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금(黃金)
▶ 항균작용, 해독작용, 진정작용, 경간, 심계 항진, 창독, 간질, 심장에 풍사가 침범하여 정신이 흐리멍텅하고 터무니 없는 말을 하며 의지가 불안정 할 때, 충치 치료, 손상된 이를 씌우는 데, 모든 기관지천식, 귀에서 진물이 날 때, 마음을 진정시키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용도가 매우 다양한 매력적인 황금(黃金)
자연금(自然金: Native gold)이란 무엇인가?
금은 등축정계(等軸晶系)이며, 결정체는 팔면체인데, 이것은 보기 힘들고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둥근 모양 혹은 나뭇가지 모양의 집합체이다. 빛깔은 황금색이다. 조흔(條痕)은 광택이 있는 황금색이다. 아주 강한 금속 광택이 있고 불투명하다. 깨진 면은 톱니 모양이다. 경도(硬度: 딱딱한 정도)는 2.5~3이고 비중은 15.6~18.3(순금은 19.3)이다. 연성(延性)과 전성(展性)이 많고 높은 열전도 및 전기 전도성을 가지고 있다. 산(酸)에 녹지 않으며 왕수(王水: 진한 염산과 진한 질산의 혼합액)에 녹는다. 공기중에서 아주 안정적이다. 자연금은 보통 광맥금(鑛脈金) 즉 산금(山金)과 사금(砂金)의 두 가지로 나뉘는데 광맥금은 석영 광맥에서, 사금은 충적층에서 난다.
황금(黃金) 이란 한자의 뜻 그대로 '누런빛의 금'이라는 뜻으로, 금을 다른 금속과 구별하여 이르는 말이다. 흔히 황금 덩어리, 번쩍이는 황금, 황금으로 장식한 왕관 등을 떠올리기도 한다. 그리고 황금이란 돈이나 재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사용되며 또한 귀중하고 가치가 있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기도 하는데 '황금 같은 기회를 놓치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금은 그 무거움, 희소성, 녹슬지 않고 지속되는 광택, 빛나는 아름다움, 연성과 전성 때문에 매우 높이 평가되는 귀한 금속이다. 또한 금은 희소하기 때문에 화폐로서 가치가 있으며, 따라서 상업적인 교환 수단 및 부와 탁월함의 척도로서 유용한 것이 되었다. 하지만 금화 주조는 후대에 개발된 것이다. 금은 색깔과 광택이 좋고 산화되지 않으므로 즉 녹슬지 않으므로, 온갖 장신구와 장식품으로서 특히 가치 있는데, 금은 전성이 좋으므로 두드려서 온갖 모양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금을 두드려서 금으로 입히기 위한 판과 금박을 만들었으며, 이 금박을 잘라 만든 실을 특정한 겉옷을 짜는 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금은 충적 광상이나 강바닥에서 자연 그대로의 순수한 상태로 발견될 경우에, 매우 무겁기 때문에 쉽게 분리하고 추출해 낼 수 있다. 순금을 그대로 사용하면 물렁거리므로 경도를 높이기 위해 다른 금속과 합금을 하면 더 널리 유용하게 쓸 수 있다.
금의 다른 이름은 금박(金箔: 본초몽전), 생금(生金: 도홍경), 금박(金薄: 약성론), 자연금(自然金: 중약대사전), 광맥금(鑛脈金), 산금(山金), 사금(砂金), 황금(黃金), 금, 금덩이, 골드(Gold: 영어) 등으로 부른다.
금의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 신(腎), 심(心), 폐(肺), 간경(肝經)에 작용한다. 마음을 진정시키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경간, 심계 항진, 창독, 간질을 치료한다. 내복시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쓴다. 일반적으로 환제를 입히는 데 많이 쓴다. 외용시 갈아서 가루내어 뿌린다.
1, <본초휘언>: "맛은 맵고 성질은 차며 독이 있다."
2, <본경봉원>: "독이 없다."
