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를 하는데 있어서 문장은 가장 중요한 부분중의 하나 입니다. 그 문장을 결정 하는것이
((자동사 -- 완전자동사, 불완전 자동사 타동사 -- 완전타동사, 불완전 타동사 )) 이것들이 문장을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동사들의 형태입니다. 이것들 을 우리는 문장의 5형식’이라고 합니다.
자동사와 타동사 정의
영어 문장의 짜임새
문장은 동사의 종류에 따라 짜임새가 결정됩니다. 영어에서 동사는 5종류로 나누어지므로
문장도 5종류로 나누어집니다. 이것을 ‘다섯 가지 기본 문형’ 또는 ‘문장의 5형식’이라 합니다.
그러면 문장의 형식으로 들어가기 전에 동사를 5가지로 분류해 볼까요?
1) 자동사(自動詞 Intransitive Verb)
‘자동사(自 스스로 자 動 움직일 동 詞 말씀 사, Intransitive [intrǽnsətiv 인트랜서티브])’는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은 동사입니다.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자동사는 ‘스스로 동작하는 말’입니다.
자동사는 주어가 행하는 동사의 작용이 다른 것(사물, 목표물, 대상, 목적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주어 자신에서 끝나버립니다.
(예) You go. < 너는 간다. >
자동사
주어 스스로 움직일 뿐 주어가 행하는 동사의 작용이 주어에서 그치고 다른 것에 전혀 영향을 미
치지 않으므로 go 는 자동사입니다.
(예) I am happy. < 나는 행복하다. >
자동사
am (~이다)의 작용이 다른 것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am 은 자동사입니다.
(1) 완전자동사
①목적어와 보어가 모두 필요 없는 동사입니다.
②완전자동사에서 ‘완전’이란 말은 보어(보충말)가 필요없다,라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자동사는
주어가 행한 동사의 작용이 목적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주어 자신에서 끝나버리므로 목적어가
필요 없는 동사입니다. 따라서 완전자동사는 보어와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완전자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은 주어와 동사만 있으면 온전한 문장이 됩니다.
(예) You go. < 너는 간다. >
완전자동사
(2) 불완전자동사
①주격보어가 필요한 동사입니다.
②불완전자동사에서 ‘불완전’이란 말은 무언가 완전치 못하므로 보충말(보어)이 필요하다,라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자동사는 목적어가 필요 없는 동사입니다. 따라서 불완전자동사는 보어는
필요하나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불완전자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은 주어와 동사만 가지고는 온전한 문장이 안 됩니다. 보어가 있어야만 온전한 문장이 됩니다.
(예) I am happy. < 나는 행복하다. >
불완전자동사 주격보어
am (~이다)만 가지고는 주어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 을 보충하는 말(주격보
어)이 필요합니다.
2) 타동사(他動詞 Transitive Verb)
‘타동사(他 다를 타, 그이 타 動 움직일 동 詞 말씀 사, Transitive [trǽnsətiv 트랜서티브])’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입니다. 자동사와 타동사의 본질적 차이점은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가, 안
하는가에 있습니다.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타동사는 ‘타(그이)에게 동작이 미치게 하는 말씀’입니다.
즉 타동사는 주어가 행한 동사의 작용이 타인이나 다른 사물(목표물, 목적어)에 영향을 미치는 동사입니다.
반면에 자동사는 주어가 행한 동사의 작용이 타인이나 다른 사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주어 자신에서
그쳐버린다는 점이 타동사와 다른 점입니다.
(예) I love her. <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 >
타동사 목적어
주어가 사랑이란 행위를 하는 작용이 그녀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1) 완전타동사
①목적어(~을, ~를)만 필요로 합니다.
②완전타동사에서 ‘완전’이란 말은 보어가 필요없다,라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타동사는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입니다. 때문에 완전타동사는 보어는 필요 없으나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완전타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은 주어, 동사, 목적어만 있으면 완전한 문장을 이룰 수 있습니다.
(예) I love her. <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 >
타동사 직접목적어
(2) 수여동사 : ‘누구에게’, ‘무엇을’ 주는 동사입니다.‘授與(수여: 줄 수, 줄 여)’란 말이 ‘
주다’라는 뜻입니다. 직접목적어(~을, ~를)와 간접목적어(~에게)를
필요로 하는 동사입니다.
