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단권 (Auto Transformer) |
■ 복권 (Transformer) |
1개의 연속된 권선에서 1차 및 2차를 인출한 구조의 변압기 |
전기적인 절연분리를 1차 권선과 2차 권선으로 구성한 변압기 |
Transformer constructed with primary winding and secondary winding taken from one continuous winding. |
Transformer constructed with primary winding and secondary winding electrically Insulated. | |
|

|
▶ |
상수 : 1 Ø & 3 Ø |
▶ |
형식 : 단권형, 복권형 |
▶ |
주파수 : 50/60Hz |
▶ |
건식,외함식 |
◈ |
한전시험 및 CE 유럽수출품은 외형치수가 변동함. | |
▶ |
전압 : 1차 전압, 2차 전압 (탭전환 전압) |
▶ |
용량 : KVA (전류로도 가능) |
▶ |
절연등급 : B형, F종, H종 |
|
일반(B종), 고급(F,H종), 고급형은 별도로 주문요함. |
◈ |
기성품은 B종으로 제작되었으며 뇌서지 및 노이즈 감쇄효과를 위해 절연등급을 높이는 것이 유리함. | |
|

|
1. 피상전력 : |
피상전력은 어떤 회로에서 실측 전압과 전류를 곱한것으로서 그 단위는 (VA)이고, 변압기는 이에 해당합니다. |
2. 유효전력 : |
피상전력에서 역율을 곱한전력으로서 단위는 (W)이며, 모타 발전기, 전기밥솥, 에어콘 등 전력기기 대다수가 (W)로 표기됩니다. |
3. 무효전력 : |
리액턴스에 의해서 생기는 전력으로서 소비되지않고 발전소로 되돌려 보내지는 전력이며 여기에는 유도성과 용량성의 두가지로 구분됩니다. 그 단위는 (VAR)이 쓰여집니다. 무효전력기기로는 리액터와 콘덴서등이 있습니다. | |
|

|
변압기의 단위는(VA)이고, 그림과 같이 |
|

|
예1) |
어떤 수용가에서 유효전력이 800(KW)이고 역율이 0.8인 경우 피상전력은 1000(KVA)가 되며, 최소한의 변압기 용량은 1000(KVA)가 필요합니다. | | |
|
그러나,변압기의 이상적인 효율을 위해서, 변압기의 손실이 최소가 되는 조건 즉 동손=철손이 되게 변압기의 이용율을 3/2-86.6%로 운전함이 수명과 효율을 극대화 합니다. 즉, 1000KVA ÷ 0.866 = 1154(KVA)가 필요합니다. |
예2) |
역율과 효율이 각각 0.8인 = 7.5KW 모타를 설치할 경우 변압기 용량Pt는 Pt = 7.5(KW) ÷ 0.8 ÷ 0.866 = 13.53(KVA) 그러나, 실제 설치시 전원전압 상승 또는 부하회로의 각종 노이즈 및 고조파등을 고려하여 15KVA의 변압기를 선정함이 수명에 지장이 없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