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도시와 방재안전관리사
2015년 청양의 새아침이 밝았다.
세월호 참사의 교훈, 차가운 바닷속에서 희생된 어린 학생들의 죽음을 기억하며 안전의 소중함과 사고방지시스템의 중요성을 잊지 말고 되풀이 되지 않도록 방재안전관리 교육훈련을 강화하여야 한다.
시민의 안전을 위하여 '줄서기 문화'가 자리잡아야 하며, 안전을 기반으로 가계부채 1200 조원 시대의 막을 내려야 한다.
'무법자 오토바이' 사람 비집고 인도를 질주하며, 한해 2000명을 다치게 한다. 오토바이는 5초에 1대꼴 인도주행을 서울평화시장에서 하지만, 단속은 없다. 이중 삼중으로 짐 쌓아올려 곡예운전도 하고, 녹색불 바뀌기직전 먼저 출발로 위험천만한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오토바이 2대중 1대가 횡단보도 정지선을 무시하고 있다.
길 걷다가 날벼락으로 교통사고 사망자 10명 중 4명은 보행자이다. 횡단보도 사고도 하루 33건 발생해 1명씩 목숨을 잃고 있고, 일시정지 무시, 급출발 잘못된 운전습관이 참사를 불러오고 있다. 시민 안전의식, 교통인프라 개선, 엄격한 단숙 등이 이루어져야 보행자를 지킬 수 있다.
왕복 4차로 양측은 대형 버스의 불법 주차로 보행자들의 불편이 크고, 실제로 충북청주시 흥덕구 분평동 주공1.2단지 인근에서는 2007년 8월부터 무려 1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는데, 이러한 불법주차는 지속되고 있다. 문제점이 있다면, 개선이 시급하다.
한국보행자의 안전은 사각지대이다. 인구 10만명당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는 4.1명,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이 1.4명(2011년 기준)인 점을 감안하면 무려 3배나 높은 수치다. 네델란드 (0.4명), 영국(0.7명), 미국(1.4명), 일본(1.6명) 보다 높은 압도적 1위이다.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 -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3만달러는 넘을 것으로 추정했다. 세계 24위이다. 2014년은 2만 8738달러(25위)였다.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전년(2만 6205달러)보다 7%가량 증가한 2만 8천달러 안팎인데, 해마다 1800-2000달러 증가해온 추세로 보면 올해는 3만달러를 넘어설 것이란 분석이다.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을 원화로 계산하면 3000만원, 4인가구라면 1억 2000 만원에 이른다. 절대금액도 증가율도 체감도와는 큰 차이가 난다. 가장 큰 이유는 환율효과이다. 지난해 적용한 평균 원-달러 환율은 1052원으로 전년(1095원)보다 43원이 낮다. 가만히 앉아서 4% 상승효과를 본 셈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 새해 벽두에 "2017년엔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를 넘어설 것"이라고 호언했으며, 목표를 2년이나 앞당겨 조기달성하는 것인데, 이는 환율 상승효과이다.
올해는 광복 70년, 통일한국 향한 재도약의 갈림길에 서는 해이다.
대한민국 70년의 역사를 경이의 기록이다. 일제의 수탈과 6.25 전란이 끝난 1953년 우리의 1인당 국민소득은 67달러에 불과했다. 그로부터 60년 동안(1954-2013)한국은 연평균 7.4%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고, 경제 규모는 1000배 가까이 커졌고,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에 올라섰다. 산업화와 민주화에 이은 방재안전화를 이루어야 하는 시대를 열고 있다.
탈북 자유인 2만명, 북한 주민 2500만 주민의 마음을 얻어서 통일로 나아가야 한다.
일본과 수교 50년에 '일본은 미국의 대리인 임을 자임'하며 군국주의로 들어섰다. 지진과 쓰나미에 의하여 위험속에 있는 일본이 올해 어떻게 국가적 위기를 극복할 것인가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절체절명의 위기속에서 정몽구와 이건희의 도전의식으로 경제가 방향을 찾았듯이, 방재안전관리 도전의식으로 안전한 방향을 우리는 찾아야 한다.
2015년 방재안전관리로 '안전하고 행복한 사회와 국가'가 구현되기를 기대하여 본다.
연세대학교 방재안전관리연구센터/한국방재안전관리사중앙회
방재안전관리사 이태식 박사@Caind2015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