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 | 도서명 | 책수 | 발행인 | 발행소 | 개요 및 특징 |
1374 | 慶州李氏派譜 | 30 | | | 시조 이알평李謁平, 권1: 이거명李居明, 권2: 이득립李得立의 자손록 |
1684 | 慶州李氏大同譜 | 6 | | | 숙종 10년(1684)에 백사공(휘 항복) 선생의 동종계를 기간으로 익재. 국당. 상서공 3파와 합의하여 수족성보(6권- 재판10권)를 발간하였으나 서문이나 발문이 없다. |
1748 | 慶州李氏大同譜 | 16 | | | 영조 24년(1748)에 중협(重協) 선생이 서문에서 갑자보가 있었고 64년이 지났으니 3대가 지나감에 따라 후손을 싣고 연표나 종통에 미비점을 보충함으로써 완전한 족보(16권)을 얻었다. |
1808 | | | | | 경상 현령공 휘 집로와 화곡공의 7세손 영상 현감공 휘 일영이 합심하여 경산에서 발간하였다. 하지만 영남권 거주 종친만 수록했다. 그 후 고종 5년(1868) 익재공파보, 국당공파보, 상서공파보가 간행되었다. |
1814 | 慶州李氏世譜 | 34 | 이경일 (李敬一) | | 순조 14년(1814)에 경일(敬一) 선생이 재간하였다. |
1868 | 慶州李氏派譜 | 2 | 李敬文. 李裕元 | | 1868년(고종 5)에 李敬文 등이 경주이씨 분파 중 白沙 李恒福을 顯祖로 하는 가계를 정리하여 간행한 파보이다. 慶州李氏世譜 가운데서 白沙 李恒福(1556~1618)의 直系派만을 선별하여 圖表와 世系表로 만든 책이다. 이항복의 9대손 李裕元이 1868년에 편찬했다. 체제를 살펴보면, 세계표는 가로 6면이며 내용 기록은 선남후녀, 적서 구분 등 당시의 족보 형식과 같다. 책머리에 慶州李氏世系分派圖 慶州李氏派譜新序(李裕元), 白沙先生同宗稧序(李宗城), 慶州府建置沿革 등이 수록되어 있고, 책 끝에 이유원의 跋文이 각각 실려 있다. 이유원의 序·跋에 의하면 경주이씨 세보가 너무 번다하고 오류가 많아 白沙派만을 별도로 작성하게 되었다고 한다. 본문에는 新羅 初期人으로 遠祖인 1世 李居明으로부터 朝鮮 哲宗朝人인 35世 李健榮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이 세계로 列記되어 있으며 각 인물마다 간략한 경력이 첨부되어있다. 그리고 권1 첫장에는 始祖 李謁平의 略傳 등이 있다. |
1892 | 慶州李氏派譜 | 30 | 이교영 (李喬榮) | | 광서19년 壬辰仲冬 後孫嘉善大夫行工曹參判 *同知義禁府事 교영(喬榮)漌序 경주이씨 益齋公 李齊賢을 顯祖로 하는 후손들의 가계를 기록한 派譜이다. 책의 앞부분은 1893년 공조 참판 李喬榮이 찬한 서문 및 범례, 益齋公亂藁序·文忠公益齋先祖年譜 등 선대 사적을 수록하였다. 서문에 의하면, 이 파보는 성상 즉위 28년(1891) 京鄕 族人이 회합해 간행 작업을 시작하여 1893년에 간행했고, 고려의 문신 익재공 이제현(1287~1367)을 顯祖로 하는 후손들이 가계를 기록했다. 경주이씨의 족보는 이전 시기인 1684년(肅宗 甲子), 1748년(英宗 戊辰), 1814년(純祖 甲戌)에 분파의 구분 없이 간행되었다고 한다. 이후 1860년(哲宗 庚申)에 『익재공파보』가 처음 만들어졌으며 그로부터 30년이 지난 지금 다시 족보를 편찬한다고 하였다. 체제에 대해 살피면, 世系表를 가로 6면으로 구성했고, 기록 방식은 당시의 일반적인 족보의 기록 방식과 같다. 各派 世系는 권1의 總編에 蘇判公 이하 선대 26세까지를 수록했고 26세 이하는 甲乙丙丁戊 등의 순서로 分派 를 수록했다. 총편의 마지막에 수록된 有司錄에는 도유사 이교영 등 족보간행에 참여했던 인물들의 명단이 있다. |