(예) She gives me a letter. < 그녀는 나에게 편지를 준다. >
수여동사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3) 불완전타동사
①목적어와 목적격보어를 함께 필요로 하는 동사입니다.
②불완전타동사에서 ‘불완전’이란 말은 무언가 빠져있어 불완전하므로 보충말(보어)이 필요하다,
라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타동사는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입니다. 때문에 불완전타동사는 보어도 필요하고,
목적어도 필요한 동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불완전타동사로 이루어진 문장은 주어, 동사, 목적어,
목적격보어가 있어야 완전한 문장을 이룰 수 있습니다.
(예) I think him happy. < 나는 그가 행복하다고 생각한다. >
불완전타동사 목적어 목적격보어
♣이처럼 동사가 5종류(완전자동사, 불완전자동사, 완전타동사, 수여동사, 불완전타동사)로 구분되므로
문장도 5종류의 형식으로 분류됩니다.
□ꋫ▫ ▫ꋫ□
☺ 보어가 필요치 않냐, 필요하냐에 따라 ‘완전’과 ‘불완전’으로 나뉨
→ 보어(보충말)가 필요치 않으면 ‘완전’, 보어(보충말)가 필요하면 ‘불완전’
☺ 목적어가 필요치 않냐, 필요하냐에 따라 ‘자동사’와 ‘타동사’로 구분됨
→ 목적어가 필요치 않으면 ‘자동사’, 목적어가 필요하면 ‘타동사’
☺ 완전자동사 → 보어와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는 동사
☺ 불완전자동사 → 보어는 필요하나 목적어가 필요치 않는 동사(주격보어만 필요함)
☺ 완전타동사 → 보어는 필요치 않으나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직접목적어가 필요함)
☺ 불완전타동사 → 보어도 필요하고 목적어도 필요한 동사(목적어와 목적격보어가 필요함)
☺ 수여동사 → 직접목적어와 간접목적어가 필요한 동사
▫ꋫ□
3) ‘문장의 5형식’이란?
동사가 5종류로 분류되므로 문장도 5개 형식으로 분류됩니다. 지금부터는 영어문장이 어떻게 짜여져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공부합시다. 문장의 5형식을 잘 알아야 영작과 독해가 쉽게 해결됩니다.
(1) 1형식문장 ⇒ 주어 + 완전자동사
①‘1형식문장’은 ‘주어 + 완전자동사’만 가지고도 온전한 문장이 이루어집니다.
②‘완전자동사’에서 ‘완전’은 보어가 필요치 않음을 의미하며, ‘자동사’는 목적어가 필요치 않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형식문장은 보어와 목적어 없이 주어와 완전자동사만을 뼈대로 하여 이루어집니다.
③해석은 ‘(주어)는(은, 이, 가) (동사)한다’로 합니다.
④1형식을 만드는 완전자동사는 go (가다), come (오다), run (달리다), walk [wɔːk 웤] (걷다),
work [wəːγk 워-ㅋ] (일하다), begin [biɡín 비긴] (시작하다), end [end 엔드] (끝나다), rise
[raiz 롸이즈] (떠오르다), set [set 쎝] (지다), sing [siŋ 씽] (노래하다), bloom [bluːm 블루-움]
(꽃이 피다), shine [ʃain 솨인] (빛나다), get up [ɡet ʌp 겥 엎] (일어나다)등입니다.
(예) Boys study. < 소년들이 공부한다. >
주어 완전자동사
(예) Girls come. < 소녀들이 온다. >
주어 완전자동사
1형식문장은 주어와 동사만 가지고도 온전한 문장이 이루어집니다.
(예) Many boys study hard. < 많은 소년들이 열심히 공부한다. >
수식어 주어 동사 수식어(부사)
주 부 술 부
Many 와 hard 는 형용사, 부사입니다. “어떤 소년들?” “많은 소년들.” 물음과 응답이 자연스럽
죠? 따라서 many 는 명사 boys 를 수식하는 형용사입니다. “어떻게 공부해?” “열심히.” 따라서
hard 는 study 를 수식하는 부사입니다.
