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생어구(禍生於口)
재앙은 입에서 나온다는 뜻으로, 말조심을 하라는 말이다.
禍 : 재앙 화(示/9)
生 : 날 생(生/0)
於 : 어조사 어(方/4)
口 : 입 구(口/0)
(유의어)
구화지문(口禍之門)
출전 : 성대중(成大中)의 청성잡기(靑城雜記) 질언(質言)
말은 한 사람의 입에서 나오지만 천 사람의 귀로 들어간다. 한 번 뱉은 말은 두 번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불교에서 말하는 십악(十惡) 중에서 허망한 말을 망어(妄語), 꾸며대는 말을 기어(綺語), 남에게 욕하는 말을 악구(惡口), 이간질하는 말을 양설(兩舌) 등 말에서 비롯된 것이 네 가지나 들어있어 말의 중요성, 위험성을 가르친다.
풍도(馮道)의 설시(舌詩)에서 따와 유명한 '말은 재앙을 불러들이는 문'이라는 구화지문(口禍之門)을 비롯한 경계의 말은 동서막론하고 숱하다.
모든 재앙이 일어나는(禍生) 곳은 입으로부터(於口)라고 한 말도 같다. 이 성어는 조선 후기 학자이자 문신 성대중(成大中)의 문집에 실려 있다.
그의 잡록집 청성잡기(靑城雜記)의 질언(質言) 부분에 나온다고 한다. 말에 관한 명언 몇 부분을 옮겨보자.
內不足者 其辭煩,
心無主者 其辭荒.
내면의 수양이 부족한 사람은 그 말이 번잡하고, 마음에 주관이 없는 사람은 그 말이 거칠다.
다시 좋은 말이 이어진다.
禍生於口(화생어구)
憂生於眼(우생어안)
病生於心(병생어심)
垢生於面(구생어면)
화는 입에서 생기고, 근심은 눈에서 생기고, 병은 마음에서 생기고, 허물은 체면에서 생긴다.
이 구절은 글 쓰는 사람들이 즐겨 인용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명심보감(明心寶鑑)에 말의 중요성을 깨우치는 것이 빠질 수 없다.
利人之言 煖如綿絮,
傷人之語 利如荊棘.
사람을 이롭게 하는 말은 따뜻하기가 솜과 같고, 사람을 상하게 하는 말은 가시와 같다.
一言半句 重値千金,
一語傷人 痛如刀割.
한마디라도 무겁기가 천금과 같고, 한마디 말이 상하게 할 때는 아프기가 칼로 베는 것 같다.
화생어구(禍生於口)
이 성어는 조선조 영조, 정조 때 문신인 성대중(成大中)이 쓴 청성잡기(靑城雜記) 제2권 질언(質言; 신의 생각을 사실 그대로 단정해서 하는 말)에 나오는 말로 일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營營苟苟, 惟食是求者, 未離乎禽獸也.
염치 불고하고 먹기만을 추구하는 자는 짐승과 다를 것이 없고,
盱盱奔奔, 惟利是趨者, 未離乎盜賊也.
눈을 번득이며 달려가 이익만을 좇는 자는 도적과 다를 것이 없다.
瑣瑣齪齪, 惟私是務者, 未離乎駔儈也.
잗달고 소심하여 제 일만을 챙기는 사람은 거간꾼과 다를 것이 없고,
翕翕訿訿, 惟邪是比者, 未離乎鬼魅也.
패거리를 지어 비방하면서 사악한 사람만을 가까이하는 자는 도깨비와 다를 것이 없다.
炎炎顚顚, 惟氣是尙者, 未離乎夷狄也.
기세를 믿고 기운만을 앞세우는 자는 오랑캐와 다를 것이 없고,
詹詹喋喋, 惟勢是附者, 未離乎僕妾也.
수다를 떨며 권세가만을 붙좇는 자는 종이나 첩과 다를 것이 없다.
內不足者, 其辭煩, 心無主者, 其辭荒.
내면의 수양이 부족한 사람은 그 말이 번잡하고, 마음에 주관이 없는 사람은 그 말이 거칠다.
禍生於口, 憂生於眼,
病生於心, 垢生於面.
화는 입에서 생기고, 근심은 눈에서 생기고, 병은 마음에서 생기고, 허물은 체면에서 생긴다.
화생어구(禍生於口)
말은 소통의 도구이다. 아니 생명의 상징이다. 김춘수는 그의 시 ‘꽃’에서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고 노래했다. 꽃이라는 사물에 꽃이라는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비로소 꽃은 의미를 가지게 된다.
