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보적 동요제어기능 실현한 한국 수상계류장치 출현을 表한다!
자연은 회피해서 극복되진 않는다. 고금을 막론하고 그런 자들이 선각자인 적은 없다. 임시방편은 될지언정 말이다. 근본적 대책 없이 대규모 시설을 건설한다는 것은 자연의 경고를 무시한 꾀있는 자의 욕심과 무책임의 發露(발로)라고 밖에 말할 방법이 없다.
개요:
수위변화 대응력 부재로 방향 못잡는 수상 태양광과 계류장치로 새만금에 부유식 방파제를 안전하게 설치 가능할까? 바로 아래 사진은 현재의 기술력만으로 수상 태양광을 수행한다는것은 무모하기 그지없는 행위이자 이분야에 몸담고 있는 다수의 엔지니어를 배신하는 짓이요 모멸감을 주고 희망을 짖밝는 행위임을 여실히 보여준다.
1.서론:
새만금 내 수상태양광 설치 예정위치에서 바람에 의해 생성되는 풍파는 최대 26.6m/s와 29.3m/s가 일어난다. 동지역 내 수상 태양광 실증단지를 보면 태양전지가 모두 누어져서 설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새만금 수상 태양광 설치계획을 보면 외측에 부유식 방파제를 조성한다. 과연 지금 이대로 가능할까? 독창적 계류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한 동요제어 기술이 있어야 가능하다. 제주신항만공사 때 부유식 방파제 연구를 한적이 있다. 그이후 부유식 풍력발전기 연구 때도 비슷한 연구가 있었다. 수상 태양광 연구에서도 비슷한 연구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모두 뚜렷한 성과는 없다. 막대한 국가연구비 지원을 받았음에도 성공했다는 소식은 들려오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새만금에 부유식 방파제를 설치한다는 계획이 발표된 후로 한국농어촌연구원도 동일한 내용이 담긴 연구를 진행중이다. 그만금 필요성은 있으나 성공을 보장 못받는 계류분야 기술이다.
2.본론:
작금에 설치하는 수상 태양광의 경우를 봐도 경사각을 12도 내외로 낮추는데 이는 적합한 수상 태양광 계류장치기술이 없으니 풍압으로 인한 부하를 줄여보기 위한 궁여지책이다. 풍압이 주는 악영향으로부터 오로지 부유구조물을 버티는 방법이란것이 바람을 피하는 것이지만 이방법으로 부유 구조체의 피로도 저감과 내구력 유지에는 도움이 될지라도 발전량과 사업수익이 급감하는 막막한 상황과 마주해야 한다. 이경우 수상 태양광 발전에 부여하는 가중치로 적자를 보전한다는 의도를 가지고 조성하게 된다. 이리하면 낮은 수익구조로 인해 시설 안전성이 취약해져서 외력에 위험 노출횟수가 증가한다. 관련 사건은 서산 대호호에 조성중인 한국농어촌공사와 동서발전 간 다툼과 올해초 대호호 수상 태양광 파손 침수 침몰 사례로 알 수 있다. 아래 표를 보면 경사각을 12도 내외로 낮추어 설치한 수상 태양광인 경우 대비 12% 발전량이 급감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계절별 일사효율 분석표는 오랜동안 태양광 발전을 연구하면서 축적된 자료를 근거로 작성된 것이라 오차는 없는 것으로 봐야한다.
이와같은 상황은 부유식 방파제도 다르지 않다. 부유식 방파제는 수상 태양광 시설 외곽에서 파도와 바람을 먼저 맞닥트리는 위치에 있고 이들 외력으로부터 수상의 발전시설을 보호하려는 목적성을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수평이동 제어기술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 선박이나 해상에서 사용하던 고박방식을 적용하면 파도를 막지못하고 그냥 투과시키게 되며 바람막기는 커녕 방파제 스스로를 주체하는데 한계에 봉착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부유식 방파제와 수상 태양광이 추돌하는 위험한 상황이 벌어지면 이런 위기상황을 대응할 능력이 없으니 눈앞에서 전체 시설이 파손 침몰되는 순간 아무런 조치도 못취한채 수수방관하게 된다. 이와 유사한 상황은 올초 충남 대호호 100MW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중 파손 침몰 사건이 벌어졌을 때 발생했다. 당시 23m/sec의 바람이 불었다. 수평이동을 허용하게 되면 그다음은 공명현상이 뒤따른다. 이 상황에 이르게 되면 수상 부유체는 계류장치의 도움 없이는 위치를 지키고 방향을 유지하는것은 불가하다. 새만금 실증단지 내 수상태양광 역시 상황을 다르지 않다.
