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적천수의 내용은 아래 자료입니다
너무 단순하여 시결이라고도 합니다
시결가지고는 원문 자체를 해석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또한 사례명조 자체도 없습니다.
그래서 여러 주석서들이 등장했는데
대표적인 책이 임철초의 주석서이죠
중요한 사실은 적천수 자체에서는 격국을 활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언급한 내용이 없다는 사실입니다
적천수는 기국형상법을 강조한 책이지 격국법 용신을 핵심으로 주장한 적이 없습니다
즉 적천수원문으로만 보면 격국법 사용법이 없고 8격의 내용만 나열한 겁니다
그러하니 서락오 용신법이 적천수 용신법과 같다는 주장은 틀린 겁니다. 왜그런가하면 적천수는 격국법용신을 취급한 책이 아니니까요.
그러나 서락오 용신법=임철초 용신법은 가능합니다. 이 두 사람은 거의 용신법이 비슷합니다
그러하니 그 분들은 주석서를 쓴 사람들이므로
이상한 격국법을 창안했는데
서락오가 임철초 용신법을 보고 공부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서락오는 임철초의 주석서인 적천수천미를 공부하고
그게 적천수의 본래 뜻인지 착각을 하시는 겁니다. 실상은 임철초용신법이 서락오로 전승이 된 것입니다.
그러하니 후학들이
서락오용신법이 적천수천미와 비슷하다
이런 주장들이 생겨난 겁니다.
핵심은 저들이 주장하는 용신법이 적천수가 아니라 적천수천미라는 점입니다
다음 아래보면 팔격을 언급하는데 자평진전의 팔격과 전혀 다릅니다.
기준이 되는 8개 용신 자체가 다르죠.
그런데 무슨 용신법이 적천수격국과 자평진전 격국법이 같겠습니까? 그리고 또한 적천수원문에서는 격국 종류가 나열했을 뿐이고 그 사용법은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적천수 격국법을 이해하고 그 결과 자평진전 용신법의 사용법과 작천수의 용신법이 똑같다고 주장을 하겠습니까?
【原文】正財,偏財,正官,偏官,正印,偏印,食神,傷官是也。財官印綬分偏正。兼論食傷八格定。
정재,편재,정관,편관,정인,편인,식신,상관이 있다.재성,관성,인성은 정편(正偏)으로 구분하고 거기에 식신과 상관을 더하여 논하게 되면 여덟 개의 격이 정해진다.
적천수 원문 독음(滴天髓原文讀音)
제1편 통신론(通神論)
1.천도(天道)
欲識三元萬法宗先觀帝載與神功욕식삼원만법종선관제재여신공
2.지도(地道)
坤元合德機緘通五氣偏全定吉凶곤원합덕기함통오기편전정길흉
3.인도(人道)
戴天履地人爲貴順則吉兮凶則悖대천이지인위귀순즉길혜흉즉패
4.지명(知命)
要與人間開聾聵順悖之機須理會요여인간개농외순패지기수이회
5.이기(理氣)
理承氣行豈有常進兮退兮宜抑揚이승기행기유상진혜퇴혜의억양
6.配合(배합)
配合干支仔細詳定人禍福與災詳배합간지자세상정인화복여재상
7.천간(天干)
五陽皆陽丙爲最五陰皆陰癸爲至오양개양병위최오음개음계위지
五陽從氣不從勢五陰從勢無情義오양종기부종세오음종세무정의
甲木參天脫胎要火春不容金秋不容土갑목참천탈태요화춘불용금추불용토
火熾乘龍水宕騎虎地潤天和植立千古화치승룡수탕기호지윤천화식립천고
乙木雖柔刲羊解牛懷丁抱丙跨鳳乘猴을목수유규양해우회정포병과봉승후
虛濕之地騎馬亦憂藤蘿繫甲可春可秋허습지지기마역우등라계갑가춘가추
丙火猛烈欺霜侮雪能煅庚金逢辛反怯병화맹렬기상모설능단경금봉신반겁