사람이 언어를 사용하고 그 언어로 대상을 호명하는 행위는 사람의 욕망이 개입된다는 것을 시인은 사유하고 있다. 사람들은 표현되는 말을 통해 인정받고 사랑받으면 존재감을 넘어 그 이상의 기쁨을 느낀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香氣)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하지만 같은 사람이 말을 해도 대상과 사물, 환경에 따라 달라지곤 한다. 옳다 그르다를 떠나 언어에는 자의성(恣意性)이 있기에 그렇다.
사람이 ‘꽃’이라고 했기에 꽃일 뿐, 애초에 ‘나비’라고 불렀다면 나비로 불리고 있을 것이다.
노자의 도덕경 첫머리에 “도를 도라고 불러 되겠지만 늘 도라고 말할 필요는 없다. 사물의 이름은 지금의 이름으로 불러도 되겠지만 늘 그렇게 부를 필요는 없다(道可道非常道, 名可名非常名)”는 말이 나온다. 언어는 그 이름이 항상 고정돼 있지 않다는 의미이다.
사리가 그렇다 해도 말은 신중해야 한다. 언어는 의사교환의 수단이자 사물의 의미를 규정하거나 그 의미를 확정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말이 많은 다언(多言)이나 준비되지 않은 말, 곧 실언(失言)은 예상하지 못한 후유증을 낳는다.
그래서 당나라의 풍도(馮道)는 “입을 닫고 혀를 깊이 감추면 가는 곳마다 몸이 편안하리라(閉口深藏舌, 安身處處宇)”고 말조심을 당부했다.
언론 외압 논란 등 정치인을 비롯한 사회지도층의 말실수가 끊이질 않고 있다. 말은 한 번 뱉어놓으면 주워 담지를 못하기에 후폭풍이 크다.
모든 재앙은 입에서 나온다(禍生於口)고, 명심보감은 경책하고 있거늘!
경북 예천에는 ‘말 무덤’이 있다. 말(馬)이 아닌 말(言)을 묻은 무덤이다. 400여년 전, 이곳엔 여러 성씨가 모여 살다 보니 말다툼에 문중 간 싸움이 그칠 날이 없었다. 마을을 둘러싼 야산은 개가 입을 벌린 채 짖어대는 형세여서 ‘주둥개산’으로 불렸다.
한 예언자의 조언대로 개 주둥이의 송곳니와 앞니 위치쯤 되는 곳에 개가 짖지 못하도록 재갈 바위를 세웠다. 그리고 싸움의 발단인 온갖 말을 사발에 담아 주둥개산에 묻었다. 그 뒤 거짓말처럼 싸움이 없어졌다는 속설이다.
말을 조심하라는 경구는 숱하다. ‘입은 재앙을 불러들이는 문’이란 뜻의 구화지문(口禍之門)이나, 화생어구(禍生於口), 입에서 나오는 대로 함부로 말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신구개하(信口開河).
말이 난무하는 계절이다. 대선 철을 맞아 말 때문에 시끄럽고 혼란스럽다. 대선 주자들의 입은 허망한 말과 꾸며대는 말, 상대를 욕하는 말로 쉴 틈이 없다.
이들에게 예천의 말 무덤을 한번쯤 다녀오도록 하면 어떠할까. 그렇게 해서 험담과 비방, 막말이 조금이라도 줄어든다면 이번 대선의 가장 큰 번외소득이지 않을까.