1898 | 總論-慶州李氏派譜 | | | 한국족보연구소 소장본 | |
1893 | 慶州李氏世譜 | 25 | | | 종이품가선대부 궁내부 특진관 종필(鍾弼)讚序 |
1918 | 慶州李氏世譜 | 10 | 최인기 | | |
1918 | 慶州李氏世譜 | 34 | 이철우 (李哲雨) | 경상북도 경주군 천북면 동천리6통5호 | 권1~권4까지는 목판본이고 권5부터는 활자판으로 인쇄됨 |
1919 | 慶州李氏世譜 | 37 | 이규환 (李圭桓) | 경성부 훈정동 126 | 원시조 이알평李謁平, 시조 이거명李居明, 파조 이원서李元瑞의 자손록. 경주이씨대동보소, 1919년 발행. |
1922 | 慶州李氏世譜 |
| 이정우 (李正雨) | 충북 보은군 산외면 장갑리 49 | |
1922 | 慶州李氏世譜 | 4 | 이심영 (李芯榮) | 충북 청주군 미원면 가양리 28 | 慶州李氏聞堂公派譜 |
1925 | 慶州李氏派譜 | 2 | 이경린 (李鏡麟) | 평안북도 박천군 서면 송담동 486 | |
1925 | 慶州李氏派譜 | 15 | 이재영 (李載榮) | | |
1926 | 慶州李氏世獻 | 2 | 이규태 (李圭泰) | 경상남도 울산군 웅촌면 검단리 800 | 慶州李氏判尹公派世獻 |
1926 | 慶州李氏世譜 | 20 | 이규호 (李圭昊) | 경상북도 경주군 강서면 양월리 746 | |
1929 | 四美亭公派譜 | 5 | 이설우 (李設雨) | 경기도 안성군 삼죽면 진촌리 102 | |
| 慶州李氏派譜 | 4 | 이범우 (李範雨) | 청주군 남일면 고음리 536 | |
1930 | 慶州李氏世譜 | 49 | 이 흠 (李 欽) 慶州李氏大同譜所 | 京城府 西大門町 2丁目 165 慶尙北道 慶州本町 1丁目150 慶州郡 慶州面 路西里 42 | 백사공파 권2, 권15, 권30, 권31, 권46 |
1931 | 慶州李氏大族譜 慶州李氏派譜 | 15 | 이철우 (李哲雨) | 경성부 연건동 297 | 鍾瀯 |
1932 | 慶州李氏 世傳寶鑒 | 4 | 이규창 (李圭彰) | 경성부 수송동46-22 | |
1932 | 慶州李氏世譜 | 17 | 이순영 (李舜榮) | 강원도 원주군 지정면 무장리 248 | 1932년과 1933년에 걸쳐 17권 발행 |
1933 | 慶州李氏世譜 | 9 | 이규창 (李圭彰) | 경성부 계동 103 | 碧梧公 13세손 진사昌雨서 |
1934 | 慶州李氏世譜 | 3 | 이병순 (李秉淳) | 평안북도 정주군 임해면 원하동 | |
1935 | 慶州李氏 四刋世譜 | 54 | 이규하 (李圭廈) 慶州李氏大同譜所 | 충남 대전군 외남면 홍도리 157 | 경주이씨 주요 파별로 구분해서 간행 總編 2冊, 甲編 8冊(檢校公派), 乙編 14冊(雲窩, 密直公派), 丙編 15冊(文貞公派), 丁編 1冊, 戊編 7冊, 己編 3冊, 庚編 4冊으로 구성. 권두에 李重協의 序文 등 |
1936 | 慶州李氏世譜 | 4 | 이종천 (李鍾千) | 전라북도 장성군 임서면 대곡리 410 | 慶州李氏世譜誌狀 1권 포함 |
