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읍에서는 맑은연천21 과 연계하여 내고장알리기 사업을 추진중이다.
휴일 늘어나는 등산인구를 소화하기 위해서는 연천읍에서 고대산 이외에
또 하나의 명산을 널리 알릴 필요성이 있었다.
그중 하나가 연천읍 소재 성산인데
맑은연천21에서 팜플렛 작업을하고 (성산에 대한 원천적인 노하우)
연천읍에서는 책을 인쇄하고 배포하기로 한것.
책출간에 맞춰 미리 등산지도를 제작해 보았다.
성산을 10배 즐기는 방법
성산을 처음찾는 사람들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가야할까 고민이 많다
성산은 코스 어디를 선택하든 4시간정도니 큰 부담은 없다.
제1코스에서 -성산 - 4코스
성산 완등코스로 제일 많이 이용한다.
동막1리마을회관에서 -제4코스인 자라바위로 하산한다.
버스는 동막1리마을까지 들어가기보다는 성산가는 내산로 도로에서 하차하여 5분정도
걸어서 들어가면 된다.
* 승용차는 동막1리 마을회관에 주차 가능 * 4대정도
총소요시간 ; 휴식시간까지 4:30정보면 충분하다
볼거리: 태실- 범바위 - 거북바위 - 성재절벽 - 성산 - 남근석 - 병풍바위
제1코스에서 - 성산 - 3코스
시산제준비나 버스를 가지고 오는 분들이 많이 이용
동막1리마을회관에서 하차하고 3코스 바로 옆에 있는 해태상회에서 버스가 주차하면 된다.
볼거리: 태실- 범바위 - 거북바위 - 성재절벽 - 성산 - 남근석- 하산길에 용현동굴, 수정폭포
제1코스 - 성산 - 재인폭포
이 코스는 근래에 알려졌다. 산행후 재인폭포에서 발 담그고 있으면 피로가 풀린다.
제1코스에서 출발하여 하산후에 재인폭포를 이용하려면 토,일요일만 개방하니
등산하는 분들은 이 점을 유의하여 참고 바람
단 7.8월 휴가철에는 재인폭포 상시개방
성산 정상에서 재인폭포 이정표 방향을 따라가면 군인이 설치한 경고팻말이 있다.
경고팻말을 무시하고 직진하면 헬기장이 있는데 여기가 재인폭포, 지장산의 갈림길이다.
볼거리: 태실- 범바위 - 거북바위 - 성재절벽 - 성산 - 헬기장에서 흐르는 한탄강을 내려보는 경치 -
재인폭포 - 한탄강댐 건설현장.
3코스에서 - 성산 - 4코스
산행초보자가 많거나 또는 짧은시간에 산행을 끝내려는 사람들이 이용한다.
볼거리: 용현동굴- 남근석 - 성산 - 병풍바위
성산에서 - 지장산가는 길은 등산로가 없음
사진을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 성산에 대한 모든것은 맑은연천21에서 직접 답사후 제작한 것입니다.

위의 지도를 한눈에 보기좋도록 등산시간를 표시한 지도임
성산은
동막1.2리 두개의 마을을 경계에 두고 있음.
동막리(東幕里)
본래 연천현 현내면의 지역으로, 조선 초부터 분청사기, 백자, 옹기 등을 굽던
요업(窯業)이 번창했던 곳이 되어 '독막(陶幕, 甕幕)'으로 불리워오다
차츰 어휘가 변하여 '동막'으로 굳어져('독'뒤에 ㄴ.ㅁ의 음이 따라오면 '동'으로 발음되는 현상에 의해)
한자표기로 '東幕里'라 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군내면에 편입되었고
1945년 8·15 광복 직후에 3·8선 북쪽에 위치하여 공산 치하에 놓였다가, 6 ·25가 끝난 후인
1954년 11월 17일 "수복지구 임시 행정조치법"에 의거 행정권이 수복되어 오늘에 이른다.
현재 동막1.2리 2개의 자연마을로 4개 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성산 :
성산은(520m) 연천읍 동막1.2리에 소재해있는 산으로
연천에서는 고대산 다음으로 잘 알려져 있는 산이다.
삼면이 천연절벽으로 이루어져 외적의 침입시에 수성하기가 쉽고
산 정상에는 우물이 있었다고 전한다.
성산은 "고성" "성령" "보개산고성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후삼국시대 궁예가 철원에 도읍을 정하고
이곳에 군사를 파견해 수성한것으로 보이며 지정학적인 면과
축조기법을 볼때 매우 뜻 있고 의미있는 곳이다.
고려때는 몽고, 거란족의 싸움을 피해 주민들이 대피성으로 이용했으며
병자호란때 연천현감 이창조와 읍민들이 단결하여 청나라를 물리친 역사의 현장이기도 하다.
#########################################################
하기를 클릭하면 사진을 볼수있음
############################################
마을회관 제1코스에서 -성산 - 4코스
2010.3.16일 동막리 마을복지회관 준공
태실 :
둥근뚜껑의 화강암으로 지름이 80cm이다. 이미 도굴된 상태라 태실의 주인은 알수없는데
태실은 완실에서 태를 묻던곳으로서 태는 국운과 관련있다고 여겨 소중히 다뤘으며 관원은
봄, 가을에 두번 태실의 유, 무를 보고하여 훼손시에는 국법에 준하여 엄벌을 처햇다고 함.