3.결론:
수위변화와 외력은 기존 계류장치로는 구조물 방식인 부유식 방파제가 외력로부터 수상 태양광이 받는 충격을 완화 제거하는데 적합하지 않게 한다. 특히 새만금에 수상 태양광을 설치하면 고박이 느슨해지면서 풍압과 수변환경의 영향을 받아 연결부위에 크고 작은 충격을 지속적으로 받게 된다. 이는 부유 구조체의 와해와 부력체와 강제 구조간 비동기 진동을 증폭시겨서 충돌 파손 침수 침몰로 이어지는 붕괴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기존 설치방식은 강한 장력을 받고 있어서 부분파손이 일어나도 수리가 곤란하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는 새만금에 부유식 방파제를 설치하려는 취지에 맞게 기능하기 위해서 극복해야 하는 까다로운 조건으로 지속적인 동요가 시설 파손 붕괴로 이어지는 직접적인 요인이다.
아래 사진들은 방향을 잡지 못하고 위치조차 고수한채 부유식 방파제를 설치하려는 행위는 목적에 관계없이 허구적 행위 그이상도 그이하도 아님을 보여준다. 책임을 전가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면 진정성 있는 노력을 보이고 기술로 말해야 한다. 기술을 증명함에 있어서 작고 큼의 차이는 무의미 하다. 허나 작은 시설이든 규모가 큰 시설이든 간에 요건의 적합성 완벽성을 이루지 못한 현새만금 수상 태양광은 대오각성해야 한다. 엔지니어가 기술적 자존심을 버리고 오만과 물욕에 눈이 멀어서 부끄러움을 모르면 발 담고 있는 자 모두가 망할것이다.
자신 없는 자의 위세는 허망할 따름이다. 더이상 시간 축내지 말고 물러서는 것이 生을 구하는 길이다.
준비된 자의 용기는 희생으로 증명한다. 문제를 비껴나가려하는 자의 교활함은 조만간 일어날 실패를 전제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관련기사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288035
관련기사2: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6929188
#별첨:
1. 아이앤아이월드의 독창적인 'AC융복합계류장치'
'독창적인 동요제어 기능을 가진 계류기술' 개발은 알키미스트 프로젝트로 그출현은 인고의 시간을 거쳐서 한국에서 일어났다. 수상의 모든 시설에 적용가능한 본기술 개발 성공은 가능성 제로에 가까운 사건이다. 새만금 수상 태양광 관련 문제들의 해법은 모두 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 수상에 떠있는 모든 구조체는 방향과 위치를 유지할 때 더욱 존재적 의미가 있다,
부유식 방파제가 특히 그렇다. 그렇기 위해선 적합한 계류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AC융복합계류장치'는 강한 이식성을 갖고 있으며 기존 기술들이 구현하지 못한 기능을 갖고 있어서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지금 새만금은 독창적인 진동제어 기술의 산물인 AC융복합계류장치만이 구현 가능한 상황이 연일 계속되고 있다!
2. 아이앤아이월드 수상 태양광 발전기술 특징:
(1)무축 회전식은 축이 없기 때문에 축공사비 절감
(2)축과 구조물간의 충돌이 없기 때문에 유지관리 장점
(3)태풍이 오는 경우, AC 융복합계류 시스템으로 고정하여 강한 바람에도 안전
(4)AC 융복합계류시설을 이용하여 오탁방지막을 설치하면 홍수로 인한 부유물로부터 발전시설 보호 가능
(5)AC 융복합계류장치를 활용하여 소파제 설치하면 파도 필터링 기능 제공
(6)무축 회전식은 축공사가 불필요하여서 "파일공사"로 인한 담수의 '누수현상' ‘파이핑(Piping) 현상'을 방지
(7)AC 융복합계류장치는 저수지 바닥면 암반의 균열에 의한 "제방·사면 균열, 침하" 등 붕괴위험 문제 사전 차단 가능
3. 관련논문:
1.[국내 학술논문 발표 자료]: The Pivotless Tracking Type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and the Collected Data Analysis
Hongsub Jee1) ․ Minwoo Kim2) ․ Jaesung Bae1) ․ Jeongho Jeong1) ․ Jaehyeong Lee1)* 1)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16419, Korea
2)INIworld Co., Ltd. Suwon, 16417, Korea
Received November 23, 2021; Revised December 16, 2021; Accepted December 16, 2021
3).URLhttps://journal.kpvs.or.kr/articles/pdf/d28a/cpr-2021-009-04-4.pdf
2.[외국 학술논문 발표 자료]:Comparing the Performance of Pivotless Tracking and Fixed-Type Floating Solar Power Systems
by Hongsub Jee 1,Yohan Noh 1,Minwoo Kim 2 andJaehyeong Lee 1,*ORCID
1).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16419, Republic of
Korea
2). INIworld Co., Ltd., Suwon 16417, Republic of Korea*
Author to whom correspondence should be addressed.
Appl. Sci. 2022, 12(24), 12926; https://doi.org/10.3390/app122412926
Received: 13 November 2022 / Revised: 8 December 2022 / Accepted: 15 December 2022 / Published: 16 December 2022
3).URLhttps://www.mdpi.com/2076-3417/12/24/12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