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어(平語)와 존대어(尊待語)
최태연/전직 (대구) 계성고등학교 국어교사
尊待語는 대화에 있어서 중요하다. 尊待語 사용은 겸손한 자세로 자기를 낮추고 남을 높이는 언어습관이 몸에 배어 있어야 한다.
【平語】 【尊待語】
말 : 말씀 *선생님 ‘말씀’(높임). 제가 드린 ‘말씀’(낮춤)
나이 : 연세(年歲), 춘추(春秋).
얼굴 : 신관 *선생님은 신관이 좋습니다. *신관은 漢字語가 아니다.
성질 : 성품(性品) *“아버지는 성품이 급하셔서 그렇습니다.”
밥 : 진지 *메: 제사상에 올리는 밥.
떡 : 편(䭏) *“사돈, 편도 좀 드시지요.” *䭏: 떡 (편).
생일 : 생신(生辰) *생신(生身)이라고 쓰면 무식한 실수.
아프다 : 편찮으시다.
병(病) : 병환(病患), 환후(患候).
아내 : 부인(夫人), 영부인(令夫人), 합부인(閤夫人)
*대통령 夫人만 令夫人이 아니다. 누구의 아내도 영부인이라 고 해도 된다. *자기 아내를 부인(夫人)이라고 하면 무식하다.
할아버지: 조부님, 할아버님, 조부장(祖父丈), 왕대인(王大人).
할머니 : 조모님, 할머님, 왕대부인(王大夫人).
아버지 : 아버님, 춘부장(椿府丈), 존대인(尊大人), 영존(令尊).
어머니 : 어머님, 영당(令堂), 자당(慈堂), 훤당(萱堂). 북당(北堂).
맏형 : 백씨(伯氏), 백씨장(伯氏丈).
둘째형 : 중씨(仲氏), 중씨장(仲氏丈). *셋째형, 넷째형도 중씨(仲氏)다.
*자기 형을 백씨(白氏), 중씨(仲氏)라고 하면 무식하다.
누나 : 자씨(姊氏) *남의 누나는 물론이고, 자기 누나를 姉氏라고 한다.
동생 : 계씨(季氏), 제씨(弟氏). *季氏가 弟氏보다 더 좋은 말이다.
여동생 : 매씨(妹氏),영매(令妹).
술 : 약주(藥酒) *남편에게 “약주 한 잔 했어요?”는 예쁜 말.(=尊待語).
*남편에게 “또 술 먹었어요?”는 퉁명스런 말.
아들 : 아드님, 영식(令息), 영랑(令郞), 영윤(令胤).
딸 : 따님, 영애(令愛).
숙부 : 완장(阮丈), 백완장(伯阮丈:큰아버님), 伯父님, 仲父님, 叔父님.
종숙 : 당완장(堂阮丈). 堂叔父님. 종완장(從阮丈). 종숙부(從叔父)님.
외삼촌 : 외숙부님, 외완장(外阮丈).
조카 : 조카님, 함씨(咸氏).
사위 : 서랑(壻郞), 옥윤(玉潤: 사위의 미칭).
*자기 사위를 교객(嬌客)이라 한다.*교객(嬌客): 아리따운 손님.
의견 : 고견(高見)
진찰 : 고진(高診)
원고 : 옥고(玉稿).
탈것 : 존가(尊駕) *존가(尊駕)는 차, 수레 등 탈것을 높이는 말.
이(齒) : 치아(齒牙) *이빨은 짐승의 이를 이르는 卑語. *눈: 눈깔.
머리 : 두상(頭上)
얼굴 : 안면(顔面)
집 : 宅(댁). 고당(高堂).
형(兄) : 아형(雅兄), 大兄, 인형(仁兄) *편지에서 친우를 높이는 呼稱語.
편지 : 옥함(玉函), 혜함(惠函)), 존찰(尊札). 옥서(玉書).
숟가락 : 간자, 수저 *시저(匙箸): 제사상에 놓는 수저.
이름 : 존함(尊銜=尊啣), 명함(名銜). *휘(諱): 돌아가신 어른의 이름.
자다 : 주무시다
누구 : 어느 분 *‘어떤 사람’보다 ‘어느 분’이 좋은 말이다.
~가.~이: 께서 *아버지가→아버지께서. 선생님이→선생님께서.
~에게 : 께 *이것을 어머니께 드려라.
누굽니까? : 누구십니까?
말하다 : 여쭈다, 여쭙다(←여쭈옵다) *할아버지께 여쭈고 가거라.
묻다 : 여쭈다, 여쭙다. *모르는 것은 선생님께 여쭈어 보아라.
죽다 : 돌아가시다. 별세하다. 세상 버리다=기세(棄世)하다.
먹다 : 잡숫다. *드시다는 잡숫다보다 낮은 존대어.
*흠향(歆饗)하다: 차려놓은 음식을 神이 잡숫다.
있다 : 계시다
보다 : 뵙다
가다 : 가시다 *先語末語尾‘시’를 넣으면 尊待語가 된다.
~하세요? : ~하십니까? *‘하십니까?’는 ‘하세요?’보다 정중한 말.
시키다 : 분부(吩咐/分付))하다.
알리다 : 아뢰다. 사뢰다.
꾸중하다 : 걱정하시다
데리다 : 모시다. *‘뫼시다’는 예스럽고 더 정중하다.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