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Bojjhaṅgadesanāsuttaṃ
2.깨달음의 구성요소의 가르침의 경 SN46:22[3-2]
2.깨달음의 구성요소의 가르침 경 SN46:22[3-2]
203. ‘‘Satta vo, bhikkhave, bojjhaṅge desessāmi; taṃ suṇātha. Katame ca, bhikkhave, satta bojjhaṅgā? Satisambojjhaṅgo…pe… upekkhāsambojjhaṅgo – ime kho, bhikkhave, satta bojjhaṅgā’’ti. Dutiyaṃ.
203. ‘‘Satta vo, bhikkhave, bojjhaṅge desessāmi;
1.[세존]“수행승들이여, 일곱 가지 깨달음 고리에 대해 가르치겠다.
3.“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를 설하리라.
taṃ suṇātha.
듣고 잘 새기도록 해라. [내가 설하겠다].
이제 그것을 들어라.∙∙∙
Katame ca, bhikkhave, satta bojjhaṅgā?
2.수행승이시여, 일곱 가지 깨달음 고리칠각지七覺支란 무엇인가?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인가?
Satisambojjhaṅgo…pe…
그것은 바로 1)새김의 깨달음 고리,
2)탐구의 깨달음 고리,
3)정진의 깨달음 고리,
4)희열의 깨달음 고리,
5)안온의 깨달음 고리,
6)집중의 깨달음 고리,
그것은 마음챙김의 깨달음의 구성요소念覺支,
법을 간택하는 깨달음의 구성요소擇法覺支,
정진의 깨달음의 구성요소精進覺支,
희열의 깨달음의 구성요소喜覺支,
고요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輕安覺支,
삼매의 깨달음의 구성요소定覺支,
upekkhāsambojjhaṅgo –
7)평정의 깨달음 고리입니다. –
평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捨覺支이다. –
ime kho, bhikkhave, satta bojjhaṅgā’’ti.
3.수행승들이여, 일곱 가지 깨달음 고리란 이와 같다.”라고.
비구들이여, 이것이 일곱 가지 깨달음의 구성요소이다.”라고.
Dutiyaṃ.
두 번째.
두 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