▶️ 禍(재앙 화)는 ❶형성문자로 旤(화)와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보일 시(示=礻; 보이다, 신)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문책(問責)의 뜻을 나타내는 글자 咼(화)로 이루어졌다. 신의 문책, 타박 등을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禍자는 ‘재앙’이나 ‘화를 입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禍자는 示(보일 시)자와 咼(화할 화)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咼자는 앙상한 뼈와 입을 함께 그린 것이다. 그래서 갑골문에서는 咼자가 ‘재앙’을 뜻했었다. 금문에서는 신이 내린 벌을 뜻하기 위해 示자가 더해지면서 지금은 禍자가 ‘재앙’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禍(화)는 (1)모든 재앙(災殃)과 액화(厄禍) (2)몸과 마음에나 또는 일에 뜻밖에 당하는 불행(不幸)이나 손실(損失) 등의 뜻으로 ①재앙(災殃) ②재화(災禍) ③사고(事故) ④허물 ⑤죄(罪) ⑥재앙(災殃)을 내리다 ⑦화를 입히다 ⑧해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액 액(厄), 재앙 앙(殃), 재앙 재(災),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복 복(福)이다. 용례로는 재앙과 복을 화복(禍福), 재앙을 가져올 근원을 화근(禍根), 재앙과 환난을 화난(禍難), 재앙과 난리를 화란(禍亂), 재앙에 가까이 가는 단계를 화제(禍梯), 재앙의 원인을 화인(禍因), 화를 일으킬 실마리를 화단(禍端), 재변이 아직 드러나지 아니하고 잠겨 있는 기틀을 화기(禍機), 매우 심한 재액을 화변(禍變), 좋지 못한 일을 화사(禍事), 재앙이 벌어지는 빌미를 화색(禍色), 재앙을 주는 신을 화신(禍神), 남을 해치려는 마음을 화심(禍心), 참혹한 재화를 참화(慘禍), 전쟁이나 난리로 말미암은 재앙을 병화(兵禍), 화를 남에게 넘겨 씌움을 가화(嫁禍), 흉악한 재앙을 흉화(凶禍), 재앙을 불러들임을 고화(賈禍), 집안에 일어난 재앙을 가화(家禍), 화를 면함을 면화(免禍), 전쟁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재앙을 전화(戰禍), 병으로 말미암아 입는 재앙을 병화(病禍), 화를 당함을 봉화(逢禍), 남의 일로 말미암아 뜻밖에 당하는 재앙을 비화(飛禍), 재앙이 바뀌어서 오히려 복이 됨을 화전위복(禍轉爲福), 화복이 꼰 노와 같이 서로 얽혀 있다는 화복규묵(禍福糾纆), 화나 복이 오는 문은 정하여 있지 않다는 화복무문(禍福無門), 재앙이 되는 것은 입으로부터 나온다는, 뜻으로 말을 삼가라는 화종구생(禍從口生), 재앙은 번번이 겹쳐 오게 된다는 화불단행(禍不單行), 죄화를 입은 집안의 자손이라는 화가여생(禍家餘生), 화나 복은 모두 자신이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을 화복동문(禍福同門), 화란이 생기는 것은 다 덕이 없는 탓이라는 화생부덕(禍生不德) 등에 쓰인다.
▶️ 生(날 생)은 ❶상형문자로 풀이나 나무가 싹트는 모양에서 생기다, 태어나다의 뜻으로 만들었다. ❷상형문자로 生자는 ‘나다’나 ‘낳다’, ‘살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生자의 갑골문을 보면 땅 위로 새싹이 돋아나는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그래서 生자는 본래 ‘나서 자라다’나 ‘돋다’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새싹이 돋아나는 것은 새로운 생명이 탄생했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生자는 후에 ‘태어나다’나 ‘살다’, ‘나다’와 같은 뜻을 갖게 되었다. 生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본래의 의미인 ‘나다’를 전달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姓(성 성)자는 태어남은(生)은 여자(女)에 의해 결정된다는 뜻이다. 그래서 生(생)은 (1)생명(生命) (2)삶 (3)어른에게 대하여 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말. 