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 화(火)의 치료(治)를 논(論)하다
실화(實火)를 치료(治)하는 제법(諸法)
모든 미열(微熱)의 기(氣)는 오직 양(凉)으로 이를 화(和)하게 하니, 사신음(徙薪飮) 사음전(四陰煎) 이음전(二陰煎) 혹 가감일음전(加減一陰煎) 황금작약탕(黃芩芍藥湯) 황금청폐음(黃芩淸肺飮)의 종류(類)가 마땅하니, 마땅함을 참작(酌)하여 이를 사용(用)하여야 한다.
대열(大熱)의 기(氣)는 반드시 한(寒)으로 이를 제(除)하니, 마땅히 추신음(抽薪飮) 백호탕(白虎湯) 태청음(太淸飮) 황연해독탕(黃連解毒湯) 옥천산(玉泉散) 삼보환(三補丸)의 종류(類)로 이를 주(主)하여야 한다.
화(火)가 심(甚)하여 창만(脹滿) 폐결(閉結) 실열(實熱)을 겸하면 마땅히 양격산(凉膈散) 팔정산(八正散) 삼황환(三黃丸) 대금화환(大金花丸)의 종류(類)로 이를 주(主)하여야 한다.
대개 화(火)가 성(盛)하여 허번(虛煩) 건갈(乾渴)하거나 혹 열독(熱毒)이 풀리기 어려우면 마땅히 녹두음(綠豆飮)이나 설리장(雪梨漿)을 써야 하니, 약(藥)을 복용하는 사이(:間)에 조석(朝夕)으로 이를 음(飮)하여야 한다. 퇴화(退火) 해독(解毒)에 가장 신속(速)하면서 또한 상(傷)하게 하는 것도 없으니 진실로 묘(妙)한 법(法)이다.
一. 울열(鬱熱)의 화(火)는 마땅히 산(散)하여 이를 풀어야 한다.
만약 외사(外邪)의 울복(鬱伏)으로 열(熱)이 되면 마땅히 정시호음(正柴胡飮) 소시호음(小柴胡飮)이나 혹 승양산화탕(升陽散火湯)의 종류(類)로 이를 주(主)하여야 한다.
만약 울열(鬱熱)이 경(經)에 있어 옹저(癰疽)가 되고 창진(瘡疹)이 되면 마땅히 연교귀미전(連翹歸尾煎)이나 혹 작약질려전(芍藥蒺藜煎)이나 혹 당귀질려전(當歸蒺藜煎)의 종류(類)로 이를 주(主)하여야 한다. 혹은 본문(本門)에서 그 법(法)을 구(求)하여 이를 치료(治)하여야 한다.
이들은 모두 "화울(火鬱)은 발(發)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一. 허화(虛火)와 가열(假熱)은 그 기(氣)가 모두 허(虛)하여 본래 서로 유사(類)한 것 같지만, 음양(陰陽)의 편승(偏勝)에도 또한 차이(:不同)가 있다.
만약 음허(陰虛)로 열(熱)이 생(生)하면 이는 수(水)가 화(火)를 제(濟)하기에 부족(不足)한 것이니, 치료(治)는 마땅히 보음(補陰)하여 그 화(火)를 식(息)하여야 한다. 마땅히 일관전(一陰煎) 좌귀음(左歸飮) 좌귀환(左歸丸)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의 종류(類)로 이를 주(主)하여야 한다. 이는 소위(所謂) '수(水)의 주(主)를 장(壯)한다.'는 것이다.
만약 한(寒)의 극(極)으로 열(熱)이 생(生)하면 화(火)가 귀원(歸原)하지 못하니 즉 음성(陰盛) 격양(隔陽)의 가열증(假熱證)이 된다. 치료(治)는 마땅히 혈기(血氣)를 온보(溫補)하여 그 열(熱)이 저절로 물러가게 한다. 마땅히 이음전(理陰煎) 우귀음(右歸飮) 이중탕(理中湯) 대보원전(大補元煎) 육미회양음(六味回陽飮)의 종류(類)로 이를 주(主)하여야 한다. 이는 소위(所謂) '화(火)의 원(源)을 익(益)한다.' 는 것이고, 또한 '온(溫)은 대열(大熱)을 제(除)할 수 있다.'고 말한 것이다.