土衆成慈水猖顯節虎馬犬鄕甲來成滅토중성자수창현절호마견향갑래성멸
丁火柔中內性昭融抱乙而孝合壬而忠정화유중내성소융포을이효합임이충
旺而不烈衰而不窮如有嫡母可秋可冬왕이불렬쇠이불궁여유적모가추가동
戊土固重旣中且正靜翕動闢萬物司命무토고중기중차정정흡동벽만물사명
水潤物生火燥物病若在艮坤怕沖宜靜수윤물생화조물병약재간곤파충의정
己土卑濕中正蓄藏不愁木盛不畏水狂기토비습중정축장불수목성불외수광
火少火晦金多金光若要物旺宜助宜幇화소화회금다금광약요물왕의조의방
庚金帶殺剛健爲最得水而淸得火而銳경금대살강건위최득수이청득화이예
土潤則生土乾則脆能嬴甲兄輸於乙妹토윤즉생토건즉취능영갑형수어을매
辛金軟弱溫潤而淸畏土之疊樂水之盈신금연약온윤이청외토지첩요수지영
能扶社稷能救生靈熱則喜母寒則喜丁능부사직능구생령열즉희모한즉희정
壬水通河能洩金氣剛中之德周流不滯임수통하능설금기강중지덕주류불체
通根透癸沖天奔地化則有情從則相濟통근투계충천분지화즉유정종즉상제
癸水至弱達於天津得龍而運功化斯神계수지약달어천진득룡이운공화사신
不愁火土不論庚辛合戊見火化象斯眞불수화토불론경신합무견화화상사진
8.지지(地支)
陽支動且强速達顯災祥양지동차강속달현재상
陰支靜且專否泰每經年음지정차전비태매경년
生方怕動庫宜開敗地逢沖仔細推생방파동고의개패지봉충자세추
支神只以沖爲重刑與穿兮動不動지신지이충위중형여천혜동부동
暗沖暗會尤爲喜彼沖我兮皆沖起암충암회우위희피충아혜개충기
旺者沖衰衰者拔衰神沖旺旺神發왕자충쇠쇠자발쇠신충왕왕신발
9.간지총론(干支總論)
陰陽順逆之說 洛書流行之用음양순역지설낙서유행지용
其理信有之也 其法不可執一기리신유지야기법불가집일
故天地順遂而精粹者昌고천지순수이정수자창
天地乖悖而混亂者亡천지괴패이혼란자망
不論有根無根불론유근무근
俱要天覆地載구요천부지재
天全一氣不可使地德莫之載천전일기불가사지덕막지재
地全三物不可使天道莫之容지전삼물불가사천도막지용
陽乘陽位陽氣昌最要行程安頓양승양위양기창최요행정안돈
陰乘陰位陰氣盛還須道路光亨음승음위음기성환수도로광형
地生天者天衰怕沖지생천자천쇠파충
天合地者地旺宜靜천합지자지왕의정
甲申戊寅眞爲殺印相生갑신무인진위살인상생
庚寅癸丑也坐兩神興旺경인계축야좌양신흥왕
上下貴乎情協상하귀호정협
左右貴乎同志좌우귀호동지
始其所始終其所終시기소시종기소종
富貴福壽永乎無窮부귀복수영호무궁
10.형상(形象)
兩氣合而成象象不可破也양기합이성상상불가파야
五氣聚而成形形不可害也오기취이성형형불가해야
獨象喜行化地而化神要昌독상희행화지이화신요창
全象喜行財地而財神要旺전상희행재지이재신요왕
形全者宜損其有餘형전자의손기유여
形缺者宜補其不足형결자의보기부족
11.방국상(方局上)
方是方兮局是局方要得方莫混局방시방혜국시국방요득방막혼국
局混方兮有純疵行運喜南或喜北국혼방혜유순자행운희남혹희북
12.방국하(方局下)
若然方局一齊來須是干頭無反覆약연방국일재래수시간두무반복
成方干透一元神生地庫地皆非福성방간투일원신생지고지개비복
成局干透一官星左邊右邊空碌碌성국간투일관성좌변우변공녹록
13.팔격(八格)
財官印綬分偏正兼論食傷八格定재관인수분편정겸론식상팔격정
影響遙繫旣爲虛雜氣財官不可拘영향요계기위허잡기재관불가구
14.체용(體用)
道有體用不可以一端論也도유체용불가이일단론야
要在扶之抑之得其宜요재부지억지득기의
15.정신(精神)
人有精神不可以一偏求也인유정신불가이일편구야
要在損之益之得其中요재손지익 득기중
16.월령(月令)
月令乃提綱之府譬之宅也월령내제강지부비지택야
人元爲用事之神宅之定向也不可以不卜인원위용사지신택지정향야불가이불복
17.생시(生時)
生時乃歸宿之地譬之墓也생시내귀숙지지비지묘야
人元爲用事之神墓之定方也不可以不辨인원위용사지신묘지정방야불가이불변
