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미아강(鰓尾亞綱) Branchiura
담수 및 해양의 물고기의 피부나 새강(魚思腔) 그리고 양서류의 어떤 종류에 외부기생하며 피를 빨아 먹는다. 약 130종이 알려져 있다. 요각류와의 차이는 1쌍의 안병이 없는 복안과 1개의 큰 방패모양의 배갑을 갖는 것이다. 복부는 작고 체절이 불분명하다. 2쌍의 촉각은 대단히 작고, 특히 제1촉각은 숙주에 부착하기 위한 큰 발톱을 가진다. 또 제2소악의 기부에는 2개의 커다란 흡반이 발달하며, 다른 부속지는 퇴화한다. Argulus屬에서는 구기의 앞에 숙주의 표피를 찌르는 가시를 갖기도 한다. 악각은 없으며, 4개의 흉부 부속지는 크고 유영형이며 이분지된다. 난은 물밑 바닥에 산란되고 난으로부터 부화하면 nauplius유생이 나타난다. 유생도 성충과 같이 기생생활을 하여 성적 성숙이 완성된 후에도 탈피를 계속한다.
잉어빈대目 Arguloida
잉어빈대科 Argulidae
◇ 잉어빈대 : Argulus japonicus Thiele
1) 외국명 : (일) Chiyou (チョウ, 金魚蝨)
2) 형 태 : 체장 9mm 정도. 제1흉절은 두부와 유합되어 배갑(背甲)을 이룬다. 제1악각(顎脚)은 흡반, 제2악각은 각상(脚狀)이며, 제2~5흉절에 4쌍의 유영각이 있다. 복부는 타원형이다.
3) 설 명 : 잉어나 붕어 등의 담수어에 붙어서 피를 빠는 기생충이다.
4) 분 포 : 일본 고유종이지만 현재는 아메리카대륙이나 유럽에 널리 퍼져 있다.
5) 비 고 : 우리나라에는 근연종인 잉어진드기(Argulus yuii)가 분포한다. 근연종인 A. coregoni Thorell (日名 Chomodoki)는 복부가 뾰죽하다. 이 외에도 A. scutiformis가 있다.