대개 가열(假熱)의 증(證)은 신음(腎陰)이 크게 허(虛)하므로 양(陽)이 부(附)할 곳이 없고 외(外)로 부산(浮散)하므로 도리어 외(外)에 열(熱)이 많게 된 것이다. 이는 내(內)는 진한(眞寒)이고 외(外)는 가열(假熱)이다. 만약 진음(眞陰)을 준보(峻補)하지 않으면 어떻게 그 원기(元氣)를 회복(復)시키겠는가? 원기(元氣)가 회복(復)되지 못하면 반드시 산(散)으로 말미암아 다하게 된다.
다만, 외열(外熱)이 심(甚)하면 대부분 구창(口瘡) 설렬(舌裂)하고 후건(喉乾) 인통(咽痛)하며 번갈(煩渴) 희랭(喜冷) 등의 증(證)이 나타나므로 신열(辛熱)하여 온보(溫補)하는 방제(劑)도 복용(:入口)하기 어렵다.
따라서 설립재(薛立齋)가 한주동(韓州同)의 노열(勞熱)을 치(治)할 때, 가감팔미환(加減八味丸)의 약료(料) 1근(斤)에 육계(肉桂) 1냥(兩)을 넣고 5~6사발(:碗)이 되도록 달인(:煎) 후, 물에 담아(:浸) 차게(:氷冷)하여 복용(服)하게 하였으니, 이 법(法)이 최선(最善)이다.
내가 이를 본받아(:效), 일찍이 최씨팔미환(崔氏八味丸)의 약료(:料)나 혹 우귀음(右歸飮)을 써서 음허(陰虛) 가열(假熱)의 상한(傷寒) 및 노열(勞熱)의 번갈(煩渴) 등의 증(證)을 치료(治)하였으니, 이를 복용(服)한 후에 (증상이) 한꺼번에(:頓) 물러났다. 허한(虛寒)이 전부 나타나면 온보(溫補)를 투여(:進)하였으니 낫지 않는 경우가 없었다. 이는 진실로 신묘(神妙)한 치법(法)이다.
一. 실화(實火)는 마땅히 사(瀉)하여야 하고 허화(虛火)는 마땅히 보(補)하여야 하니, 이는 진실로 그 법(法)이다.
그런데 허(虛)한 중에 실(實)이 있으면 그 치료(治)는 마땅히 보(補)를 위주(爲主)로 하되 청(淸)을 겸하지 않을 수 없으니, 가감일음전(加減一陰煎) 보음전(保陰煎)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단계보음환(丹溪補陰丸)의 종류(類)가 그것이다.
만약 실(實)한 중에 허(虛)가 있으면 그 치(治)는 마땅히 청(淸)을 위주(爲主)로 하되 참작(酌)하여 보(補)를 겸하여야 하니, 청화음(淸化飮) 사신음(徙薪飮) 대보음환(大補陰丸)의 종류(類)가 그것이다.
대개 이러한 허(虛) 중의 실(實), 실(實) 중의 허(虛)는 본래 제한(:限)된 법칙(:則)이 없으므로 '열(熱)은 반드시 허(虛)가 없다.', '허(虛)는 반드시 열(熱)이 없다.'고 말하면 안 된다.
다만 약간 허(虛)하면 마땅히 약간의 보(補)를 따라야 하고, 약간 열(熱)하면 마땅히 약간의 청(淸)을 따라야 한다.
만약 열(熱)이 허(虛)보다 배(倍)인데 이를 청(淸)하여도 미치지 못한다면 점차 증(增)하여도 해(害)가 없느니라. 만약 허(虛)가 열(熱)보다 배(倍)인데 이를 청(淸)하여도 크게 과(過)하다면 원양(元陽)까지 벌(伐)하게 된다.
대개 화(火)를 치(治)할 때는 이러한 의미(:義)를 알지 않으면 안 된다.
一. 사화(瀉火)하는 제약(諸藥)
황연(黃連) 치자(梔子)는 심(心) 간(肝) 대장(大腸)의 화(火)를 사(瀉)한다.
산치인(山梔仁)은 화(火)를 강(降)하여 소변(小便)을 따라 나가게 하니, 그 성(性)은 굴(屈)하여 하행(下行)케 한다.
