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도자료 |
?도시철도팀 팀 장 윤 왕 로 사무관 박 병 언 ?☎ 02-2110-8186~8 ?byungun21@moct.go.kr | |
?10월 17일 배포(총 9 매) |
우이-신설(서울), 전주시 경량철도 건설계획 확정
□ 건설교통부는 17일 우이-신설(서울) 및 전주시에 경량전철 건설을 위한『도시철도기본계획』을 확정?발표하였다.
□『우이-신설 경량전철』건설사업은 서울시 우이동에서 미아동과 정릉을 거쳐 지하철 1호선 신설동역을 연결하는 10.7km의 노선으로 13개소의 정거장이 들어서며 7,300억원이 투입되어 2011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동 사업에 도입되는 차량은 친환경적이고 무인 자동운전이 가능한 첨단 AGT(Automated Guideway Transit) 시스템이 도입되며, 전구간 지하로 건설된다.
우이-신설 경량전철사업이 완공되면, 서울의 대표적인 대중교통 취약지역중 하나인 미아?삼양 및 정릉지역의 교통난이 해소되고 개발중인 길음 및 미아 뉴타운 지역의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전주 경량전철』건설사업은 전주시내 간선도로를 따라 “?"자형으로 연결하는 2개 노선 24.3km에 4,700억원을 투입하여 2011년에 완공할 예정이다.
- 1단계〔A 노선〕은 전라선 송천역에서 종합경기장사거리 및 호남객사를 거쳐 삼천농협공판장을 연결하는 14.19km의 노선(정거장 26개소)으로 2008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 2단계〔B 노선〕은 전라선 전주역에서 빙상경기장 및 평화광장을 거쳐 전주교도소를 연결하는 10.10km의 노선(정거장 16개소)으로 2011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전주 경량전철 사업에 적용되는 차량시스템은 과거 노면전차라 일컬어졌던 시스템과 유사한 수단으로 도로상에 궤도를 건설하여 운행하는 국내 최초의 노면 경전철이다.
본 시스템은 별도의 驛舍설치 없이 노면에서 승하차 하기 때문에 이용이 편리하고, 사업비가 km당 200억원 수준으로 저렴하여 유럽이나 일본 등 선진국에서 널리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
지방도시로선 처음으로 도입되는 노면전차형『전주시 경량전철』은 전라선 중간역인 전주역과의 연계를 통해 철도교통의 활성화는 물론, 전주시가 선진교통도시로서 크게 부각될 전망이다.
□ 본 기본계획의 확정에 따라 향후 해당 지자체에서는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민자유치를 통해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서울 우이-신설 도시철도(경량전철) 노선도
전주시 도시철도(경량전철) 노선도
참고자료 1 |
우이-신설(서울) 경전철 사업내용
1. 사업개요
○ 구간(km) : 우이동 ~ 성신여대입구역(4호선) ~ 보문역(6호선) ~ 신설동역(1호선, 2호선 성수지선), 총 10.72km
○ 정거장수 : 총 13개소(환승 3개소)
○ 사업기간 : 2005년 ~ 2011년
○ 사 업 비 : 7,307억원 (2004년 불변가)
2. 수송수요 전망
구 분 |
2011년 |
2021년 |
2031년 |
2040년 |
1일 (승차기준, 인/일) |
113,839 |
127,169 |
138,099 |
142,137 |
첨두수요(인/시) |
15,824 |
17,677 |
19,196 |
19,757 |
첨두시 최대재차(인/시) |
8,083 |
9,029 |
9,805 |
10,092 |
3. 차량시스템
○ 차량계획 : 완전 무인자동운전, 철제/고무차륜 경량전철(2량 1편성)
○ 차량기지 : 노선시점부(서울 우이동)에 지하차량기지 계획
4. 운영계획
