀다간다 전해라.
원(怨)도 한(恨)도 없이 사랑하며
임이랑 살아 보고 이 세상 싫증날 때,
임의 손을 잡고 알아서 간다 전해라!!“
● [인생의 맛]
인생은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집니다.
비록, 지금 처한 환경이 힘 들더라도 희망을 잃지 않으면 종래 웃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당장의 어려운 현실에 괴로워만한다면 결코 시련속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자신의 미래는 바로 자신이 만들어 간다는 것을 망각해선 안 됩니다.
아무도 자신의인생을 대신 살아주지않고, 또 그리 할 수도 없습니다.
지금 자신이 어려운 벽에 부딪혀 있다고해서 가족이나 친구들이 대신 해 줄 수는 없습니다.
오로지 자신만이 삶의주인인 것이고 미래의 삶 을 일구어갈 바로 개척자인 것입니다.
조용히 비가 내리는 날이면 잔잔한 음악과 함께 고즈넉한 분위기에 젖어 순간을 즐겨보십시오.
또 햇살이 맑은 날이면 가까운 사람들과 함께 차(茶)를 마시거나 산책을 즐겨 보십시오.
하기에 따라 우리네 인생은 맛이 달라집니다.
시련이 닥쳤을때에는 소금 같은 지혜를 얻을 수 있어 좋고
기쁨이 충 만할때에는 인생의 참 행복을 느낄 수 있어 좋습니다.
우리 인생에도 맛이 있으며
인생을 제대로 즐기고 사는 사람은
8가지 맛을 느끼며 산다는 말이 있습니다.
● 01. 일미(一味)는 음식(飮食)의 맛.
● 02. 이미(二味)는 직업(職業)의 맛.
● 03. 삼미(三味)는 풍류(風流)의 맛.
● 04. 사미(四味)는 관계(關係)의 맛.
● 05. 오미(五味)는 봉사(奉仕)의 맛.
● 06. 육미(六味)는 배움의 맛.
● 07. 칠미(七味)는 건강(健康)의 맛.
● 08. 팔미(八味)는 인간(人間)의 맛.
이런 인생의 8 미는
높은자리에 있거나 많은 재산을 소유하고 있다하여 얻어지는 것이 아니고
일상적인 삶 속에서 생각과 관점을 바꾸면 찾아 느낄 수 있습니다!!..
- 좋은 글 중에서 -
가져온 글 : http://cafe.daum.net/leeruth/69qs/21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