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환자를 위한 혈소판 증가 치료제: Eltrombopag vs. Romiplostim 완벽 정리"
TPO 수용체 작용제 (Eltrombopag, Romiplostim)
TPO(Thrombopoietin, 혈소판생성촉진인자) 수용체 작용제는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 환자에서 혈소판 생성을 촉진하는 약물입니다. 대표적인 약물로 **엘트롬보팍(Eltrombopag)**과 **로미플로스팀(Romiplostim)**이 있습니다. 이들은 **TPO 수용체(Thrombopoietin receptor, c-Mpl)**를 자극하여 혈소판 생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1. Eltrombopag (엘트롬보팍)
1) 작용 기전
Eltrombopag은 경구용 TPO 수용체 작용제로, TPO 수용체의 비펩타이드(non-peptide) 작용제입니다.
골수에서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s) 및 거핵세포(megakaryocytes)를 활성화시켜 혈소판 생성을 증가시킵니다.
실제 TPO와는 다른 비경쟁적(allosteric) 방식으로 수용체를 활성화하며, TPO의 작용을 증강시킵니다.
2) 적응증
만성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ITP, Immune Thrombocytopenia)
→ 스테로이드, IVIG(정맥 면역글로불린)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
중증 재생불량성 빈혈 (Severe Aplastic Anemia, SAA)
간질환(특히 만성 간질환)으로 인한 혈소판 감소증
3) 복용법
경구 복용(Oral)
공복 상태에서 복용하는 것이 흡수율이 높음 (특히 칼슘이나 철이 포함된 음식과 함께 먹으면 흡수 저하)
4) 주요 부작용
간독성 (ALT, AST 상승 → 간기능 모니터링 필요)
혈전(thrombosis) 위험 증가
위장관 장애 (구역, 구토, 설사 등)
백내장 위험 증가 가능성
2. Romiplostim (로미플로스팀)
1) 작용 기전
Romiplostim은 피하 주사(SC, Subcutaneous) 제형의 단백질 TPO 수용체 작용제입니다.
TPO와 구조적으로 유사한 **펩타이드 기반 약물(peptibody)**이며, c-Mpl 수용체를 직접 활성화하여 혈소판 생성을 유도합니다.
자가항체에 의해 혈소판이 파괴되는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ITP)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2) 적응증
만성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ITP)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면역글로불린(IVIG) 등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골수이형성증후군(MDS)에서 혈소판 감소증 치료 (일부 연구 진행 중)
3) 투여법
주 1회 피하주사(SC)
개별 환자의 혈소판 수치에 따라 용량을 조절함
4) 주요 부작용
혈전 생성 위험 증가
골수 섬유화(myelofibrosis) 가능성
두통, 관절통, 피로감
항체 생성으로 인해 일부 환자에서 효과 감소 가능성
3. 실제 임상에서의 활용
ITP 환자에서 스테로이드, IVIG 치료 실패 시 두 약물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경구 복용이 편리한 Eltrombopag이 1차 선택되는 경우가 많음.
재생불량성 빈혈(SAA)에서는 Eltrombopag이 주로 사용됨.
골수이형성증후군(MDS)에서 Romiplostim의 역할이 연구되고 있음.
간질환 관련 혈소판 감소증에서는 Eltrombopag이 유용.
4. 결론
TPO 수용체 작용제는 만성 혈소판 감소증 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Eltrombopag은 경구 복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질환에서 사용되지만, 간독성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Romiplostim은 주사제형으로, 주 1회 투여가 가능하며 빠른 혈소판 증가 효과를 보이지만 골수 섬유화 가능성이 있습니다.
적절한 약물 선택은 환자의 상태, 편의성, 부작용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암요양병원 수목요양병원
posted by yourdo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