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톰 W의 전공
간단한 문제 하나를 보자
톰 W를 우리 지역 주요 대학에 다니는 대학원생이라고 해보자,
아래 아홉 개 분야을 보고 톰 W 의 전공일 것 같은 정도에 따라 순위를 매겨보라.
가장 그럴듯한 전동은 1, 가장 그럴듯하지 않은 전공은 9로 한다.
경영학 / 컴퓨터과학 / 공학 / 인문교육 / 법학 / 의학 / 도서관학 / 물리 생명과학 /
사회과학과 사회산업
쉬운 문제이며, 각 분야 입학생의 상대적 규모가 문제 해결의 열쇠라는 사실을 곧바로 알 수 있다.
단지에서 구슬 하나를 뽑듯 톰 W도 이 대학 대학원생 가운데 무작위로 뽑혔다.
구슬이 빨간색일 확률이 높은지, 녹색일 확률이 높은지 결정하려면,
단지에 담긴 빨간 구슬과 녹색 구슬의 개수를 알아야 한다.
이때 특정구술이 차지하는 비율은 '기저율(vase rate)'이라 한다.
이 문제에는 이를테면 인문교육의 기저율은 모든 대학원생 가운데 그 분야 전공 대학원생의 비율이다.
톰 W에 대한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는 기저율을 판단 기준 삼아,
인문교육 전공자가 컴퓨터과학이나 도사관학 전공자보다 많으니
톰 W도 컴푸터과학이나 도서관학보다 인문교육 전공자일 확률이 더 높다고 추측하게 마련이다.
다른 정보가 없을 때는 기저율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확실한 방법이다.
이제 기저율과 상관없는 문제를 보자,\.
아래는 톰 W가 고등하교 3학년 때, 어느 심리학자가 검증되지 않은 심리 테스트를 기초로
톰의 성격을 간략히 기록한 것이다.
톰 W는 진정한 창의력은 부족하지만 머리는 좋다. 그는 모든 것이 질서정연하고 명확하며,
세세한 것들도 깔끔하고 정돈된 체계를 갖추어 모두 제자리에 있어야 할 필요를 느낀다.
그가 쓴 글은 다소 지루하고 기계적인데, 가끔 약간 진부한 언어유희나 공상과학소설 같은 상상으로
글이 활기를 띠기도 한다. 그는 경쟁심이 강하다. 그리고 타인을 향한 감정이나 연민은 거의 없어 보이며,
타인과의 소통을 즐기지 않는다. 자기중심적이지만 도덕의식은 강하다.
이제 앞에서 언급한 아홉 개의 전공 분야를 놓고,
톰 W를 묘사한 내용이 각 분야 전공 대학원생의 전형적인 모습과 얼마나 비슷한가를
지기준으로 순위를 매겨보라. 가장 비슷한 경우는 1, 가장 덜 비슷한 경우는 9로한다.
이 문제에 빠르게 대답해본다면 이번 14장에서 더 많은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번에는 톰 W를 묘사한 글을 반드시 읽어야 판단을 내릴 수 있다.
문제는 너무 빤하다. 여러 분야의 대학원생을 연상케 하는 전형적인 이미지를 회상하거나
그런 이미지를 만들어보라는문제다
이실험을 처음 실시한 1970년대 초의 순서 편균은 아래와 같았다. 독자의 답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1. 컴푸터과학 / 2. 공학 / 3. 경영학 / 4. 물리생명과학 / 5. 도서곤학 / 6. 법학 / 7. 의학 / 8. 인문교육 /
9. 사회과학과 사회사업
앞에서 소위 '범생이'를 암시하는 말("진부한 언어유희")이 있어서,
컴푸터 과학을 높은 순위에 올려놓은 사람이 많을 것이다.
아닌 게 아니라 톰 W를 묘사한 글은 전형적인 범생이 모습에 맞춰 쓰였다.
사람들이 상위권에 올려놓은 또 다른 전공은 공학이다("깔끔하고 정돈된 체계").
반면에 사회과학과 사회사업의 이미지와는 어울리지 않는다.("타인을 향한 감정이나 연민은 거의 없어").
내가 톰 W 성격 묘사를 만든 지 40년 가까이 지난 지금도
전문직과 관련한 정형적인 모습은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 같다.
아홉 가지 분야에 순위를 매개는 작업은 복잡할 뿐 아니라
시스템2만이 할 수 있는 훈련과 순서 구성이 필요한 게 분명하다.
그러나 성격 묘사에 심어놓은 힌트("진부한 언어유희")에는 전형적인 모습을 떠올리는 연상 작용,
그러니까 시스템1의 즉흥적 활동을 활성화하려는 의도가 있었다.
이 유사성 비교는 톰 W의 성격 묘사를 다양한 전공 분야의전형적인 모습과 비교하게 한다.
성격 묘사의 정확성( 톰 W를 정확히 묘사했는가)과는 무관한 비교다.
내가 알고 있는 다양한 분야의 기저율 역시 무관하다.
어느 집단의 전형적인 모습과 한 개인과의 유사성은 집단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심지어 대학에 도서관학과가 없다 해도, 우리는 톰의 성격 묘사를
도서관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의 이미지와 비교할 수 있다.
톰 W의 이미지는 일부 작은 학생 집단(컴퓨터과학자, 사서, 공학자)에 잘 어울리고,
가장 큰 집단(인문교육, 사회과학과 사회사업)과는 무척 안 어울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참가자들도 거의 항상 그 두 집단에 가장 낮은 순위를 매겼다.
톰 W는 의도적으로 '기저율과 반대되게'만들어졌다.
다시 말해, 작은 분야에 잘 맞고 사람들이 가장 많이 몰리는 전공에는 맞지 않게 만들어진 인물이다.
223-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