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Europa Universalis
 
 
 
카페 게시글
역사게시판 유럽 체코 국기 유래
심심타파이야 추천 0 조회 930 19.03.06 15:17 댓글 2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9.03.06 16:36

    첫댓글 정작 실레지아 대부분은 현재 폴란드 영토라는 함정...

  • 19.03.06 16:50

    그래서 유로파에서 폴란드할때, 시대관 보너스로 문화지역 먹기하면 실레지아까지 먹어야되던데... 그래서였군요 ㅋㅋ

  • 19.03.06 17:06

    @마을사람B 실레지아가 그렇게 된게 유로파에서 실레지아 공작이 피아스트 왕조로 되어있는 것에서 보여지듯이 원래 폴란드계 공국이 있던 곳인데 폴란드가 분열시대에 접어들자 실레지아가 보헤미아 세력권에 속하게 되고 결국 폴란드를 통일한 카지미에시 대왕대에서는 보헤미아가 폴란드 왕위 주장을 포기하는 대신 실레지아는 보헤미아 소유가 되는 것으로 합의하게 되었죠.(사실 게임에서는 실레지아가 하나의 공국으로 표현되나 실제로는 여러 공국들로 분열되었습니다.)
    https://en.m.wikipedia.org/wiki/Duchies_of_Silesia

  • 작성자 19.03.06 18:28

    @발렘훼스트 피아스트가문은 공작가문으로 17-18세기에도 존재하지않았나요?

  • 19.03.06 18:33

    @심심타파이야 1675년에 단절되었다고 하군요. 그래서 합스부르크가 아예 직할령으로 삼았는데 브란덴부르크에서 이전에 맺은 조약을 근거로 실레지아의 상속권을 주장했죠. 당대는 무시되었지만 브란덴부르크가 프로이센 왕국이 된 뒤...

  • 작성자 19.03.06 18:34

    @발렘훼스트 그래서 프로이센이 실레지아 먹은게 어찌보면 당연히 자기네 권리를 주장 및 실행한거군요. 브란덴부르크 시절의 얘기는 전혀 몰랐습니다..

  • 19.03.06 22:01

    @심심타파이야 1537년 실롱스크의 피아스트조가 단절될 경우, 레그니차, 보우프, 브제스키를 호엔촐레른조가 상속한다는 조약이 맺어졌습니다(실롱스크 전체는 아님).
    황제는 처음부터 이에 반대했지만 호엔촐레른은 상속권을 포기하지 않았죠.
    그러다가 대선제후 시절에 시피에보진을 받는 대신 오스만과의 전쟁에 참전하고 실롱스크에 대한 권리주장을 포기했는데, 대선제후 사후에 황제가 줬다 뺏기라는 더러운 짓을 자행합니다.
    통수맞은 프리드리히 1세는 다시 실롱스크 상속권을 주장했고, 손자가 힘이 없어서 못 가진 권리를 힘으로 찾은거죠.
    결론: 합스부르크는 뿌린대로 거두었다.

  • 19.03.07 14:15

    @심심타파이야 프로이센이 실레시아를 되찾은 바람에 독일제국 판도가 간지나게 바뀌었죠

  • 19.03.07 14:16

    @수출용 부르봉 여기서 실레지아가 오헝 땅이라면 판도가 구와아악

  • 19.03.07 14:19

    @수출용 부르봉 사실 실레지아 전부 먹은게 아닌데... 판도더럽게 부스러기 남겨놓네

  • 작성자 19.03.07 14:20

    @발렘훼스트 그 부스러기가 본문 사진에 나오는 부분이군요

  • 19.03.06 16:57

    역시 애들은 합쳐져야 좋은데 그놈의 세르비아 놈들

  • 19.03.07 14:21

    세르비아의 판도 붕괴 만행
    1. 중세 말 세르비아제국
    2. 1차대전의 원인제공 대전후 다민족 국가들 붕괴
    3. 알바니아 바르샤바 탈퇴후에도 합병안함
    4. 유고슬라비아 내전으로인한 유고슬라비아 붕괴

  • 19.03.07 14:22

    @수출용 부르봉 여기서 CSTO에 가입하면 군사동맹지도 구와악

  • 19.03.07 14:25

    @수출용 부르봉 나치애들은 유대인,집시뿐만 아니라 세르비아애들을 가스실로 보냈어야 됬는데ㅂㄷㅂㄷ

  • 작성자 19.03.07 14:27

    @이재한 세르비아 건들면 머로더씨야가 뿔남..

  • 19.03.07 15:36

    @심심타파이야 그래서 슬라브인도 가스실에 넣은 나치의 혜안

  • 19.03.07 15:54

    @이재한 판도를 위해서는 insert kebab

  • 19.03.06 23:31

    와 저런 깊은 뜻이...ㄷㄷ

  • 19.03.07 14:05

    (턱을 배신하고 프로이센을 지지하며)

  • 작성자 19.03.07 14:09

    @수출용 부르봉 이기리스는 카톨릭국가와 손잡을 이유가 옶다(?)

  • 19.03.07 14:11

    @심심타파이야 근데 프로이센의 칼뱅파들 시각에서는 성공회는 대립교황세운 가톨릭처럼 보일듯

  • 19.03.07 14:12

    @심심타파이야 근데 지금 성공회의 모습이 감리교가 빠져나가서 가톨릭화 된거라는데

  • 19.03.08 10:22

    근데 저 국기에 삼색이 세지역을 상징한다는 거는 조금 아닌 것 같네요 체코슬로바키아 시절때부터 쓰인건데 아주 조금밖에 안남은 슐레지엔은 넣었는데 슬로바키아만 소외된 건데

  • 작성자 19.03.08 10:26

    저는 저책의 저자가 아니라 반박은 어렵지만 하나 확실한건 체코 대통령깃발에 그려진 문장이 실레지아 문장 옆에 체코 문장이 쓰이고 있긴하죠.

  • 뮤슨 책인가요? 재밌어보이네요

  • 작성자 19.03.11 09:59

    http://cafe.daum.net/Europa/LPSd/5615?svc=cafeapp

  • 19.03.11 19:19

    체코 국기는 원래 흰빨 조합으로 하려다가 폴란드 국기랑 똑같아져서 슬로바이카의 상징인 파란색 삼각형 하나 추가한거라고 들었는데 아닌가요?

  • 19.03.12 20:58

    백,청,적색은 슬라브 3색기에서 유래 했습니다. 당장 저 3색기를 기본으로 사용하는 나라는 러시아,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체코, 세르비아, 크로아티아가 있고 메케도니아, 몬테네그로,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불가리아, 폴란드 각자국기를 사용합니다. 범아프리카 기와 유래가 비슷하고 어찌보면 선배격이죠..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