석고(石膏)는 장위(腸胃)의 화(火)를 사(瀉)하니, 양명경(陽明經)에 실열(實熱)이 있으면 이것이 아니면 안 된다.
황금(黃芩)은 비(脾) 폐(肺) 대장(大腸)의 화(火)를 청(淸)한다.
황백(黃栢)은 간(肝) 신(腎)의 경(經)의 화(火)를 사(瀉)한다.
지모(知母)는 폐(肺) 위(胃) 간(肝) 신(腎)의 화(火)를 사(瀉)한다.
지골피(地骨皮)는 음(陰) 중의 화(火)를 퇴(退)하니, 골증(骨蒸) 야열(夜熱)을 잘 제(除)한다.
생지황(生地) 맥문동(麥冬)은 간(肝) 폐(肺)를 청(淸)하고 혈(血) 중의 화(火)를 양(凉)한다.
천문동(天門冬)은 폐(肺)와 대장(大腸)의 화(火)를 사(瀉)한다.
상백피(桑白皮) 천패모(川貝母) 토패모(土貝母)는 상초(上焦)의 폐(肺) 위(胃)의 화(火)를 해(解)한다.
시호(柴胡) 갈근(葛根)은 간(肝) 비(脾) 제경(諸經)의 울화(鬱火)를 해(解)한다.
용담초(龍膽草)는 간(肝) 신(腎) 방광(膀胱)의 화(火)를 사(瀉)한다.
괴화(槐花)는 간(肝) 신(腎) 대장(大腸)의 화(火)를 청(淸)하고 제독(諸毒)을 해(解)한다.
작약(芍藥) 석곡(石斛)은 비위(脾胃)의 화(火)를 청(淸)한다.
활석(滑石)은 소장(小腸) 방광(膀胱)의 화(火)를 통(通)한다.
천화분(天花粉)은 청담(淸痰) 지갈(止渴)하고 상초(上焦)의 화(火)를 해(解)한다.
연교(連翹)는 제경(諸經)의 부화(浮火)를 사(瀉)한다.
현삼(玄蔘)은 상초(上焦)의 부화(浮火)를 청(淸)한다.
산두근(山豆根)은 인후(咽喉)의 화(火)를 해(解)한다.
담남성(膽星)은 심(心) 비(脾) 위완(胃脘)의 담화(痰火)를 개(開)한다.
청대(靑黛) 노회(蘆薈) 호황련(胡黃蓮)은 오장(五臟)의 감열(疳熱) 울화(鬱火)를 사(瀉)한다.
고삼(苦蔘)은 감식(疳蝕)의 화(火)를 사(瀉)한다.
목통(木通)은 하행(下行)하니, 소장(小腸)의 화(火)를 사(瀉)한다.
택사(澤瀉) 차전자(車前子)는 융폐(癃閉)의 화(火)를 이(利)한다.
인중백(人中白)은 간(肝) 비(脾) 신(腎)의 음화(陰火)를 청(淸)한다.
동변(童便)은 음(陰) 중의 혈분(血分)의 부화(浮火)를 강(降)한다.
대황(大黃) 박초(朴硝)는 양명(陽明) 제경(諸經)에 실열(實熱)의 화(火)를 사(瀉)한다.
인삼(人蔘) 황기(黃芪) 백출(白朮) 감초(甘草)는 기허(氣虛) 기탈(氣脫)로 양분(陽分)의 산실(散失)한 화(火)를 제(除)한다.
숙지황(熟地黃) 당귀(當歸) 구기자(枸杞子) 산수유(山茱萸)는 심신불교(心腎不交)로 음분(陰分)에 무근(無根)한 화(火)를 자(滋)한다.
부자(附子) 건강(乾薑) 육계(肉桂)는 원양(元陽)의 실위(失位)로 음성(陰盛) 격양(格陽)한 화(火)를 구(救)한다.
대개 이는 화(火)를 치(治)하는 법(法)이니, 이것이 전부이다.
그러나 이 또한 그 전제(筌蹄)를 말한 것에 불과(不過)할 뿐이니, 신(神)으로 통(通)하여야 하고, 원래 붓과 종이(:筆楮 곧 글)로 다 말할 수 없는 것이다.