18.쇠왕(衰旺)
能知衰旺之眞機其於三命之奧思過半矣능지쇠왕지진기기어삼명지오사과반의
19.중화(中和)
旣識中和之正理而於五行之妙有全能焉기식중화지정리이어오행지묘유전능언
20.원류(源流)
何處起根源流到何方住하처기근원유도하방주
機括此中求知來亦知去기괄차중구지래역지거
21.통관(通關)
關內有織女關外有牛郞관내유직녀관외유우랑
此關若通也相邀入洞房차관약통야상요입동방
22.관살(官殺)
官殺混雜來問我混雜有可有不可관살혼잡래문아혼잡유가유불가
23.상관(傷官)
傷官見官果難辨官有可見不可見상관견관과난변관유가견불가견
24.청기(淸氣)
一淸到底有精神管取生平富貴眞일청도저유정신관취생평부귀진
澄濁求淸淸得去時來寒谷也回春징탁구청청득거시래한곡야회춘
25.탁기(濁氣)
滿盤濁氣令人苦 一局淸枯也苦人만반탁기영인고일국청고야고인
半濁半淸猶是可多成多敗度晨昏반탁반청유시가다성다패도신혼
26.진신(眞神)
令上尋眞聚得眞假神休要亂眞神영상심진취득진가신휴요난진신
眞神得用生平貴用假終爲碌碌人진신득용생평귀용가종위녹록인
27.가신(假神)
眞假參差難辨論不明不暗受迍邅진가참치난변론불명불암수둔전
提綱不與眞神照暗處尋眞也有眞제강불여진신조암처심진야유진
28.강유(剛柔)
柔剛不一也不可制者 引其性情而已矣유강불일야불가제자인기성정이이의
29.순역(順逆)
順逆不齊也不可逆者順其氣勢而已矣순역부제야불가역자순기기세이이의
30.한란(寒暖)
天道有寒暖發育萬物人道得之不可過也천도유한란발육만물인도득지불가과야
31.조습(燥濕)
地道有燥濕生成品彙人道得之不可偏也지도유조습생성품휘인도득지불가편야
32.은현(隱顯)
吉神太露起爭奪之風길신태로기쟁탈지풍
凶物深藏成養虎之患흉물심장성양호지환
33.중과(衆寡)
强衆而敵寡者勢在去其寡강중이적과자세재거기과
强寡而敵衆者勢在成乎衆강과이적중자세재성호중
34.진태(震兌)
震兌主仁義之眞機勢不兩立而有相成者存진태주인의지진기세불양립이유상성자존
35.감리(坎離)
坎離宰天地之中氣成不獨成而有相持者在감리재천지지중기성불독성 이유상지자재
제2편육친론(六親論)
1.부처(夫妻)
夫妻因緣宿世來喜神有意傍天財부처인연숙세래희신유의방천재
2.자녀(子女)
子女根枝一世傳喜神看與殺相連자녀근지일세전희신간여살상연
3.부모(父母)
父母或隆與或替歲月所關果非細부모혹융여혹체세월소관과비세
4.형제(兄弟)
兄弟誰廢與誰興提用財神看重輕형제수폐여수흥제용재신간중경
5.하지장(何知章)
何知其人富財氣通門戶하지기인부재기통문호
何知其人貴官星有理會하지기인귀관성유이회
何知其人貧財神反不眞하지기인빈재신반부진
何知其人賤官星還不見하지기인천관성환불현
何知其人吉喜神爲輔弼하지기인길희신위보필
何知其人凶忌神輾轉攻하지기인흉기신전전공
何知其人壽性定元神厚하지기인수성정원신후
何知其人夭氣濁神枯了하지기인요기탁신고료
6.여명장(女命章)
論夫論子要安祥氣靜和平婦道章논부논자요안상기정화평부도장
三奇二德虛好語咸池驛馬半推詳삼기이덕허호어함지역마반추상
7.소아(小兒)
論財論殺論精神四柱和平易養成논재논살논정신사주화평이양성
氣勢攸長無斲喪殺關雖有不傷身기세유장무착상살관수유불상신
8.재덕(才德)
德勝才者局合君子之風덕승재자국합군자지풍
才勝德者用顯多能之象재승덕자용현다능지상
9.분울(奮鬱)
局中顯奮發之機者神舒意暢국중현분발지기자신서의창
象內多沈埋之氣者心鬱志灰상내다침매지기자심울지회
10.은원(恩怨)
兩意情通中有媒雖然遙立意尋追양의정통중유매수연요립의심추
有情却被人離間怨起恩中死不灰유정각피인리간원기은중사불회
11.한신(閑神)
一二閑神用去麽不用何妨莫動他일이한신용거마불용하방막동타
半局閑神任閑着要緊之場作自家반국한신임한착요긴지장작자가
出門要向天涯遊何事裙Ꟃ恣意留출문요향천애유하사군차자의류