3, <본초구진>: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
금에 대해서 중국의 <본초몽전>에서는 "사기를 제거하고 해독하며 열을 내리고 번민을 제거하며 정신을 안정시키고 기르며 골수를 굳게하고 혈관을 부드럽게 하며 간질로 미친 듯이 날뛰는 병증을 예방하고 경련과 심하게 발작하는 간질을 진정시키는 효능이 있다. 소아과에서 Tablet 정제(錠劑)으로 만들 때에는 반드시 금박으로 옷을 입혀야 한다." <약성론>에서는 "어린 아이의 급간(急癎), 오장풍간(五臟風癎), 정신이상을 치료하고 마음을 진정시키며 정신을 안정시키는 효능이 있다." <해약본초>에서는 "기가 위로 치밀어 올라 생긴 해수, 티푸스로 폐가 손상되어 생긴 토혈, 뼈가 몹시 쑤시고 과로로 목이 몹시 마른 병증, 풍열(風熱)로 인하여 생긴 간질을 치료한다. 오장의 사기를 없애고 심장을 보양하며 아울러 금박을 환약, 가루약으로 만들어 복용한다." <신농본초경소>에서는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종기를 터뜨리고 속에 넣으면 종기의 뿌리를 뽑을 수 있다."고 하며, <본초재신>에서는 "간기(肝氣)을 완만하게 하고 마음을 가라앉히며 정신을 안정시키고 신수(腎水)을 자양하며 경락을 풀고 관절을 원활히 하며 적취를 없애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어린아이의 급간(急癎)을 치료하고 천연두로 인하여 생긴 여러 가지 독을 없앤다."고 기록하고 있다.
<회약의경>에서는 "금박(金箔)은 마음을 진정시키고 사기를 예방한다. 정신이상을 실없이 잘 웃은 병증과 놀라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을 치료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심하게 발작하는 간질을 진정시키고 담연(痰涎)을 없애며 사화(邪火)를 내려가게 한다. 무릇 사기가 위에서 왕성하고 맑게 하기 쉽고 내려가게 하기 쉬운 경우에는 모두 금박을 쓰는 것이 좋다. 만약, 양(陽)의 부족으로 원기가 쇠약하고 활설(滑泄)로 몸이 싸늘하다면 쓰지 않는 편이 좋다. 생금(生金)은 독이 있기 때문에 금박(金箔)도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주의사항으로 양(陽)의 부족으로 인하여 원기가 쇠약하고 하리(下痢)로 인하여 몸이 싸늘한 경우에는 복용을 삼가한다.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감>에서는 금의 효능에 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금박(金箔: Gold)
기원: 황금을 인공적으로 눌러서 만든다.
형태: 박편상금(薄片狀金)이고 황색(黃色)이며 가장자리는 정제되지 않았고 비교적 금속광택을 갗추고 있고 질(質)은 무겁고 불투명(不透明)하며 늘어나는 성질(性質)이 있어 힘을 사용하여 굴곡(屈曲)시킬 수 있으며, 기미(氣味)는 없다.
분포: 인공제품
채취 및 제법: 황금(黃金)을 딱딱하고 편평한 곳에 놓고 망치로 때려 박편상(薄片狀)을 만든다.
성분: 주로 금(金)이며 그외에 극미량으로 지용어수(地溶於水)와 약산함성(弱酸鹹性) 용매이다.
기미: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
효능: 진경(鎭驚), 안신(安神), 해독(解毒)
주치: 경간전광(驚癎癲狂),심계창독(心悸瘡毒)
용량: 일반적으로 환제(丸劑)의 외피(外皮)로 사용하거나 산제(散劑)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금에 대해서 황도연이 지은 <방약합편>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금박
金箔味甘安魂魄 癲狂驚癎調血脈
금박미감안혼백 전광경간조혈맥
금박은 맛이 단데 정신을 안정하고
혈액조화 시키며 전광 경간 낫게 하네]
허준이 쓴 <동의보감>에서는 금에 대해서 "금박, 은박(金箔, 銀箔)은 2가지가 다 마음을 진정시킨다. 약에 넣어서 먹는다[본초]."고 기록한다.