첫댓글 실화(實火)를 치료(治)하는 제법(諸法)
미열(微熱)의 기(氣)는 오직 양(凉)으로 이를 화(和)
사신음(徙薪飮) 사음전(四陰煎) 이음전(二陰煎) 혹 가감일음전(加減一陰煎) 황금작약탕(黃芩芍藥湯) 황금청폐음(黃芩淸肺飮)의 종류(類)
대열(大熱)의 기(氣)는 반드시 한(寒)으로 이를 제(除)
추신음(抽薪飮) 백호탕(白虎湯) 태청음(太淸飮) 황연해독탕(黃連解毒湯) 옥천산(玉泉散) 삼보환(三補丸)의 종류(類)
화(火)가 심(甚)하여 창만(脹滿) 폐결(閉結) 실열(實熱)을 겸
양격산(凉膈散) 팔정산(八正散) 삼황환(三黃丸) 대금화환(大金花丸)의 종류(類)
화(火)가 성(盛)하여 허번(虛煩) 건갈(乾渴)하거나 혹 열독(熱毒)이 풀리기 어려우면
녹두음(綠豆飮)이나 설리장(雪梨漿)
허화(虛火)와 가열(假熱)은 그 기(氣)가 모두 허(虛)하여 본래 서로 유사(類)한 것 같지만, 음양(陰陽)의 편승(偏勝)에도 또한 차이(:不同)가 있다.
음허(陰虛)로 열(熱)이 생(生)하면 이는 수(水)가 화(火)를 제(濟)하기에 부족(不足)한 것
보음(補陰)하여 그 화(火)를 식(息)
일관전(一陰煎) 좌귀음(左歸飮) 좌귀환(左歸丸)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의 종류(類)
소위(所謂) '수(水)의 주(主)를 장(壯)한다.'는 것
한(寒)의 극(極)으로 열(熱)이 생(生)하면 화(火)가 귀원(歸原)하지 못하니 즉 음성(陰盛) 격양(隔陽)의 가열증(假熱證)이 된다.
혈기(血氣)를 온보(溫補)하여 그 열(熱)이 저절로 물러가게 한다.
이음전(理陰煎) 우귀음(右歸飮) 이중탕(理中湯) 대보원전(大補元煎) 육미회양음(六味回陽飮)의 종류(類)
소위(所謂) '화(火)의 원(源)을 익(益)한다.' 는 것
'온(溫)은 대열(大熱)을 제(除)할 수 있다.'고 말한 것
가열(假熱)의 증(證)은 신음(腎陰)이 크게 허(虛)하므로 양(陽)이 부(附)할 곳이 없고 외(外)로 부산(浮散)하므로 도리어 외(外)에 열(熱)이 많게 된 것
이는 내(內)는 진한(眞寒)이고 외(外)는 가열(假熱)
진음(眞陰)을 준보(峻補)
외열(外熱)이 심(甚)하면 대부분 구창(口瘡) 설렬(舌裂)하고 후건(喉乾) 인통(咽痛)하며 번갈(煩渴) 희랭(喜冷) 등의 증(證)이 나타나므로 신열(辛熱)하여 온보(溫補)하는 방제(劑)도 복용(:入口)하기 어렵다.
따라서 가감팔미환(加減八味丸)의 약료(料) 1근(斤)에 육계(肉桂) 1냥(兩)을 넣고 5~6사발(:碗)이 되도록 달인(:煎) 후, 물에 담아(:浸) 차게(:氷冷)하여 복용(服)
최씨팔미환(崔氏八味丸)의 약료(:料)나 혹 우귀음(右歸飮)을 써서 음허(陰虛) 가열(假熱)의 상한(傷寒) 및 노열(勞熱)의 번갈(煩渴) 등의 증(證)을 치료(治)
허한(虛寒)이 전부 나타나면 온보(溫補)를 투여(:進)
실화(實火)는 마땅히 사(瀉)하여야 하고
허화(虛火)는 마땅히 보(補)하여야 하니, 이는 진실로 그 법(法)이다.
