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에서 고침투도(high-penetrance) 유전자 변이는 유방암 발생 위험을 크게 증가시키는 유전적 요인입니다. 이러한 변이를 가진 환자들에게는 맞춤형 표적치료제를 적용할 수 있으며, 변이별 주요 표적치료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BRCA1/BRCA2 변이
설명: BRCA1/BRCA2 변이는 DNA 복구 과정의 결함을 초래하여 유방암 및 난소암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표적 치료제:
PARP 억제제: 종양 세포의 DNA 복구를 방해하여 암세포 사멸을 유도
Olaparib (Lynparza)
Talazoparib (Talzenna)
Rucaparib (Rubraca) (주로 난소암에 사용되지만 유방암에서도 연구 중)
Niraparib (Zejula) (현재 유방암 적응증은 제한적)
2. PIK3CA 변이
설명: PIK3CA 유전자 변이는 호르몬 수용체 양성(HR+)/HER2 음성 유방암에서 흔하며, 종양 성장 신호를 활성화합니다.
표적 치료제:
Alpelisib (Piqray) + Fulvestrant (ER+/HER2- 유방암에 사용)
3. HER2 (ERBB2) 증폭/변이
설명: HER2(ERBB2) 유전자의 증폭 또는 변이는 종양 성장 신호를 활성화하여 공격적인 유방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표적 치료제:
HER2 단일클론 항체
Trastuzumab (Herceptin)
Pertuzumab (Perjeta)
HER2 표적 항체-약물 결합체(ADC)
Trastuzumab-Deruxtecan (Enhertu)
HER2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
Lapatinib (Tykerb)
Neratinib (Nerlynx)
Tucatinib (Tukysa)
4. TP53 변이
설명: TP53 유전자 변이는 유방암에서 높은 빈도로 발견되며, 특히 삼중음성 유방암(TNBC,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및 Li-Fraumeni 증후군과 연관이 있습니다.
표적 치료제:
현재 TP53 직접 표적 치료제는 없으나, **면역치료제(PD-1/PD-L1 억제제)**가 효과적일 수 있음.
Atezolizumab (Tecentriq) + Nab-Paclitaxel (삼중음성 유방암)
Pembrolizumab (Keytruda) (TNBC, PD-L1 양성 환자 대상)
5. PALB2 변이
설명: PALB2 변이는 BRCA2와 유사하게 DNA 복구 기능을 담당하는 유전자입니다.
표적 치료제:
PARP 억제제 (Olaparib, Talazoparib 등)
항암화학요법 (Platinum 기반: Cisplatin, Carboplatin)
6. ATM 변이
설명: ATM 유전자는 DNA 손상을 복구하는 역할을 하며, 변이가 있을 경우 DNA 복구 기능이 저하되어 암 발생 위험이 증가함.
표적 치료제:
PARP 억제제 (현재 연구 진행 중)
ATR 억제제 (임상시험 단계)
7. CDH1 변이
설명: Lobular 유방암(소엽암)과 관련이 있는 변이.
표적 치료제:
현재 특정 표적 치료제는 없으며, **항호르몬 치료제(Tamoxifen, Aromatase 억제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됨.
8. PTEN 변이
설명: PTEN 유전자 변이는 종양 억제 유전자로, PI3K/AKT 경로를 조절하는 기능을 합니다.
표적 치료제:
mTOR 억제제:
Everolimus (Afinitor) + Exemestane (HR+/HER2- 유방암 대상)
9. AKT1 변이
설명: AKT1 유전자 변이는 PI3K/AKT 경로를 활성화하여 종양 성장과 항암제 저항성을 유발할 수 있음.
표적 치료제:
Capivasertib (Truqap) + Fulvestrant (ER+/HER2- 유방암)
결론
고침투도 유전자 변이에 따른 맞춤형 치료 전략을 요약하면:
1. BRCA1/2, PALB2, ATM 변이 → PARP 억제제 (Olaparib, Talazoparib)
2. PIK3CA 변이 → PI3K 억제제 (Alpelisib)
3. HER2 증폭/변이 → Trastuzumab, Pertuzumab, Tucatinib 등
4. TP53 변이 → 면역치료제 (Pembrolizumab, Atezolizumab)
5. PTEN, AKT1 변이 → Everolimus, Capivasertib
환자의 유전자 검사를 기반으로 적절한 치료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연구 및 임상시험에서도 유전자 변이 기반 맞춤 치료 전략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으므로, 최신 가이드라인과 임상시험 참여 여부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내 유방암에도 맞춤형 치료가 가능할까? 유전자 변이에 따른 표적치료제 안내"
암요양병원 수목요양병원
posted by yourdo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