위 예에서처럼 사용된 형용사와 부사 따위를 ‘수식어’ 라고 하는데 수식어는 문장에서 빼버려도
문장이 완전히 망가지지 않습니다.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만 있으면 문장의 기본적인 의미는
파악됩니다. 가령 many 와 hard 를 빼버려도 ‘소년들이 공부한다’의 뜻이 되어 기본적인 의미를
알 수 있죠? 때문에 위의 보기 문장에 아무리 많은 수식어가 붙어도 1형식문장일 뿐입니다.
(예) That tall girl with two boys often comes to my house.
주어 동사
< tall [tɔːl 토-올] 키 큰 often [ɔ́ːfn 오흔] 가끔 >
< 두 명의 소년들과 함께 있는 저 키 큰 소녀가 가끔 나의 집에 온다.>
위 보기에서 주어와 동사는 girl 과 comes 입니다. 동사가 완전자동사이므로 목적어나 보어 없
이도 주어의 모양이나 형편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여기에 수식어를 하나하나 붙여 봅시다.
Tall girl comes. < 키 큰 소녀가 온다. >
That tall girl comes. < 저 키 큰 소녀가 온다. >
That tall girl with two boys comes.
< 두 명의 소년들과 함께 있는 저 키 큰 소녀가 온다. >
with two boys 는 단어 덩어리이지만 주어, 동사의 꼴이 아니므로 ‘구’입니다. 명사구일까요,
형용사구일까요, 부사구일까요? “어떤 소녀?” “두 명의 소년과 함께 있는 소녀.” 질문과 대답이
자연스럽군요. 또한 명사 뒤에 붙어서 girl 을 수식해 주고 있군요. 때문에 형용사 역할을 하
는 형용사구입니다.
That tall girl with two boys often comes.
< 두 명의 소년들과 함께 있는 저 키 큰 소녀가 가끔 온다. >
“얼마나 자주 오니?” “가끔 와.” 따라서 often 은 정도, 빈도를 나타내는 부사이군요.
That tall girl with two boys often comes to my house.
< 두 명의 소년들과 함께 있는 저 키 큰 소녀가 가끔 나의 집에 온다. >
“어디에 와?” “나의 집에 와.” 따라서 to my house 는 comes 를 수식하는 부사구입니다. 대개
형용사구 앞에는 명사가 있고, 부사구 앞에는 동사가 있습니다.
결국 예문은 girl comes 를 뼈대로 하여 여러 수식어(형용사, 부사)가 붙어 이루어진 1형식문장
입니다. 따라서 아무리 많은 수식어를 붙여도 1형식문장에는 변화가 없으며, 1형식문장은 주어
와 완전자동사만 가지고도 온전한 문장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습니다.
♥♥
※다음 문장을 분석해봅시다.
(1) The sun rises in the east. < 태양은 동쪽에서 뜬다. >
①주어, 동사는? ( ), ( )
②동사는 자동사인가요, 타동사인가요? ( )
③ in the east 는 구입니까, 절입니까? ( )
④그러면 무슨 구, 또는 무슨 절입니까? ( )
⑤몇 형식의 문장입니까? ( )
답) ①(The sun), (rises)
②(자동사)
목적어도 보어도 필요 없는 완전자동사입니다. The sun rises.(해가 뜬다)만 가지고도
완전한 문장이 됩니다.
③(구)
④(부사구)
우선 동사 뒤에 있고, “어디에서 뜨니?” “동쪽에서 뜬다”라고 자연스러운 대답이 나와
동사 rises 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므로 부사구입니다.
⑤(1형식)
(2) There are many books on the table. < 책상 위에 많은 책이 있다. >
= Many books are on the table. < 책상 위에 많은 책이 있다. >
< There are + 주어 : (주어가) 있다 >
♣두 문장은 똑같은 뜻이나 강조점이 다릅니다. 윗문장은 many books 를 강조하고, 아래 문
장은 on the table 을 강조합니다. 즉 두 문장 모두 동사 are 뒷부분을 강조하는 것으
로 알아두세요.
