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대구 동물정책팀에 동물전문가가 없다
전염병 예방 및 정책수립 위한 수의직 공무원 필요
해운대구는 늘어나는 반려견과 반려묘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을 위해 2016년 10월 기초자치단체로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경제진흥과에 동물보호팀을 신설했다. 동물보호팀(이후 동물정책팀으로 명칭 변경)은 동물복지가 곧 주민을 위한 복지라는 생각으로 반려견 만남의 광장 조성, 애견공원 조성, 유기견과 길고양이 관리, 동물등록제 등 동물복지정책을 추진해 왔다. 이후 애견공원 후보 부지를 정해 설치하려 했으나 인근 주민들의 민원으로 실패했지만, 작년 6월초 송정역 뒤편에 유기동물입양센터를 설치하여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해운대구청에 동물정책팀을 만든 것은 좋은데, 뜻밖에도 정작 수의사 등 동물전문가는 없다고 한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나 조류독감, 구제역 같은 동물 전염병의 예방과 반려동물들을 위한 정책수립을 위해라도 수의직 공무원이 있어야 한다. 동물정책팀장과 팀원들은 해운대구의 각 과와 동을 2, 3년 순환보직으로 옮겨 다니는 행정직 공무원들이다 보니 전문성을 갖고 동물정책을 다루기가 어렵다. 이후에 동물전문팀이 생긴 다른 구청의 사정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해운대구 유기동물 입양센터
사실 기술직 공무원은 부산시의 인사이동에 의해 발령이 되는 데다가 수의직 공무원은 인원이 적고 근무부서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구청장이 인사이동을 하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 그렇지만 꼭 전문성이 필요한 부서는 부산시와 협의해 전문직 공무원을 충원하여 행정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것이 구청장의 책무다.
최근 들어 드론, 전기자동차, 인공지능, 연료전지, 태양광, 풍력 등 새로운 과학 기술이 개발되어 우리 생활에 가까이 다가오고 있다. 지역의 종합행정을 담당하는 구청도 이런 기술 발전을 행정에 적극 도입하려면 기술직 공무원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수의직을 비롯해 전기직, 기계직, 화공직 등 소수 기술직들이 하는 일들은 민선구청장 등장 이후 점차 행정직으로 전환하여 부산시 전체적으로는 갈 자리가 줄어들어 소수 기술직들의 불만이 많다. 새로운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행정의 대응역량 제고와 행정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도 소수 기술직들의 활약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 김영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