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건충 - 재물 인연 보는 법
대만 하건충 선생의 저서 '최신 팔자명리학 비결' 가운데 참고가 될 만한 구절이 있어 여기에 옮깁니다.
하건충 선생은 아시다시피 이론에 밝은 분입니다.
아래 내용도 일면 논리정연하고 체계적인 이론가의 면모를 보여줍니다.
재물 인연 보는 법
팔자에서 재물을 보는 법,
이는 다음의 3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1. 돈을 버는 재주가 있는가?
2. 돈을 사랑할 수 있는가?
3. 돈을 소유할 수 있는가?
이제 이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
1. 돈을 버는 재주가 있는가?
식신, 傷官, 편재, 편관 이 4 육친의 조건이 좋아야 합니다.
1) 식신
식신은 고객 한명 한명을 일일이 잘 보살피고 관리하는 능력입니다.
따라서 고객을 자기 집에 온 것처럼 편안하게 모시니 돈이 벌립니다.
2) 傷官
傷官은 아이디어 창출, 변화에 대처하는 기교, 생동감 있는 표현력, 자기 PR, 경영규모 증대 능력, 과감한 투자, 대국적인 사업 기획 등의 특징을 갖습니다.
따라서 큰 돈을 쉽게 벌게도 하고 쉽게 잃게도 만듭니다.
3) 편재
사물에 대한 안배, 통제, 관리에 능합니다.
이로 인해 일이 질서정연하게 처리되며 실질적인 성과를 거둡니다.
4) 편관
근면, 절약, 저축 및 이지적인 심성으로 돈을 모아갑니다.
이들 4 육친의 돈 버는 재주는
食傷이 가장 뛰어나고 다음 편재, 편관의 순입니다.
또한 식신으로 번 돈은 정재, 傷官으로 번 돈은 편재가 됩니다.
돈 버는 재주가 약한 명식은
印星, 정관, 비겁이 왕하면서 일간과 친밀한 형태입니다.
印星은 활기, 생기가 부족하고 변화, 외교에 능하지 못합니다.
정관은 고지식하여 융통성이 떨어집니다.
비겁은 솔직 담백하고 제멋대로이며 계책이 부족하고 남의 미움을 사기 쉽습니다.
정재는 눈앞의 작은 이익과 감각적인 즐거움을 탐하는 까닭으로 큰돈과 인연이 적습니다.
2. 돈을 사랑할 수 있는가?
금전은 욕구에서 나오니 정재로 대표 되긴 하나 동시에 보편성, 공중성, 사회성도 갖추고 있으니 정관의 특성도 겸합니다.
일간이 정재, 정관과 함께 친밀하면 금전을 매우 사랑합니다.
정재와는 친밀하나 정관과는 아닐 경우 단지 향락을 중시할 뿐 맹목적으로 금전을 추구하지는 않으며 재물 관념도 약합니다.
반대로 정관과는 친밀하나 정재와는 아닐 경우 ‘모든 사람이 돈을 사랑하니 나도 사랑한다’는 정도입니다.
돈 그 자체를 추구하지는 않습니다.
정재, 정관 모두 일간과 떨어져 있거나 파괴당하고 있으면 금전관념이 매우 미약합니다.
비겁, 印星이 일간과 가까이 있어도 마찬가지입니다.
편재가 일간에 가까이 있으면 자신에게 필요한 물건을 중시하는 차원에서 금전을 따르는 정도이지 정재처럼 재물 그 자체를 탐하지는 않습니다.
食傷의 영향이 강하면 낭만적인 정서를 향유하는 것과 돈쓰는 재미를 즐기는 차원에서 돈을 벌려고 하나 재물 자체에 집착하지는 않습니다.
3. 돈을 소유할 수 있는가?
1) 중상급 명식일 것
2) 財星과 일간이 친밀할 것
3) 財星이 희용신일 것
4) 財星의 왕도가 클 것
5) 財星이 상하지 않을 것
6) 일지가 희용신일 것
7) 財星이 천을귀인이나 천, 월덕귀인일 것
이중 1)번은 필수이며 나머지 가운데 서너개만 갖추면 재물을 풍족하게 보유할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예외가 있습니다.
財星이 전혀 없는 무재팔자이면서 상급 명식이고 일지가 희용신이면 재물이 풍족합니다.
돈을 소유하기 어려운 팔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하급 명식
2) 財星과 일간이 소원
3) 財星이 기신
4) 財星의 왕도가 약함
5) 財星이 손상당하면서 구응이 없음
6) 일지가 기신
이 경우도 역시 1)번은 필수이고 나머지 가운데 서너개가 부합되면 빈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