흔히 편지에 씀 등의 뜻으로 ①나다 ②낳다 ③살다 ④기르다 ⑤서투르다 ⑥싱싱하다 ⑦만들다 ⑧백성(百姓) ⑨선비(학식은 있으나 벼슬하지 않은 사람을 이르던 말) ⑩자기의 겸칭 ⑪사람 ⑫날(익지 않음) ⑬삶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날 출(出), 있을 존(存), 살 활(活), 낳을 산(産)이 있고,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죽을 사(死), 죽일 살(殺)이 있다. 용례로 살아 움직임을 생동(生動), 목숨을 생명(生命), 살아 있는 동안을 생전(生前), 생명을 유지하고 있음을 생존(生存),말리거나 얼리지 않은 잡은 그대로의 명태를 생태(生太), 자기가 난 집을 생가(生家),생물의 환경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생활 상태를 생태(生態), 세상에 태어난 날을 생일(生日), 사로 잡음을 생포(生捕), 태어남과 죽음을 생사(生死), 먹고 살아가기 위한 직업을 생업(生業), 활발하고 생생한 기운을 생기(生氣), 자기를 낳은 어머니를 생모(生母), 끓이거나 소독하지 않은 맑은 물을 생수(生水), 어떤 사건이나 사물 현상이 어느 곳 또는 세상에 생겨나거나 나타나는 것을 발생(發生), 배우는 사람으로 주로 학교에 다니면서 공부하는 사람을 학생(學生), 학생을 가르치는 사람을 선생(先生), 사람이 태어남을 탄생(誕生), 이 세상에서의 인간 생활을 인생(人生), 일단 못 쓰게 된 것을 손질하여 다시 쓰게 됨 또는 죄를 뉘우치고 마음이 새로워짐을 갱생(更生), 다시 살아나는 것을 회생(回生), 아우나 손아래 누이를 동생(同生), 사람이 삶을 사는 내내의 동안을 평생(平生), 어렵고 괴로운 가난한 생활을 고생(苦生), 살림을 안정시키거나 넉넉하도록 하는 일을 후생(厚生), 사람을 산채로 땅에 묻음을 생매장(生埋葬), 생명이 있는 물체를 생명체(生命體), 이유도 없이 공연히 부리는 고집을 생고집(生固執), 날것과 찬 것을 생랭지물(生冷之物), 산 사람의 목구멍에 거미줄 치지 않는다는 생구불망(生口不網), 삶은 잠깐 머무르는 것이고, 죽음은 돌아간다는 생기사귀(生寄死歸), 삶과 죽음, 괴로움과 즐거움을 통틀어 일컫는 말을 생사고락(生死苦樂), 살리거나 죽이고, 주거나 뺏는다는 생살여탈(生殺與奪), 학문을 닦지 않아도 태어나면서 부터 안다는 생이지지(生而知之) 등에 쓰인다.
▶️ 於(어조사 어, 탄식할 오)는 ❶상형문자로 扵(어)의 본자(本字), 于(어)는 간자(簡字)이고, 烏(까마귀 오)의 옛 글자의 약자이다. 까마귀의 모양을 본떠, 음을 빌어 감탄사, 관계, 비교를 나타내는 어조사로 쓰인다. ❷상형문자로 於자는 ‘~에’나 ‘~에서’와 같은 어조사로 쓰이는 글자이다. 於자는 方(모 방)자와 仒(구결자 어)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仒자는 한문 문장에 구두점을 찍는 용도로 쓰이는 글자로 아무 의미도 지니지 않았다. 게다가 於자는 方자와는 아무 관계가 없다. 於자의 금문을 보면 烏(까마귀 오)자에 仒자가 결합하여 있었기 때문이다. 於자는 본래 까마귀가 내는 소리에 빗대어 ‘아아’라는 뜻으로 만들어진 글자였다. 그러나 본래의 의미는 얼마 쓰이지 않은 채 지금은 다양한 ‘어조사’로만 쓰이고 있다. 烏자는 해서에서부터 方자로 바뀌었다. 그래서 於(어)는 (1)한문 투의 문장에서 장소를 표시하는 말이 얹히어에서의 뜻을 나타내는 말 (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어조사(~에, ~에서) ②기대다, 의지하다 ③따르다 ④가다 ⑤있다, 존재하다 그리고 ⓐ탄식하다(오) ⓑ아아(감탄사)(오) ⓒ까마귀(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까마귀 오(烏)이다. 용례로는 이제야 또는 여기에 있어라는 어시호(於是乎), 마음속 또는 주로 ∼에 꼴로 쓰이는 어심(於心), 벌써나 어느새는 어언(於焉), 가운데가 되는 정도라는 어중(於中), 바둑판에서 배꼽점을 중심으로 한 부분을 어복(於腹), 거의 중간쯤 되는 데를 어중간(於中間), 부인이 예장할 때 머리에 얹는 다리로 만든 커다란 머리를 어유미(於由味), 알지 못하는 동안에 어느덧을 어언지간(於焉之間), 썩 흡족함의 뜻을 어량족의(於良足矣), 자기 분수에 만족함을 어분족의(於分足矣), 그때를 한창으로 함을 어사위성(於斯爲盛), 그것으로 만족함을 어사족의(於斯足矣), 어느 사이인지도 모르는 동안에를 어사지간(於斯之間), 이렇게 하거나 저렇게 하거나 어쨌든을 어차어피(於此於彼), 온갖 일을 어천만사(於千萬事), 어 다르고 아 다르다라는 뜻으로 같은 내용의 말이라도 말하기에 따라 사뭇 달라진다는 어이아이(於異阿異) 등에 쓰인다.
