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에 보(鴇)자는 의부(義符)로 새 조(鳥)자에 성부(聲符)로 비수 비(匕)자 아래에 열 십(十)자를 했습니다. 말 이름인 오총이 보(駂)자와 너새 보(鴇)자는 너새 보(鳵)자와 관련이 있습니다. 말 마(馬)자나 새 조(鳥)자에 성부(聲符)로 사용한 글자입니다. 보과(鴇科) 보우지차(鴇羽之嗟) 화보(花鴇) 불식보오(不食鴇奧) 보색(鴇色) 숙숙보우(肅肅鴇羽)
수 보(黼)자는 의부(義符)로 바느질할 치(黹)자에 성부(聲符)로 클 보(甫)자를 했습니다. 클 보(甫)자는 보따리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오로지 전(專)자는 보따리를 싸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이고, 펼 부(尃)자는 클 보(甫)자 아래에 마디 촌(寸)자를 해서 보따리를 푸는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펼 부(尃)자와 오로지 전(專)자는 보따리를 풀고 싸는 글자들입니다. 보의(黼衣) 문원보보(文苑黼黼) 보부(黼蔀) 보의예복야(黼衣禮服也) 피면수보(皮綿繡黼)
보 보(湺)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 변에 성부(聲符)로 지킬 보(保)자를 했습니다. 지킬 보(保)자는 사람 인(人,亻)자 변에 입 구(口)자를 하고 그 아래 나무 목(木)자를 했습니다. 여기서는 입 구(口)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한 글자가 입과 나무를 뜻하는 글자가 아니라, 아들 자(子)자의 변형입니다. 부모가 자녀를 지킨다는 뜻을 가진 글자입니다. 보동리(湺東里) 쟁보(爭洑) 면보(麵洑) 승촌보(昇村洑) 상하보(上下洑) 보수원확보야(洑水源確保也)
보배 보(珤)자는 옥구슬도 보배니까, 구슬 옥(玉)자에 보물을 넣어 두는 그릇을 나타내는 장군 부(缶)자를 했습니다. 보배 보(珤)자는 보배 보(寶)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장군 부(缶)자는 손으로 빚어서 만든 오지그릇이나 질그릇을 뜻합니다. 장군에는 술 같은 액체를 담아 둡니다. 보보물야(珤寶物也) 윤보(尹珤, ?~1329) 보성(珤瑆) 보성(珤聲) 휘보(諱珤)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