허(虛)한 중에 실(實)이 있으면 보(補)를 위주(爲主)로 하되 청(淸)을 겸
가감일음전(加減一陰煎) 보음전(保陰煎)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단계보음환(丹溪補陰丸)의 종류(類)
실(實)한 중에 허(虛)가 있으면 청(淸)을 위주(爲主)로 하되 보(補)를 겸
청화음(淸化飮) 사신음(徙薪飮) 대보음환(大補陰丸)의 종류(類)
약간 허(虛)하면 마땅히 약간의 보(補)를 따라야 하고,
약간 열(熱)하면 마땅히 약간의 청(淸)을 따라야 한다.
열(熱)이 허(虛)보다 배(倍)인데 이를 청(淸)하여도 미치지 못한다면 점차 증(增)
허(虛)가 열(熱)보다 배(倍)인데 이를 청(淸)하여도 크게 과(過)하다면 원양(元陽)까지 벌(伐)한다.
사화(瀉火)하는 제약(諸藥)
황연(黃連) 치자(梔子)는 심(心) 간(肝) 대장(大腸)의 화(火)를 사(瀉)한다.
산치인(山梔仁)은 화(火)를 강(降)하여 소변(小便)을 따라 나가게 하니, 그 성(性)은 굴(屈)하여 하행(下行)케 한다.
석고(石膏)는 장위(腸胃)의 화(火)를 사(瀉)하니, 양명경(陽明經)에 실열(實熱)이 있으면 이것이 아니면 안 된다.
황금(黃芩)은 비(脾) 폐(肺) 대장(大腸)의 화(火)를 청(淸)한다.
황백(黃栢)은 간(肝) 신(腎)의 경(經)의 화(火)를 사(瀉)한다.
지모(知母)는 폐(肺) 위(胃) 간(肝) 신(腎)의 화(火)를 사(瀉)한다.
지골피(地骨皮)는 음(陰) 중의 화(火)를 퇴(退)하니, 골증(骨蒸) 야열(夜熱)을 잘 제(除)한다.
생지황(生地) 맥문동(麥冬)은 간(肝) 폐(肺)를 청(淸)하고 혈(血) 중의 화(火)를 양(凉)한다.
천문동(天門冬)은 폐(肺)와 대장(大腸)의 화(火)를 사(瀉)한다.
상백피(桑白皮) 천패모(川貝母) 토패모(土貝母)는 상초(上焦)의 폐(肺) 위(胃)의 화(火)를 해(解)한다.
시호(柴胡) 갈근(葛根)은 간(肝) 비(脾) 제경(諸經)의 울화(鬱火)를 해(解)한다.
용담초(龍膽草)는 간(肝) 신(腎) 방광(膀胱)의 화(火)를 사(瀉)한다.
괴화(槐花)는 간(肝) 신(腎) 대장(大腸)의 화(火)를 청(淸)하고 제독(諸毒)을 해(解)한다.
작약(芍藥) 석곡(石斛)은 비위(脾胃)의 화(火)를 청(淸)한다.
활석(滑石)은 소장(小腸) 방광(膀胱)의 화(火)를 통(通)한다.
천화분(天花粉)은 청담(淸痰) 지갈(止渴)하고 상초(上焦)의 화(火)를 해(解)한다.
연교(連翹)는 제경(諸經)의 부화(浮火)를 사(瀉)한다.
현삼(玄蔘)은 상초(上焦)의 부화(浮火)를 청(淸)한다.
산두근(山豆根)은 인후(咽喉)의 화(火)를 해(解)한다.
담남성(膽星)은 심(心) 비(脾) 위완(胃脘)의 담화(痰火)를 개(開)한다.
청대(靑黛) 노회(蘆薈) 호황련(胡黃蓮)은 오장(五臟)의 감열(疳熱) 울화(鬱火)를 사(瀉)한다.
고삼(苦蔘)은 감식(疳蝕)의 화(火)를 사(瀉)한다.
목통(木通)은 하행(下行)하니, 소장(小腸)의 화(火)를 사(瀉)한다.
택사(澤瀉) 차전자(車前子)는 융폐(癃閉)의 화(火)를 이(利)한다.
인중백(人中白)은 간(肝) 비(脾) 신(腎)의 음화(陰火)를 청(淸)한다.
동변(童便)은 음(陰) 중의 혈분(血分)의 부화(浮火)를 강(降)한다.
