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시우..?
오늘부터 차근차근 제가 이제껏 회사에서 일한분야에 대해서
설명을 하려하우..혹시 DSL을 안들어 본사람 있수?
엇....저기 손을 드는 사람이 있네유.
그럼 더 쉽게 ...ADSL,VDSL을 안들어 본사람은 있수?
아마 없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자..ADSL,VDSL은 모두다 xDSL의 한분야 입니다.
DSL이란 Digital Subscriber Line 의 약자로 우리말로 옮기면
음....디지털 가입자 회선정도로 풀이가 되겠지요.
즉 작은 로컬네트워크 사업체 및 일반가정에게 빠르고 항상 접속되어있는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어떻게 서비스를 제공을 할까요.?
서비스공급(SP)업체들은 DSL장비를 현지 Central Office (CO)에 설치하고 DSL모뎀을 사용자의 장소에 설치합니다. 이 DSL모뎀은 현지 전화선을 통하여 사용자의 컴퓨터와 서버를 연결을 하죠. 접속은 DS-3S를 통하여 SP의 CO와 CO안에 있는 DSLAM으로 만들어지며 DSLAM은 회로를 모아서 uplink로 해서 네크워크의 핵심부분으로 연결됩니다. DSL의 연결에 대한 인터넷서비스공급자로서 SP는 이 시점에서 DSL로 인터넷에 연결합니다.
자 조금 어려운 설명이었죠?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집에서는 ADSL,VDSL모뎀이 있습니다.
모뎀에는 전화선이 물려있죠? 신호는 전화선을 타고 다시 장치라는 놈한테 열심히 달려갑니다. 물론장치역시 모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지 여러개의 모뎀을 연결시킨다는게 다른점이지만요..
이 장치는 100Mb나 그이상의 집선능력을 가지고 다시 상위에 있는
스위치라는 장치로 또 연결됩니다. 그위로는 바로 백본망에 연결될수도
있고 다시 다른 스위치로도 연결될 수도 있습니다.
이런정도로만 아시면 될겁니다.
누가 서비스를 공급하는가? 현재 우리나라에는 서비스 공급업체가 매우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KT,하나로 등이 있겠지만 흔히 케이블모뎀이라고
불리는 넘도 있는데 역시 이넘도 DSL을 사용하는 넘입니다. 케이블 TV업체도 서비스를 공급하니까 매우 많겠죠?
끊김이 없는 연결인가,아니면 시간제?
DSL은 가입자 와 DSLAM간의 연결이 한번 연결되면 물리적인 이상상태가
발생되지 않는한 계속 연결되어 있습니다. 저는 이상태를 Link가 잡혔다
라고 말합니다.
DSL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대체 어떤 종류가 있길래..요놈을 xDSL이라고 부를까...
1.IDSL
ISDN Digital Subscriber Line,
전송속도 128 Kbps,
사용거리 :18,000 feet on 24 gauge wire
특징 : ISDN BRI 서비스와 비슷하지만 데이터만 지원됨 (동일한 회선에 음성은 안됨)
2.CDSL
Consumer DSL from Rockwell
하향속도 1 Mbps ; 상향속도는 이보다 느림
사용거리 : 18,000 feet on 24 gauge wire
특징 : DSL Lite와 비슷; 무분할기 서비스
3.HDSL
High bit-rate Digital Subscriber Line
성능 : 1.544 Mbps duplex on two twisted-pair lines; 2.048 Mbps duplex on three twisted-pair lines
사용거리 : 12,000 feet on 24 gauge wire
특징 및 용도 : 서버와 전화국 간의 T-1/E1 서비스; WAN, LAN, 서버 액세스
4.SDSL
Symmetric DSL
성능 : 1.544 Mbps duplex (U.S. and Canada); 2.048 Mbps (Europe) on a single duplex line downstream and upstream
사용거리 : 12,000 feet on 24 gauge wire
특징 : HDSL과 동일하나, 오직 한 회선의 연선만이 필요함
5.ADSL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성능 : 하향속도 1.544 ~ 6.1 Mbps ; 상향속도 16 ~ 640 Kbps
(현재 이속도는 변하고 있습니다 . 위의 속도는 Payload Rate를 말하며
최고 속도는 현재 하향속도 20M(ADSL2),16M(ADSL+) 정도까지 됩니다)
사용거리 : 18,000 feet에서 1.544 Mbps ; 16,000 feet에서 2.048 Mbps ; 12,000 feet에서 6.312 Mpbs ; 9,000 feet에서 8.448 Mbps
인터넷 및 웹 액세스, 동영상, VOD, 원격지에서 LAN에 접속하는 등의 용도에 사용
6.RADSL
Rate-Adaptive DSL from Westell
성능: 회선상태에 따라, 하향속도 640 Kbps ~ 2.2 Mbps ; 상향속도 272 Kbps ~ 1.088 Mbps
특징: ADSL과 유사
7.UDSL
Unidirectional DSL유럽의 한 회사가 제안함
특징 : HDSL과 유사,거의 사용안함(ㅡ.ㅡ;)
8.VDSL
Very high Digital Subscriber Line
성능 : 하향속도 12.9 ~ 52.8 Mbps ; 상향속도 1.5 ~ 2.3 Mbps ;하향속도 1.6 ~ 2.3 Mbps( 현재 이넘은 제일 이슈로 떠오르는 넘인데 제가 지금
하고 있는 넘이기도 합니다. 이넘땜시 죽겠숩니다..ㅠ.ㅠ 하여간 이넘은
지금 Up/down 최대100Mb까지 외국회사에서 개발해 놨습니다. 그런데
거리가 너무 짧아서 100Mb까지는 서비스가 안될거 같구요,하향 50Mb짜리를 업체끼리 경쟁 붙어서 개발하는 중입니다. 약 700M까지 50M가 나온다고 생각하시면 될겁니다.1Km에서는 약 20M정도가 되구요.)
거리: 4,500 feet at 12.96 Mbps; 3,000 feet at 25.82 Mbps; 1,000 feet at 51.84 Mbps
특징 : ATM 네트웍 Fiber to the Neighborhood
자..이정도가 되겠는데요. 궁금하신점 있습니까?
대략적으로 알아봤는데욤..
우리가 많이 쓰는 UTP-5 케이블 아시죠? 일명 LAN선 이라고도 하는넘
이넘은 최대 전송거리가 300M인가 100M인가 (가물가물) 정도 하는데
아니다 100M가 맞을겁니다. 이에 비해서 ADSL은 전화선(구리구리한 구리선)을 통해서 4Km까지 약 1.5~2M의 전송속도를 제공하니까...정말좋은 넘이죠?
처음부터 넘 마니 알려고 하면 머리아프니까 오늘은 이쯤에서 그만하죠
자 어떠셨나요? 많이 도움이 되셨는지 궁금하네요..
다음시간에는 각각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을 한번 더하구요 T1/E1에 대해서도 개략적으로 말씀드리죠...그리고 IP/ATM에 대해서도 말씀드릴수 있을런지 모르겠네요..머 안되면 다음시간에...ㅎㅎㅎ
첫댓글 쩝...쓰고 나서 보니까 좀 허졉한 느낌이 나네..에이..
수거 하셨습니다.
오아~ 잘 읽었습니다^^ 히히 잼따
형 잘 읽어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