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센트릭(아테졸리주맙)과 아바스틴(베바시주맙) 병합요법에서 발열 발생 가능성
이 병합요법을 사용하는 환자에서 **원인 모를 발열(불명열, Fever of Unknown Origin, FUO)**이 부작용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주된 원인은 면역 관련 반응, 감염, 또는 혈관관련 이상 반응 때문일 수 있습니다.
1. 면역 관련 부작용 (Immune-Related Adverse Events, irAEs)
티센트릭은 항-PD-L1 면역항암제로 면역계를 활성화시키므로, 면역 시스템이 과도하게 반응하여 자가면역성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면역 매개 염증(면역 관련 부작용, irAEs)이 발생하면 발열과 함께 다음과 같은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폐렴 (면역 관련 폐렴)
간염 (면역 관련 간염)
대장염 (면역 관련 장염)
갑상선염 (면역 관련 내분비 이상)
보통 면역 부작용으로 인한 발열은 스테로이드(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로 조절이 가능합니다.
---
2. 감염 위험 증가
아바스틴은 VEGF 억제제로 혈관 신생을 억제하여 상처 회복과 면역 반응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세균 감염, 바이러스 감염, 진균 감염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며, 발열이 감염의 초기 증상일 수 있습니다.
감염이 의심될 경우 혈액검사(CRP, Procalcitonin, CBC)와 혈액배양검사를 시행하여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혈관 관련 이상 반응
아바스틴의 혈관 억제 작용으로 인해 고혈압, 혈전, 신장 손상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염증 반응과 함께 발열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혈전성 미세혈관병증(TMA), 신장 장애, 폐색전증 등의 합병증이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티센트릭(아테졸리주맙)과 아바스틴(베바시주맙) 병합요법에서 발열 발생 가능성
임상적 접근 및 대처 방법
1. 발열 원인 감별
면역 관련 부작용 여부 확인 (특히 폐렴, 간염, 대장염 동반 여부)
감염 여부 확인 (CBC, CRP, Procalcitonin, 혈액배양, 소변검사 등)
혈관 합병증 가능성 평가 (고혈압, 신장 기능, 혈전 여부 확인)
2. 치료 및 관리
면역 관련 부작용일 경우: 면역 억제 치료(코르티코스테로이드) 고려
감염 의심 시: 광범위 항생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사용
혈관 이상 반응 시: 혈압 및 신장 기능 관리, 항응고제 치료
결론
티센트릭과 아바스틴 병합요법에서 원인 모를 발열은 면역 관련 부작용, 감염, 혈관 이상 반응 등의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발열이 지속되면 추가 검사를 통해 원인을 감별하고, 면역 억제제, 항생제, 혈압 조절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암요양병원 수목요양병원
posted by yourdo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