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Gold)와 락(Lock, 머리카락)을 합친 말로 금발머리를 뜻한다. 원래는 영국의 전래동화 ‘골디락스와 곰세마리’에 등장하는 소녀의 이름에서 유래한 용어로, 동화에서 골디락스는 곰이 끓인 세 가지의 수프, 뜨거운 것과 차가운 것, 적당한 것 중에서 적당한 것을 먹고 기뻐하는데, 이것을 어떤 상태에 비유적으로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는 중립적 선택을 지칭한다. 이처럼 건실한 경제성장 속에서도 인플레이션 우려가 없는 이상적인 경제상황이 골디락스이다.
▶1990년대 후반의 미국 경제가 골디락스의 대표적인 예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호된 금융위기를 맞기 전까지의 10년간을 보통 골디락스 시대라고 부른다. 이 당시에 중국과 인도가 본격적으로 산업화 대열에 참여하면서 낮은 임금에 근거한 싼 제조원가 덕분에 저렴한 제품을 전 세계에 공급하면서 발생하였다. 이 덕분에 각국의 수입물가는 안정됐고 저금리 기조가 정착되면서 각국은 물가안정과 고성장을 동시에 누릴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싼 임금을 자랑하던 중국에서 임금이 오르고 인플레이션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성장은 더디고 높은 물가를 걱정해야되는 역(逆)골디락스 경제가 창출되고 있다.
첫댓글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