▶️ 口(입 구)는 ❶상형문자로 입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그러나 다른 글자의 부분으로 포함되어 있는 口(구)꼴의 자형(字形)은 입의 뜻인 경우 뿐만은 아니다. 品(품)과 같이 물품을 나타내거나 各(각)과 같이 장소를 나타내기도 하고, 石(석)과 같이 돌을 나타내기도 한다. ❷상형문자로 口자는 ‘입’이나 ‘입구’, ‘구멍’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口자는 사람의 입 모양을 본떠 그린 것이기 때문에 ‘입’이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갑골문에 나온 口자를 보면 ㅂ자 모양을 하고 있어 위아래의 구분이 있었다. 그러나 해서에서부터는 네모난 모습으로 바뀌면서 더는 상하를 구분하지 않게 되었다. 口자는 입을 그린 것이니만큼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대부분이 ‘입’이나 ‘소리’와 관련된 의미를 전달하게 된다. 하지만 때로는 ‘출입구’나 ‘구멍’과 같이 단순히 모양자로 응용되기도 한다. 그래서 口(구)는 어떤 명사(名詞) 뒤에 붙어 (1)사람들이 드나드는 곳의 뜻 (2)작은 구멍, 구멍이 나 있는 곳을 나타내는 말 등의 뜻으로 ①입 ②어귀, 사람이 드나들게 만든 곳 ③인구(人口) ④주둥이, 부리, 아가리 ⑤입구(入口), 항구(港口), 관문(關門) 따위 ⑥구멍, 구멍이 난 곳 ⑦자루, 칼 등을 세는 단위 ⑧말하다, 입 밖에 내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에는 연설이 끝이나 시위 행진 때 외치는 간결한 문구를 구호(口號), 구설을 듣게 되는 운수를 구설수(口舌數), 변명할 재료를 구실(口實), 음식을 대하거나 맛을 보았을 때 느끼게 되는 먹고 싶은 충동을 구미(口味), 말로써 베풀어 아룀을 구술(口述), 마주 대해 입으로 하는 말을 구두(口頭), 흥정을 붙여 주고받는 돈을 구문(口文), 보통 회화로 쓰는 말을 구어(口語), 글을 읽을 때 다른 말을 아니하고 책에 집중하는 일을 구도(口到), 말로 전함을 구전(口傳), 입과 입술을 구순(口脣), 단체 행동의 동작을 일제히 하도록 부르는 호령을 구령(口令), 사람의 수효를 구수(口數), 집안 식구나 집안의 사람 수효를 가구(家口), 한 나라 또는 일정지역에 사는 사람의 총수를 인구(人口), 입을 다물어서 봉함을 함구(緘口), 배가 안전하게 드나들고 하는 항구(港口), 들어가는 어귀를 입구(入口), 입을 다물고 말을 하지 아니함을 금구(噤口), 나가는 곳을 출구(出口), 강물이 큰 강이나 호수 또는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어귀를 하구(河口), 한 집안에서 같이 살면서 끼니를 함께 먹는 사람을 식구(食口), 입으로는 달콤함을 말하나 뱃속에는 칼을 감추고 있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친절하나 마음속은 음흉한 것을 이르는 말을 구밀복검(口蜜腹劍), 입에서 아직 젖내가 난다는 뜻으로 말과 하는 짓이 아직 유치함을 일컫는 말을 구상유취(口尙乳臭), 입은 있으나 말이 없다는 뜻으로 변명할 말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유구무언(有口無言), 입에 풀칠하다는 뜻으로 겨우 먹고 살아가는 방책을 이르는 말을 호구지책(糊口之策), 닭의 부리와 소의 꼬리라는 뜻으로 큰 단체의 말석보다는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가 되라는 말을 계구우후(鷄口牛後), 여러 사람의 입을 막기 어렵다는 뜻으로 막기 어려울 정도로 여럿이 마구 지껄임을 이르는 말을 중구난방(衆口難防),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뜻으로 충언은 귀에 거슬린다는 말을 양약고구(良藥苦口), 귀중한 말을 할 수 있는 입을 다물고 혀를 놀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침묵함을 이르는 말을 금설폐구(金舌蔽口), 부리가 누런 색 새끼같이 아직은 어려서 입에서 젖비린내가 난다는 뜻으로 남을 어리고 하잘 것 없다고 비웃어 이르는 말을 황구유취(黃口乳臭)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