①주어, 동사는? ( ), ( )
②동사는 자동사인가요, 타동사인가요? ( )
③ on the table 는 구입니까, 절입니까? ( )
④그러면 무슨 구, 또는 무슨 절입니까? ( )
⑤몇 형식의 문장입니까? ( )
답) ①(books), (are)
②(자동사)
목적어도 보어도 필요 없는 완전자동사입니다. There are books.(책이 있다)만 가지고도
완전한 문장이 됩니다.
③(구)
④(부사구)
“어디에 있니?” “탁자 위에.” 문답이 자연스럽습니다. 따라서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구입
니다. 주의할 게 있습니다. There are many books on the table.에서 on the table 앞에
명사 books 가 있군요. ‘구’ 앞에 명사가 오면 대개 형용사구라고 생각하죠. 그러나 그
렇게 생각하고 해석하면 ‘탁자 위에 있는 많은 책들이 있다’가 되어 좀 어색한 표현이
되죠? 이는 on the table 이 형용사구가 아님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외형만 보고 답을
결정하지 말고 반드시 여러모로 해석을 한 후 답을 결정하세요.
⑤(1형식)
(3) Last year I went to Gwangju with my friends.
< last [læɑː(s)t 래스트] 바로 앞의, 최근의 year [jiə 이어] 해 last year 작년 went
[went 웬트] 갔다 > < 지난해 나는 내 친구들과 광주에 갔다. >
①주어, 동사는? ( ), ( )
②동사는 자동사인가요, 타동사인가요? ( )
③구를 모두 찾으세요. ( )
④몇 형식의 문장입니까? ( )
답) ①(I), (went)
②(자동사)
목적어도 보어도 필요 없는 완전자동사입니다. I went. (나는 갔다)만 가지고도 완전
한 문장이 됩니다.
③구(Last year, to Gwangju, with my friends)
④(1형식)
(2) 2형식문장 ⇒ 주어 + 불완전자동사 + 주격보어
①‘주어 + 불완전자동사(주어를 보충 설명해 주는 주격보어가 필요하지만 목적어는 필요하지 않는 동사) +
주격보어’의 구조를 갖춘 문장을 ‘2형식문장’이라 합니다.
②‘(주어)는 (명사)이다’, ‘(주어)는 (형용사)하다’, ‘(주어)는 (명사)가 되다’라고 해석합니다.
(예) She became a doctor. < 그녀는 의사가 되었다. >
불완전자동사 명사주격보어
< became [bikéim 비케임] ~이 되었다 doctor [dꐁktəγ닥터] 의사 >
She became 만 가지고는 주어 She 를 온전히 설명할 수 없죠? 때문에 a doctor 를 became 다음
에 보충하였습니다. 이때 doctor 는 보충하는 말이므로 보어이고, 주어를 설명하는 보어이므로
주격보어입니다. 이처럼 보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를 불완전자동사라 하고 불완전자동사로 이
루어진 문장을 2형식문장이라 합니다.
(예) I am I. < 나는 나이다. 나는 내가 되다. 나는 나다. >
불완전자동사 명사주격보어
am, are, is 는 ①‘있다(존재)’, ②‘~이 되다’, ③‘~이다’의 뜻을 가장 일반적으로 갖습니다. ‘있 다’의 뜻으로 쓰일 때는 1형식문장이 되고 ‘~이 되다’, ‘~이다’의 뜻으로 쓰이면 2형식문장이 됩 니다. 잘 암기해 두세요.
I think, therefore I am. <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
I am. 이 ‘나는 있다(나는 존재한다)’의 뜻이면 온전한 의미를 갖춘 바른 문장이 됩니다. 이 때
am 은 완전자동사이며 이 문장은 1형식문장이 됩니다. 그러나 I am 이 ‘나는 ~이 되다, 나는
~이다’의 뜻이면 온전치 못한 문장이 되죠? 무엇이 보충돼야 할 것 같습니다. 즉 보충말이 필요
합니다. 이 경우 am 은 불완전자동사이며, 불완전자동사로 이루어진 이 문장은 2형식문장이 됩
니다. 따라서 앞의 예 I am I. 는 2형식문장이라 하겠습니다.
(예) He is happy. < 그는 행복하다. >
불완전자동사 형용사주격보어
위 문장 역시 2형식문장이란 것은 설명 안 해도 훤히 아시겠죠?