ㅇ 2011년 첨두시 최소운전시격 : 1.6분
ㅇ 2040년 첨두시 최소운전시격 : 1.3분
5. 재원조달계획
ㅇ 민간자본을 유치하여 재원조달
ㅇ 사업의 수익성 등을 고려하여 민간자본이외에는 정부에서 재정지원
참고자료 2 |
전주시 경량전철 사업내용
1. 사업개요
○ 사업규모 : 24.29km
- A-Line : 14.19km (전라선 송천역 ~ 삼천농협공판장)
- B-Line : 10.10km (전라선 전주역 ~ 평화3택지)
○ 정거장수 : 42개소(환승 2개소)
- A-Line : 26개소, B-Line : 16개소
○ 사업기간 : 2005년 ~ 2011년
○ 사 업 비 : 4,671억원
2. 수송수요 전망
구 분 |
2008년 |
2010년 |
2016년 |
2021년 |
증가율 | |
1일 (인/일) |
A-Line |
73,320 |
84,523 |
106,186 |
119,366 |
3.82% |
B-Line |
|
69,153 |
86,148 |
97,665 |
3.18% |
3. 차량시스템
ㅇ 차량계획 : 노면 경전철로 70% 저상형, 이중굴절 시스템
ㅇ 차량기지 : 전북 전주시 삼천동 2가(전주박물관 앞)
4. 운영계획
○ 개통년도 최소운전시격 : A-Line(‘08년) 8.0분, B-Line(’10년) 9.5분
○ 목표연도 최소운전시격 : A-Line(‘28년) 4.5분, B-Line(’28년) 5.5분
5. 재원조달계획
ㅇ 민간자본을 유치하여 재원조달
ㅇ 사업의 수익성 등을 고려하여 민간자본이외에는 정부에서 재정지원
참고자료 3 |
? "노면경전철" 이란 ? |
○ 유럽에서는 “Tram(트램)”, 일본에서는 “노면전차”라 칭함.
- 도로중앙에 철로(궤도)를 설치하여 고정된 구간을 운행하며, 동력은 지상에 설치는 전력선에서 750볼트의 전기를 이용함.
※ 우리나라에서는 60년대 후반까지 서울의 서대문과 종로사이를 운행했음
? “Tram(트램)”, “노면전차”의 장점 |
○ 이용편리성 측면에서 아주 우수함.
- 노면경전철(Tram)의 실내바닥이 저상형이므로 도로변 人道에서 수평으로 승하차가 가능하여 노약자, 주부, 학생, 어린이, 휠체어 이용 장애자 분들이 아주 쉽게 타고 내리기도 하고, 심지어 "자전거"나 "유모차"를 갖고 승차하기도 함
- 또한, 시내버스나 택시등과의 환승이 노면에서 쉽게 이루어짐.
※ 계단이나 엘리베이트, 에스카레이트 등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교통약자의 이용에 편리함
○ 저렴한 사업비 및 운영비
- 건설비는 지하철(800~900억원/km)에 비해 1/4 수준(200억원/km)
- 운영비는 驛舍가 없기 때문에 지하철에 1/10 수준으로 저렴
? 도로를 점용함으로서 예상되는 점 |
○ 승용차 이용자의 불편 예상
- 노면경전철은 기존 도로상의 2개 차로를 점유하여 운행하기 때문에 좁아진 경전철 운행도로를 일반 차량들이 이용하게 된다면 도로이용이 불편해지나 노면경전철을 이용하는 대다수의 시민 특히 교통약자들은 지금의 버스보다도 더 빠르고 편안하게 이용을 할 수가 있음
- 그러나, 국내 첫 노면경전철 사업이므로 해당 지자체의 적극적 홍보와 강력한 대중교통 우선정책 시행이 필요함
※ 현재, 서울에서 운영되고 있는 중앙버스전용차로 운영개념과 동일
자동차 이용(수요)억제 정책이 도시교통정책의 일반적 경향임
○ 노면 공유에 따른 기존 운수업계의 반발 예상
- 지하철 운행노선과 시내버스노선이 경합 상태에 있는 것과는 달리 시내버스 노선조정을 통해 기능적으로 상호 보완할 것임
- 또한, 대중교통의 정책방향이 기존 운수업계의 원가대비 적자부분을 보전하는 준공영제(서울시 및 광역시 시행)로 변화됨에 따라 지방대도시들도 향후 시행될 예정으로 다른 교통수단의 도입여부와는 별도로 지원받음으로 전주시관내 운수업계의 동의가 있었음
※ 선진국 운영사례와 운행조감도
대중교통전용구간을 운행하는 노면경전철(Tram)
다양한 노선의 Tram과 휠체어 이용자의 모습
전주도심 운행조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