대황(大黃) 박초(朴硝)는 양명(陽明) 제경(諸經)에 실열(實熱)의 화(火)를 사(瀉)한다.
인삼(人蔘) 황기(黃芪) 백출(白朮) 감초(甘草)는 기허(氣虛) 기탈(氣脫)로 양분(陽分)의 산실(散失)한 화(火)를 제(除)한다.
숙지황(熟地黃) 당귀(當歸) 구기자(枸杞子) 산수유(山茱萸)는 심신불교(心腎不交)로 음분(陰分)에 무근(無根)한 화(火)를 자(滋)한다.
부자(附子) 건강(乾薑) 육계(肉桂)는 원양(元陽)의 실위(失位)로 음성(陰盛) 격양(格陽)한 화(火)를 구(救)한다.
이는 화(火)를 치(治)하는 법(法)이니, 이것이 전부.
요약
1. 실화를 치료하는 법
2. 허화 가열을 치료하는 법
3. 허중실 실중허의 치료법
4. 사화하는 제약들
◆ 실화(實火)를 치료(治)하는 법(法)
미열(微熱)의 기(氣)는 오직 양(凉)으로 이를 화(和) - 사신음(徙薪飮) 사음전(四陰煎) 이음전(二陰煎) 혹 가감일음전(加減一陰煎) 황금작약탕(黃芩芍藥湯) 황금청폐음(黃芩淸肺飮)의 종류(類)
대열(大熱)의 기(氣)는 반드시 한(寒)으로 이를 제(除) - 추신음(抽薪飮) 백호탕(白虎湯) 태청음(太淸飮) 황연해독탕(黃連解毒湯) 옥천산(玉泉散) 삼보환(三補丸)의 종류(類)
화(火)가 심(甚)하여 창만(脹滿) 폐결(閉結) 실열(實熱)을 겸 - 양격산(凉膈散) 팔정산(八正散) 삼황환(三黃丸) 대금화환(大金花丸)의 종류(類)
화(火)가 성(盛)하여 허번(虛煩) 건갈(乾渴)하거나 혹 열독(熱毒)이 풀리기 어려우면 녹두음(綠豆飮)이나 설리장(雪梨漿)
허화(虛火)와 가열(假熱)의 치료
음허(陰虛)로 열(熱)이 생(生)하면 이는 수(水)가 화(火)를 제(濟)하기에 부족(不足)한 것 - 보음(補陰) - 일관전(一陰煎) 좌귀음(左歸飮) 좌귀환(左歸丸)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한(寒)의 극(極)으로 열(熱)이 생(生)하면 화(火)가 귀원(歸原)하지 못하여 음성(陰盛) 격양(隔陽)의 가열증(假熱證) - 혈기(血氣)를 온보(溫補) - 이음전(理陰煎) 우귀음(右歸飮) 이중탕(理中湯) 대보원전(大補元煎) 육미회양음(六味回陽飮)
가열증(假熱證)
내(內)는 진한(眞寒)이고 외(外)는 가열(假熱) - 진음(眞陰)을 준보(峻補)
외열(外熱)이 심(甚)하면 대부분 구창(口瘡) 설렬(舌裂)하고 후건(喉乾) 인통(咽痛)하며 번갈(煩渴) 희랭(喜冷) 등의 증(證)이 나타나므로 신열(辛熱)하여 온보(溫補)하는 방제(劑)도 복용(:入口)하기 어렵다. - 가감팔미환(加減八味丸)의 약료(料) 1근(斤)에 육계(肉桂) 1냥(兩)을 넣고 물에 담아(:浸) 차게(:氷冷) 복용(服)
최씨팔미환(崔氏八味丸)의 약료(:料)나 혹 우귀음(右歸飮) 투여
허한(虛寒)이 전부 나타나면 온보(溫補)를 투여(:進)
허(虛)한 중에 실(實)이 있으면 보(補)를 위주(爲主)로 하되 청(淸)을 겸 - 가감일음전(加減一陰煎) 보음전(保陰煎)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단계보음환(丹溪補陰丸)
실(實)한 중에 허(虛)가 있으면 청(淸)을 위주(爲主)로 하되 보(補)를 겸 - 청화음(淸化飮) 사신음(徙薪飮) 대보음환(大補陰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