범바위
풍혈 서쪽에 있는 바위. 부엉이집이 있다 하여 '벙바위'로도 불리운다.
갈림길(1-2코스) 어둠골
2코스 출발지점(많이 이용하지 않는다)
362봉
성산가는 봉우리에서 통현리 등산로 갈림길
거북바위
바위전체가 거북이 같이 생겼음
450봉
성산가는길 중간의 봉우리 (여러사람이 쉬기가 좋다)
성산
성산은(520m) 연천읍 내산리에 소재해있는 산으로
지역에서 고대산 다음으로 잘 알려져 있는 산이다.
또한 사방이 천연절벽으로 이루어져 외적의 침입에도 수성하기가 쉽고
산 정상에는 예전에 우물이 있었다 한다.
성산은 후삼국시대 궁예가 철원에 도읍을 정하고
이곳에 군사를 파견해 수성한것으로 보이며 지정학적인 면과
축조기법을 볼때 매우 뜻있고 의미있는 곳이다.
고려때는 몽고, 거란족의 싸움을 피해 주민들이 대피성으로 이용했으며
병자호란때 연천현감 이창조와 읍민들이 단결하여 청나라를 물리친 역사의 현장이기도 하다.
남근석
성산바로 아래에 잇으며 남성의 성기같이 생긴 바위
갈림길(3-4코스)
3코스해태의집 - 4코스 자라바위 갈림길
병풍바위
4코스 자라바위쪽으로 가다보면 큰 병풍을 둘러친것 같은 바위가 있다.
대개는 병풍바위 아래길로 가지만 병풍바위를 타고 오르면 풍경과 풍관이 좋다.
위험하지 않으며 초보자도 병풍바위를 타고 오를수 있다.
4코스 자라바위
성산 등산로에 있는것이 아니고 내산리 개울가에 자리잡은 곳이다.
하산후 차도를 건너가면 자라바위가 나오는데 예전 자라가 많이 나왔다고 해서 자라바위다.
#################################################################
2코스 출발기점 (풍혈) 제 2코스에서 - 성산
풍혈(風穴) : 동막동 남쪽에 있는 천연 바위 굴. 전체 깊이 16m. 높이 2,2m 규모로 무더운
여름철에는 얼음이 있고 겨울철에는 따뜻한 김이 나는 기현상을 보이는 곳이다.
현재 이곳은 무슨연유인지 무너져 내렸는데 지금은 이굴이 없지만 여름철에 땅속에 얼음이 있다
굴이 무너져 내리기 전 일제 강점기 때에는 냉동시설이 불비했던 관계로 이곳에다 잠종(蠶種) 1,000여매를 저장했다
갈림길 ( 성산-1코스)
어둠골에서 20분정도 오르면 성산오르는 길 또는 1코스인 동막1리로 하산하는 길이다.
##############################################################
3코스 출발기점 (해태상회) 제 3코스에서 - 성산
수정폭포, 용현동굴
3코스에서 40분정도 오르다보면 우측계곡에 자그마한 폭포와 큰 동굴이 있다.
갈림길 (4코스 -성산)
성산오르는길 - 4코스하산길의 교차지점
##################################################################
재인폭포 제1코스에서 - 재인폭포
고문리는 연천현 현내면의 무수동리(無愁洞里) 지역인데, 조선 고종 32년(1895) 지방관제 개정에 의하여
무수동리를 고문리로 개칭하여 군내면에 편입되었으나, 1945년 8· 15 광복과 동시에 3·8선 북쪽에 위치하여
공산 치하에 놓였다가, 6·25가 끝난 후인 1954년 11월 17일 "수복지구 임시 행정조치법"에 의거
행정권이 수복되어 오늘에 이른다. 현재 2개의 행정리, 13개 반, 3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지만
고문2리는 한탄강댐 건설로 인하여 2012년 이전에 없어진다.
1코스에서 - 성산까지는 똑같다.
성산
이전에 설명
갈림길 재인폭포
1.2코스 - 재인폭포 갈림길
헬기장
지장봉 -재인폭포로 내려서는 갈림길
군인들이 비상시 헬기를 착륙하기 위해 세멘트로 만들었다.
재인폭포, 고문1리 갈림길
고문1리와- 성산으로 가는 교차지점
##########################################
통현1리 출발기점
통현1리에서 -고문리로가는길 왼쪽에 이금식품이 있다.
이곳에서 200m를 더 가면 군인훈련장 공터가 나온다.
군인훈련장 공터
이곳에서 부터 등산을 시작하면 성산에 갈수 있지만 길이 분명하지 않으므로
주의요함
범바위
통현리에서 성산을 가다보면 거대한 바위가 나오는데 바위가 마치 범이 누워있는것 같다하여 붙인 지명이름
362봉
성산가는 길 -돔막리쪽의 1.2코스와의 교차지점
#####################################################
하기는 성산지명에 링크를 걸기위한 사진


















첫댓글 지장산으로 갈수는 있나요?.............
등산로 없읍니다. 성산에서 지장산가려면 길방향을 잘 파악하여야 하고 시야확보 때문에 낙엽이 진 봄이나 가을이 좋습니다
귀한정보에 감사 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