1938 | 慶州李氏世譜 | 2 | 이상일 (李相一) | 충북 괴산군 소수면 길선리 620번지 | |
1938 | 慶州李氏家譜 |
| 이원탁 (李元卓)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대진동 | |
1955 | 慶州李氏 五刋世譜 | | | | |
1958 | 慶州李氏 五刋世譜 | 52 | 이규하 (李圭廈) | | 경주이씨 주요 파별로 유명인을 중심으로 구분하여 계통도를 작성해서 보여줌 |
1959 | 慶州李氏 世傳寶鑑 慶州李氏世譜 | 2 | 이풍우 (李豊雨) | 충북 청원군 남일면 고음리 | 벽오공(碧梧公) 동암공(東菴公) 선조인물 및 주요 묘지 위치 도록 형태로 작성됨 |
1959 | 慶州李氏贊成公派世譜 | 6 | 李重雨, 이원우 | 경기도 포천 | 원시조 이알평李謁平, 시조 이거명李居明, 파조 이예신李禮臣의 자손록 甲乙丙丁戊己 6책으로 구성되었으며 가나다라 한글로 차례가 되어있음 |
| | | | | |
1959 | 慶州李氏 白沙公派譜 | 3 | | | |
1972 | 慶州李氏家牒 | 1 | 이상호 (李相浩) | 대구시 중구 삼덕동 3가 68-1 | |
1975 | 瓢巖人脈誌 표암인맥지 | 1 | 이용곤 | 표암인맥지편찬위원회 | |
1975 | 慶州李氏先世遺跡誌 | 1 | 경주이씨선세유적편찬회 | 서울시 영등포구 신풍동 221-5 | |
1978 | 慶州李氏大同譜 | 32 | 경주이씨중앙화수회 | | 1978년 대동보를 발간하고 편집위원장인 상수 종친이 서무에서 반만년의 한반도 역사에서 성씨의 유래와 시조의 천강과 신라의 건국, 사성, 분적과 분파를 밝히고 역사의 중흥조 및 3대보를 설명했다. 100만명 이상이 족보에 등재된 사상초유의 대동보임을 밝히고 있다. 물론 등재되지 않은 종친과 남북분단으로 북에 있는 종친이 포함돼있지 않아 완전한 대동보는 아니다. |
1979 | 慶州李氏大同譜 尙書公派編 | 1 | | | 상서공파 - 附錄 168페이지 |
1987 | 慶州李氏大宗譜 | 50 | 이성우 (李成雨) 경주이씨중앙화수회 | 셔울시 종로구 명륜동 1가 33-90 | 경주이씨중앙화수회 한글로 제작되었다. |
1987 | 慶州李氏尙書公派世譜 | 1 | 이상권 (李相權) | 한국보학연구소 부산시 동구 수정4동 1173 | 경주이씨상서공후 소판공 39세 이상권 / 慶州李氏尙書公派中茂朱縣監公諱大圭 계열자손 小譜 산소_함양군 수동면 효리 / 당남동 / 사진 포함 한글/한자 병기되어 있고 내용은 번역되어 발행되었음 |
1989 | 慶州李氏尙書公派世譜 | 1 | 이돈희 (李潡熙) | 한국보학연구소 부산시 진구 양정4동 39-51 | 慶州李氏尙書公派甲山府使公諱戒鶴계열세보 월성군 철견(鐵堅) - 후손 |
1992 | 경주이씨백사공파가승보 | | | | |
2023 | 慶州李氏尙書公後白沙公派譜 | 2 | | | 완전한글번역본 |
1977 | 오촌공파현대보 | 1책 | 이상엽(李相燁)간행 | 충북 진천
| 벽오공 11대 사손(嗣孫) 서(序) |
2001 | 익재공후 참의공파보 | 1책 | 이재현(李在賢) 간행 | 대구 | 재현 서. 춘희 발문. 재향 발문 |
2009 | 익재공파 대동보 | 13책 | 이대희(李大熙) 편집 및 발행 | 대전 | 익재공파대종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