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사회문화 조교 버티입니다.
B에서 A로 변하는 것이 현대사회에서 근대 사회로 변화하는 것이므로 계층의 세습이 심화된 것이다.
이것이 틀린 것이려면 전제가 틀리거나 전제가 결론을 뒷받침하지 못함을 보여드리면 되겠지요.
B에서 A로 변하는 것이 현대 사회에서 근대 사회로 변화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은 받아들이실 수 있을 겁니다.
교수님께서 설명하실 때 다이아몬드 형이 현대 사회의 특징이고, 피라미드 형이 근대 사회의 특징이라고 하셨던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도 피라미드 형이 나타날 수 있지요.
예컨대, 현대 사회에서 중산층이라고 불리던 계층이 불경기로 인해 하층으로 하강이동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반면, ③에서 개방적 계층구조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이다는 것은 이렇습니다.
계층 구성 비율이 달라졌다는 것은 곧 이 사회에 개방적 계층 구조라는 의미입니다.
만약 폐쇄적 구조였다면 계층 구성 비율이 달라질 수 없겠죠.
그렇지만 계층 구성 비율이 같다고 해서 폐쇄적 계층 구조라고 볼 수 없습니다.
계층 구성 비율이 같더라도 수직이동이 없다고 단정지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잘 정리해두시고, 또 모르는 점 생기시면 질문 남겨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