□ 매우 중요한 2형식문장
2형식 동사로는 am, are, is, become 이 대표적이지만 주의할 것은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의
5가지 감각을 나타내는 동사들도 2형식문장으로 많이 쓰입니다.
①시각동사(눈으로 보고서 무엇을 알아서 깨닫는 동사)
look, appear [əpíəγ 어피어] (겉보기에 ~인 것 같다), seem [siːm 씨-임] (마음속으
로 ~인 것 같다) 등등
②청각동사(소리를 듣고서 무엇을 알아 깨닫는 동사)
sound [saund 싸운드] (~하게 들리다) 등등
③촉각동사(만져보고 알아 깨닫는 동사)
feel [fiːl 휘-일] (느끼다, 감촉이 ~하다) 등등
④후각동사(냄새를 맡고 무엇을 알아 깨닫는 동사)
smell [smel 스멜] (~한 냄새가 나다) 등등
⑤미각동사(맛보고 알아 깨닫는 동사)
taste [teist 테이스트] (맛이 ~하다) 등등
중요한 것은 이들 동사가 2형식으로 쓰일 때는 다음에 형용사를 보어로 가져야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형용사의 해석은 ‘~한’이 아닌 ‘~하게’로 마치 부사처럼 풀이해야 됩니다.
이상의 내용은 대단히 중요하므로 시험에 단골로 나오는 메뉴입니다.
(예) You look happy. (○) You look happily. (×)
형용사(보어) 부 사
< look [luk 뤀] ~을 보다, ~하게 보이다 > < 너는 행복하게 보인다. >
형용사 happy 가 ‘행복한’으로 해석되는 게 아니라, ‘행복하게’ 로 해석되는 점에 유념합시다. 사
실 ‘행복하게’의 뜻으로는 ‘happily [hǽpəli 해펄리, 해필리]’가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사람들에게
‘너는 행복하게 보인다’를 영어로 옮기라고 하면 거의가 ‘You look happily.’라고 한답니다. 우리
말로는 이렇게 하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기 때문이죠. 그러나 영어에서는 이런 표현을 쓰면 안
된답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선생님들은 이곳을 집중적으로 시험에 출제합니다. 이 사실을 아는
여러분은 이런 문제에 접하였을 때 정답을 자신 있게 찾아서 선생님들을 흐믓하게 해 드립시다.
You look happy. 는 2형식문장입니다. You look 만 가지고는 ‘너는 ~하게 보인다’의 뜻이 되
어 주어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죠? 이 경우 look 이 불완전자동사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
또한 look 대신에 are 를 사용하면 You are happy (너는 행복하다.)가 되어 look 이 are 와 같은
불완전자동사로 쓰였다는 게 확실하죠? 따라서 You look happy. 는 2형식문장입니다.
이상에서 보았던 다섯 감각동사들이 2형식동사로 쓰일 때는 항상 형용사를 보어로 사용하고
부사처럼 해석합니다. 이 종류의 동사들을 잘 암기해 두세요.
♥♥
※다음 문장에서 적합한 단어에 밑줄을 긋고 해석해봅시다.
This table feels (smooth, smoothly).
< >
< smooth [smuːð 스무-드] 매끈매끈한 smoothly [smuːðli 스무-들리]
매끈매끈하게 >
답) smooth, 이 탁자는 매끈매끈하게 느껴진다.
※다음 문장에서 주어(S), 동사(V), 보어(C)를 찾아 밑줄을 긋고 s, v, c 를 표시하세요.
(1) My mother is very wise. < wise [waiz 와이즈] 현명한 >
답) My mother is very wise. (2형식) < 나의 어머니는 매우 현명하시다. >
S V C
(2) This dog is noisy in the room. < noisy [nɔ́izi 노이지] 시끄러운 >
답) This dog is noisy in the room. (2형식) < 이 개는 방에서 시끄럽다(요란하다). >
S V C
(3) You are very kind to her. < kind [kaind 카인드] 친절한 to her : 그녀에게 >
답) You are very kind to her. (2형식) < 너는 그녀에게 매우 친절하다. >
S V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