不管白雲與明月任君策馬朝天闕불관백설여명월임군책마조천궐
12.종상(從象)
從得眞者只論從從神又有吉化凶종득진자지론종종신우유길화흉
13.화상(化象)
化得眞者只論化化神還有幾般話화득진자지론화화신환유기반화
14.가종(假從)
眞從之象有幾人假從亦可發其身진종지상유기인 가종역가발기신
15.가화(假化)
假化之人亦多貴孤兒異姓能出類가화지인역다귀고아이성능출류
16.순국(順局)
一出門來只見兒吾兒成氣構門閭일출문래요견아오아성기구문려
從兒不管身强弱只要吾兒又得兒종아불관신강약지요오아우득아
17.반국(反局)
君賴臣生理最微兒能救母洩天機군뢰신생이최미아능구모설천기
母慈滅子關頭異夫健何爲又怕妻모자멸자관두이부건하위우파처
18.전국(戰局)
天戰猶自可地戰急如火천전유자가지전급여화
19.합국(合局)
合有宜不宜合多不爲奇합유의불의합다불위기
20.군상(君象)
君不可抗也貴乎損上以益下군불가항야귀호손상이익하
21.신상(臣象)
臣不可過也貴乎損下以益上신불가과야귀호손하이익상
22.모상(母象)
知慈母恤孤之道始有瓜瓞無疆之慶지자모휼고지도시유과질무강지경
23.자상(子象)
知孝子奉親之方始克諧成大順之風지효자봉친지방시극해성대순지풍
24.성정(性情)
五氣不戾性情中和오기불려성정중화
濁亂偏枯性乖情逆탁란편고성괴정역
火烈而性燥者遇金水之激화열이성조자우금수지격
水奔而性柔者全金木之神수분이성유자전금목지신
木奔南而軟怯金見水而流通목분남이연겁금견수이유통
最拗者西水還南至强者東火轉北최요자서수환남지강자동화전북
順生之機遇擊神而抗순생지기우격신이항
逆生之序見閑神而狂역생지서견한신이광
陽明遇金鬱而多煩양명우금울이다번
陰濁藏火包而多滯음탁장화포이다체
陽刃局 戰則逞威弱則怕事양인국전즉영위 약즉파사
傷官格 淸則謙和濁則剛猛상관격청즉겸화 탁즉강맹
用神多者情性不常용신다자정성불상
時支濁者虎頭蛇尾시지탁자호두사미
25.질병(疾病)
五行和者一世無災오행화자일세무재
血氣亂者生平多疾혈기난자생평다질
忌神入五臟而病凶기신입오장이병흉
客神遊六經而災小객신유육경이재소
木不受水者血病목불수수자혈병
土不受火者氣傷토불수화자기상
金水傷官 寒則冷嗽熱則痰火금수상관한즉냉수열즉담화
火土印綬 熱則風痰燥則皮痒화토인수열즉풍담조즉피양
論痰多木火生毒鬱火金논담다목화생독울화금
金水枯傷而腎經虛水木相勝而脾胃泄금수고상이신경허수목상승이비위설
26.출신(出身)
巍巍科第邁等倫一個元機暗裏存외외과제매등륜일개원기암리존
淸得盡時黃榜客雖存濁氣亦中式청득진시황방객수존탁기역중식
秀才不是塵凡子淸氣還嫌官不起수재불시진범자청기환혐관불기
異路功名莫說輕日干得氣遇財星이로공명막설경일간득기우재성
27.지위(地位)
臺閣勛勞百世傳天然淸氣發機權대각훈로백세전천연청기발기권
兵權獬豸弁冠客刃殺神淸氣勢特병권해치변관객인살신청기세특
分藩司牧財官和淸純格局神氣多분번사목재관화청순격국신기다
便是諸司幷首領也從淸濁分形影변시제사병수령야종청탁분형영
28.세운(歲運)
休囚係乎運尤係乎歲휴수계호운우계호세
戰沖視其孰降和好視其孰切전충시기숙항화호시기숙절
何爲戰何爲沖何爲和何爲好하위전하위충하위화하위호
29.정원(貞元)
造化起於元亦止於貞조화기어원역지어정
再肇貞元之會胚胎嗣續之機재조정원지회배태사속지기
첫댓글 우와... 잘된 정리 입니다.
👍 이네요.
저는 투파론 기반이라, 고대 역법과는 사뭇 다르지만,
상담 하다 보면, 자평 적천수의 지적들을 간간히 혼용하지요.
근데, 현실적으로 그 이론들로 통변이 잘안되어 저나름 관법이 생겼네요.
원래 이해는가도 못 쓰는 사람있는거처럼
제가 못 쓰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