오래된 금속, 현대적 응용
아마도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들은 금이 잘 부식되지 않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서, 데스마스크 즉 그들이 죽은 뒤 만드는 안면상(顔面像)을 제작하는 데 금을 사용하였습니다. 금의 내구성을 증명하는 예로서, 파라오 투탕카멘이 죽은 지 수천 년 후에 고고학자들이 그의 무덤을 발굴하였을 때, 그 젊은 왕의 황금 데스마스크는 변색되지 않은 채 여전히 노란색으로 번쩍이고 있었습니다.
금이 그 광택을 유지하는 이유는 철과 같은 금속을 파괴하는 물과 공기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금은 잘 부식되지 않는 이러한 성질에다 뛰어난 전도성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전자 부품에 사용하기에 이상적인 재료입니다. 매년 약 200톤의 금이 텔레비전, 비디오, 휴대 전화 및 약 5000만 대의 컴퓨터를 제조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에 더해, 고품질 콤팩트디스크에 들어가는 내구성 있는 금박층은 데이터 저장의 신뢰도를 높여 줍니다.
금으로 만드는 박막(薄膜)은 몇 가지 보기 드문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금과 빛의 상호 작용에 대해 생각해 보십시다. 금은 초박막으로 가공하면 투명해집니다. 이처럼 얇게 가공된 금은 녹색 광파(光波)는 투과시키지만 적외선은 반사합니다. 금으로 코팅한 창문은 빛은 투과시키지만 열은 반사합니다. 그래서 현대 항공기의 조종석 창은 금으로 코팅되어 있으며, 많은 사무용 신축 건물의 창문도 그러합니다. 또한 불투명한 금박은 우주선의 취약 부위를 감싸서 그 부위를 강렬한 방사선과 열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데 사용됩니다.
금은 또한 항균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래서 치과 의사들은 손상된 이나 충치를 치료하거나 대체하는 데 금을 사용합니다. 근년에는 금이 스텐트—손상된 정맥이나 동맥을 보강하기 위해 몸 안에 집어넣는 작은 원통형 그물망—와 같은 외과용 삽입물을 만드는 데도 이상적인 재료임이 증명되었습니다.
금이 지닌 다양한 쓰임새와 가치와 아름다움을 생각해 볼 때, 필시 금을 찾는 사람들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매력적인 금속을 찾아 땅 구석구석을 탐색할 것입니다.
금은 밀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각 변의 길이가 단지 37센티미터인 정육면체의 금은 무게가 대략 1톤이나 나간다.
금은 어디서 발견되는가?
1, 암석: 금은 모든 화성암 속에 극소량 존재한다. 일부 지역의 암석은 금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채광 기업들이 그러한 암석을 채광하고 분쇄해서 광석으로부터 금을 화학적으로 추출해 낼 만한 사업성이 있다. 양질의 광석이라 해도 광석 1톤당 함유된 금의 양은 30그램 정도에 불과하다.
광맥: 드문 경우로, 금이 석영층 사이에 있는 암상(巖床)이나 광맥(鑛脈)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2, 강: 금을 함유하고 있는 광맥이 햇빛과 비바람에 오랫동안 노출되면 부스러지면서 그 속에 갇혀 있던 금이 광맥에서 분리되는데, 그러한 금은 아주 작은 알갱이나 조각이 되어 개천과 강바닥에 쌓인다. 이런 형태의 금을 사금(沙金)이라고 한다.
3, 지면: 때때로 특이한 모양의 금 덩어리들이 지면에서 형성된다. 때로는 엄청나게 큰 금 덩어리가 형성되기도 한다. 지금까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발견된 것 중 가장 큰 금 덩어리에는 웰컴 스트레인저라는 이름이 붙여졌는데, 그 금 덩어리는 무게가 약 70킬로그램이나 된다! 그 금 덩어리는 1869년에 오스트레일리아의 빅토리아 주에서 발견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큰 금 덩어리들이 많은 곳으로서,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금 덩어리 25개 중 23개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발견되었다. 현재는 크기가 성냥개비 머리 정도에 불과한 작은 금 덩어리도 보석용 다이아몬드보다 더 희귀하다.
현대의 금 응용 분야
1, 고품질 콤팩트디스크에는 금박층이 들어간다
2, 금박은 우주선에도 사용된다
3, 금은 마이크로칩에도 사용된다
4, 금도금한 전선은 전도성이 뛰어나다
세계에서 가장 깊은 노천 금광,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의 캘굴리-볼더에 있다.]
황금(黃金)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심장에 풍사(風邪)가 침범하여 정신이 흐리멍텅하고 터무니 없는 말을 하며 의지가 불안정 할 때
금박(金箔) 200장, 이분(膩粉) 18.5g, 납작하고 밑이 평평한 작은 새 솥에 먼저 금박을 펴고 바로 이분(膩粉)을 겹쳐 올려 놓은 다음 우유 한 컵을 넣어 약한 불에서 우유가 없어질 때까지 달인다. 금박이 진흙처럼 흐물흐물하게 되면 약한 물에 쬐어 말린 다음 갈아서 가루내어 증편과 고루 섞어서 콩알 만한 환을 만든다. 한번에 5환을 식후에 새로 길은 물로 복용한다. [증치준승, 금박환]
2, 풍사(風邪)의 침범으로 인하여 발광할 때
금박(金箔) 100장, 가루낸 단사(丹砂), 가루낸 용뇌(龍腦), 가루낸 우황(牛黃), 진주(珍珠)가루, 호박(琥珀)가루, 서각(犀角)가루 각 18.5g, 상술안 약물을 금박을 뺀 나머지 6가지를 함께 넣고 다시 곱게 간다. 솥에 금박을 한겹으로 펴고 가루약을 한데 섞은 다음 다시 금박을 순서대로 평평하게 펴 덮는다. 우유 3ℓ솥에 넣고 약한 불로 우유가 고(膏: 기름)처럼 될 때 까지 뭉근한 불에 천천히 달인다. 매번 조각자(쥐엄나무 열매의 씨) 크기 만큼을 박하탕(薄荷湯)에 녹여 복용한다. [성제총록(聖濟總錄), 금박전(金箔煎)]
3, 간질로 경련이 일고 공연히 가슴이 울렁거리며 불안해 하고 답답해 하는 증상과 모든 기관지천식
서박(西珀), 천리황(天竺黃), 주사(朱砂) 각 18.5g, 담성(膽星) 37g, 우황(牛黃), 웅황(雄黃), 진주(珍珠) 각 7.4g, 사향(麝香) 1.85g, 상술한 약물을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꿀에 반죽하여 환을 만들되 37g으로 30환을 만들고 금박으로 겉을 싼다. 박하탕(薄荷湯)으로 1환을 복용한다. [심씨존생서, 금박진심환]
4, 어린 아이가 식간(食癎)으로 담연(痰涎)을 줄줄 흘릴 때
금박(金箔) 5쪽(갈아서 가루로 만든 것), 이분(膩粉) 11.1g, 감수(甘遂: 약간 노르스름하게 될 때까지 구운 다음 짓찧어 가루로 만든 것) 0.37g, 상술한 약물을 고루 섞고 갈아서 대추의 과육과 고루 섞어 작은 덩이를 만든다. 이것을 5쪽의 금박으로 싼 다음 다시 젖은 종이를 감싸서 잿불을 굽고 식힌 다음 꺼내어 갈아서 녹두만한 환을 만든다. 한 번에 2환을 인삼탕(人蔘湯)으로 복용한다. 어린이들은 연령에 따라 양을 적당하게 가감한다. [태평성혜방, 금박환]
5, 귀에서 진물이 날 때
백반(白礬), 연지(臙脂) 각 18.5g, 금박(金箔) 7쪽, 상술한 약물을 함께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하루에 세 번, 한 번에 0.46g을 귓속에 떨구어 넣는다. [보요수진소아방론, 금박산]
|
첫댓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지기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